초록주의(녹색주의)

옥상 텃밭상자을 가꾼지 20년이 넘었습니다. 처음 열대여섯 개에서 시작하여 매년 2~3개씩 늘린 게 벌써 70개가 넘었습니다. 그리고 올해에는 초록지기에서 분양받은 상자텃밭 두 개가 추가되었습니다.

텃밭상자 분양받을 때 함께 받은 유박과 EM도 주고 해서 상자텃밭의 상추가 무럭무럭 잘 자랐습니다. 유기농으로 키운 맛있고 건강한 먹거리를 나만 먹을 수는 없겠죠. 그래서 이웃들과 함께 나누는 기쁨도 누렸습니다. 모두 맛있다고 좋아하는 모습을 보니 저도 행복했습니다. ^^

상추가 꽃대가 나온 것을 뽑지 않고 그대로 두었더니 따로 씨를 뿌리지 않았는데도 자연스럽게 떨어진 씨앗에서 또 싹이 나서 가을 상추도 잘 자라고 있습니다. 하나에는 김장에 먹으려고 쪽파도 심었습니다.

텃밭상자를 가꿀 때 진딧물 같은 벌레가 생겨 약치는 번거로움 때문에 텃밭상자를 두려워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걱정하지 않습니다. 약을 치지 않으면 진딧물이 번성해 먹지 못할 것 같지만 진딧물이 번성하면 오히려 천적인 무당벌레도 번성해서 모두 잡아먹기 때문에 관리하기도 어렵지 않습니다. 생태라는 것은 참 조화로운 모습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 어느 하나만 번성하게 두지 않으니까요.^^

상자텃밭은 집에서 쉽게 맛있고 건강한 먹거리를 가꿀 수 있는 즐거움을 줍니다. 또한 집에서도 자연을 느끼게 해 몸도 마음도 건강하게 해 줍니다. 집에서도 자연과 함께할 수 있는 상자텃밭 저만이 아니라 더 많이 사람들이 그런 즐거움을 느꼈으면 좋겠습니다.








내용 전체를 보시려면 첨부 파일을 참조하세요. ^^

녹색주의 사상과 지속가능성-임형백(성결대학교).pdf



녹색주의 사상과 지속가능성

-환경교육, 25권 1호, pp. 50-65(2012. 3) 50 

임 형 백† 

성결대학교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Sustainability 

Hyung Baek Lim† 

Sungkyul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ies were (1) to compare environmentally responses with green responses, (2) and departmentalized 

green responses, (3) and linked green responses to sustainability. First, I compared environmental responses with green responses. Environmental responses and green responses had different paradigm. So it is impossible to compare them same criteria. And there is no theory and method to prove which is better. I can't tell which one is better because they environmental responses and green responses. Second, I departmentalized green responses and compar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departmentalized green responses. Third, linked green responses to sustainability. It is difficult to seek environmentally sustainable society without losing sustainable economic growth. Green responses and environmentally sustainable society seems to impractical. Environmentally sustainable society and sustainable economic growth seems to will never meet no matter how far extended. At the present speaking, sustainable economic growth and a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society were incompatible.


Key words : environment, sustainability


Ⅰ. 서 론 

1960년대와 1970년대를 거치면서 우후죽순처럼 각양각색으로 나타났던 ‘환경문제와 관련된 주장들’도 1980년대에는 비교적 체계적인 모습으로 정리되어 등장하게 된다(Pepper, 1984). 과학기술의 합리성에 의존하는 기술지향주의와 이에 반대하여 생겨난 생태지향주의, 체제유지를 통한 점진적 개선을 주장하는 다원론과 체제개혁을 통한 혁신적 변화를 주장하는 마르크스주의, 인간생태의 결정적 요인을 환경으로 보는 결정론과 이와는 반대로 인간의지에 의한 

환경변화를 주장하는 자유의지론 등 각각의 관에서 다양한 분파들이 등장하게 되었다(임형백, 2006).

그러나 각각의 환경론의 환경문제에 대한 이념적 기반, 접근과 해석, 지향하는 목표는 다양하다. 때로는 다른 명칭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입장을 보이기도 하고, 때로는 유사한 명칭에도 불구하고 커다란 입장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크게는 ① 경제에 우선순위를 두는 입장1)과 ② 환경에 우선순위를 두는 입장으로 크게 양분할 수 있다. 또 환경과 관련하여 가장 광범위하게 알려지고 받아들여지는 지속가능성이란 개념도, 하나로 통일되어 있지 않은 포 

괄적인 개념이다. 

이 논문은 첫째, 환경에 대한 다양한 접근 중 환경에 우선순위를 두는 입장(녹색주의)을 세분하고, 둘째, 이러한 녹색주의의 다양한 입장을 고찰하고, 셋째, (지속가능성이란 개념이 경제에 우선순위를 두는 입장(환경주의)인데 비하 

여) 녹색주의는 환경에 우선순위를 두는 반면, 아직 현실에서는 경제에 우선할 환경적 해결책을 찾지 못하였음을 고찰하였다. 

즉, 이를 통하여 환경에 대한 접근방법에는 경제에 우선순위를 두는 입장(환경주의)과 환경에 우선순위를 두는 입장(녹색주의)이 있으며, 지속가능성은 그 어감과는 달라 경제에 우선순위를 두는 입장임을 고찰하였다2). 또, 환경에 우선순위를 두는 녹색주의는 환경에 우선 순위를 두고는 있지만, 아직 현실적인 이를 실행할 해결책은 찾지 못하였음을 고찰하였다.

동시에 환경교육은 이러한 입장 차이와 한계를 명확히 구분하고, 이를 반영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즉, 첫째, 녹색주의에 대한 피상적 이해와 막연한 환경보전에 대한 기대를 지양하고, 둘째, 각각의 중심적인 신념, 입장의 차이, 연계, 현실적 한계를 명확히 구분하여 가르치고, 셋째, 학생들에게 이념의 주입보다는 끊임없는 자발적인 해결책 모색을 독려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

†Corresponding Author:emperor10131@hotmail.com, Tel: +82-31-467-8102, Fax: +82-31-467-8066 

1) 경제에 우선순위를 두는 입장 즉, 환경주의(기술중심주의 등)는 지면의 제약상 본 논문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1 ··· 52 53 54 55 56 57 58 ··· 194 
BLOG main image
초록주의(녹색주의)
초록주의는 생명을 섬기고 삶을 나눔으로써 평화로운 공존의 사회를 지향합니다.
by 초록주의

공지사항

카테고리

초록 세상 (582)
행사 안내 (166)
포럼 및 강의 (71)
성명서 및 기사 (20)
초록 정치 (37)
초록 사회 (58)
초록 경제 (16)
초록 문화 (42)
서평 및 발제문 (16)
책 내용 발췌 요약 (30)
자료 (40)
짧은 글 긴 여운 (48)
시인의 마을 (18)
빛으로 그린 그림 (17)
생각의 끝 (0)
The And (0)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tistory!get rss Tistory Tistory 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