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주의(녹색주의)

'오판'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7.02.19 생각의 오류-요약
  2. 2016.09.17 뇌의 거짓말-요약

생각의 오류

- 토머스 키다 지음/박윤정 옮김/열음사 펴냄/2007.11.30

 

20p

  어떤 책이든 읽다보면, 시간이 지나면서 상세한 내용들이 머릿속에서 사라져버리는 것 같다. 이런 나이에는 몇 가지 핵심 내용만 기억해도 운이 좋은 것이다. 그러므로 먼저 이 책의 핵심 내용을 정리해 주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통계수치보다 이야기를 더 좋아한다.

확인하고 싶어 한다.

삶에서 운과 우연의 일치가 하는 역할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세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

지나치게 단순화한다.

잘못된 기억을 갖고 있다.

 

22p

  총기규제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이를 뒷받침해 주는 정보를 더 신뢰하지 않을까? 좋아하는 대통령 후보의 호의적인 정보에 더 집중하지 않을까? 좋아하는 대통령 후보의 호의적인 정보에 더 집중하지 않을까? 영매에게 미래를 예언하는 능력이 있다고 믿는 사람이라면, 영매의 예언이 적중했던 때만 기억하고 예언이 빗나갔던 대다수의 경우는 잊어버리지 않을까? 실제로 우리는 이런 식으로 생각한다. 기존의 믿음이나 결정을 굳건하게 만들어주는전략을 쓰는 성향이 있는 것이다.

 

24~25p

  사람들은 자신이 세계를 있는 그대로 인식한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내가 본 것을 난 알아.”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수도 없이 많다. 그러나 우리의 오감은 잘 속아 넘어간다. 게다가 가끔은 세계를 선택적으로 인식하기도 한다. 정신이 다른 데 쏠려 있어서, 분명한 것을 보지 못하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없는 것을 보기도 한다. 내가 유령을 봤다고 얘기했을 때처럼,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삶의 어느 시점에서 환각을 본다고 한다.

이런 부정확한 인식을 사고 과장에 적용하면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우리가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에는 특히 두 가지 요소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것은 바로 기대와 욕망이다.

 

26~27p

  참고할 수 있는 정보가 너무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런 정보들에 일일이 주의를 기울이다 보면,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느라 시간을 다 보내고 말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흔히 이런 분석마비증을 피하기 위해서 단순화 전략을 쓴다. 쉽게 떠오르는 정보를 토대로 결정을 내리는 것이다.

 

우리는 스키를 타다가 다칠 수 있는 경우들을 철저하게 조사하거나 스키로 인한 부상 인원이 얼마나 되는지도 확인하지 않는다. 대신에 친구의 경험이나 텔레비전에서 본 사고 보도를 떠올리고, 단순하게 판단을 내린다. 소니 보노(미국의 가수이자 배우, 정치가)와 마이클 케네디(전 미국 대통령인 존 F. 케네디의 조카)가 같은 해에 스키를 타다가 죽었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스키는 아주 위험한 스포츠라고 결론지어 버린다. 실제로는 보트나 자전거 타기처럼 사상자가 더 많이 발생하는 여가활동이 많은데도 말이다.

 

28~29p

  그러나 기억도 변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들이 많다. 심지어는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일들에 대해서 새로운 기억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요컨대 우리의 기억은 과거의 경험들을 스냅 사진 찍듯 있는 그대로 담아두었다가 앨범을 펴 보듯 다시 불러내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기억은 다분히 구축적이다. 현재의 믿음과 기대, 환경, 암시적인 질문까지 과거의 경험에 대한 기억에 영향을 미친다.

 

32p

  우리 사회에 위험한 것은 불신이 아니라 믿음이다.

- 조지 버나드 쇼

 

38p

  실제로 갤럽에서 조사한 결과,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는 현상들 중에서 최소한 한 가지를 믿는 사람이 73%나 되었다.

 

39p

  (1) 터무니없는 설들을 믿는 사람들의 비율 20056, 갤럽 조사 결과

41% 초감각적 지각력은 가능한 것이다.

37% 집에 귀신이 들 수 있다.

42% 이따금씩 사람도 악마에게 홀린다.

31% 텔레파시, 오감의 작용 없이 마음만으로도 서로 통할 수 있다.

24% 외계의 존재들이 지구를 방문한 적이 있다.

26% 투시, 오감으로는 알 수 없는 사물들도 파악할 수 있다.

21% 산 사람도 죽은 자와 소통할 수 있다.

25% 점성술

20% 환생

 

42~43p

  한 예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간이 두뇌의 10%만 사용한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신경과학적으로 이를 뒷받침해 주는 근거는 하나도 없다. 그렇다면 맹인들은 흔히 고감도의 청력을 자랑한다는 믿음은 어떤가? 이 역시 사실이 아니다 또 미국에서는 이미 범죄자와 마약 복용이 통제 수위를 넘어섰다고 생각한 적이 얼마나 많은가? 그러나 자료들을 검토해 보면, 2003년까지 10년간 폭력 범죄율은 33%나 떨어졌으며, 마약 복용 인구도 줄었음을 알 수 있다. 또 낮은 자기존중감이 공격성의 원인이라는 대부분의 생각과는 달리, 둘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5~46p

  인간이 달 착륙에 성공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들은 많다. 그런데도 19997월에 실시된 여론 조사를 보면, 11%의 미국인들이 이것을 조작된 사건으로 믿고 있었다. 믿기지 않는 결과였다. 그러나 더욱 충격적인 것은, 폭스 사가 음모 이론: 우리는 정말 달에 발을 디뎠나?’라는 프로그램을 방영한 뒤 이 비율이 두 배로 증가했다는 점이다. 검증되지 않은 이상한 주장들만 보고 수백만 명이 생각을 바꾼 것이다.

 

47~48p

  또 미국에서 살인율이 20%나 떨어졌을 때도, 방송의 살인사건 보도는 600%까지 치솟았다. 이런 편향적인 보도는 당연히 우리의 믿음에 영향을 미친다.

 

1994년에는 살을 뜯어먹는 박테리아 이야기가 대중매체의 관심을 집어삼켰다. 텔레비전 화면에서 환자들의 일그러진 모습을 담은 생생한 영상들이 넘쳐났다. 살을 뜯어먹는 박테리아보다 번개에 맞아 죽을 가능성이 55배는 더 많다고 의학계의 권위자들이 지적했는데도 대중매체는 이런 사실을 무시해버렸다.

 

51p

  그래서 이후 몇 해 동안 다른 연구들을 여러 번 실시했다. 그 결과 유방확대수술이 유방암 같은 주요한 만성 질환의 원인은 아니라는 증거를 확보했다.

 

56p

  그런데 이 실험들은 한 가지 지배적인 경향을 보여주었다. 초감각적 지각력을 지지하는 실험들은 하나 같이 적절한 통제가 부족했고, 적절한 통제 아래 이루어진 실험에서는 초감각적 지각력을 입증해 주는 증거를 찾아내지 못한 것이다.

 

58p

  (2) 사이비과학적인 사고의 특징

(1) 무엇을 믿을지 미리 생각하고 있다.

(2) 기존의 믿음을 뒷받침해 줄 증거를 찾는다.

(3) 자신의 주장이나 믿음이 거짓임을 보여주는 증거는 무시한다.

(4) 다른 설명들은 무시해 버린다.

(5) 터무니없는 믿음도 계속 유지한다.

(6) 근거가 빈약한 증거들을 토대로 황당무계한 주장을 펼친다.

(7) 일화적인 증거에 강하게 의존한다.

(8) 엄격한 통제 실험을 통한 검증이 부족하다.

(9) 비판적인 시각을 거의 받아들이지 않는다.

61~62p

  사회학자인 배리 글래스너는 <두려움의 문화>에서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난폭 운전 같은 가상의 위험요인이나 다른 사람들을 전혀 또는 거의 위험에 빠뜨리지 않는 사람들로 가득 찬 감방, 실제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 위험으로부터 젊은이들을 보호하는 프로그램이나 은유적인 질병의 희생자들에게 보상을 해 주는 일 등에 해마다 수백억 달러를 허비하고 일인당 몇 시간씩을 낭비하고 있다.”

 

67p

  많은 자료들을 마음대로 주무르다 보면, 어떤 문제에 대해서든 원하는 증거를 찾아낼 수 있다는 점이다. 비틀스의 노래 수백 곡을 뒤로 돌리거나 느리게 틀면, “폴은 죽은 사람이다.”와 같은 소리가 나오게 되어 있다는 말이다. 물론 노래 속에 이런 가사는 없었다. 그러나 수백만까지는 아니어도 수천 명의 사람들이 이것을 믿었다.

 

68p

  최근의 연구 결과, 흔히 유령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하던 이상한 느낌(등골이 오싹해지거나 몸이 후들거리거나 극도의 불쾌감과 두려움이 이는 것 같은)들이 10~20헤르츠의 저주파 음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고 한다. ‘귀신 들린집의 이런 초저주파 음은 들리지는 않아도 느낄 수는 있다.

 

78p

  현재 믿을 만한 증거가 없다고 해서 어떤 주장이 거짓인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증거가 없다는 것은 연속체상의 왼쪽 끝에서 강한 불신의 태도를 취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중간 지점에서 멀어지지 말아야 한다는 뜻일 뿐이다.

 

79p

그러므로 어떤 것이든 믿음을 형성할 때는 회의적인 자세를 견지해야 한다. 그렇다면 믿음을 형성할 때는 어떤 접근법이 가장 좋을까? 케오도르 시크와 루이스 본은 다음의 네 단계가 상당히 유용하다고 주장한다.

 

1) 주장을 분명하게 적는다.

2) 이 주장을 뒷받침해 주는 증거를 고찰한다.

3) 다른 가정들을 살펴본다.

4) 가정의 타당성을 평가한다.

 

81p

여러 가설 중에서 어떤 가설이 나은지를 평가할 때는 여러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먼저, 다음의 세 가지 질문을 던져보면 된다.

 

검증이 가능한가?

현상을 가장 간단하게 설명해 주는 가설인가?

잘 정립된 다른 학설들과 상충되지는 않는가?

 

83p

불 위를 걷는 사람들의 주장을 믿으려면, 먼저 어떤 신비적이거나 영적인 힘이 존재한다는 가정을 받아들여야 한다. 하지만 이런 신비적인 힘을 믿어야만 불 위를 걷는 행위를 설명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물리학 법칙을 적용하면 더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설명이 가장 간단한 가설을 선택한다는 규칙을 일컬어 오감의 면도날이라고 한다. 과학을 이끌어가는 이 규칙은 14세가 영국의 철학자인 오캄의 윌리엄에서 유래된 것이다.

 

93p

콜드 리딩은 쓸모 있는 정보를 얻을 때까지 심령술사가 망자에 대해서 일반적인 질문을 던지는 기법이다. 쓸모 있는 정보를 얻으면 심령술사는 좀 더 구체적으로 얘기를 해 주고, 듣는 사람이 긍정적으로 반응하면 하던 대로 계속 질문과 이야기를 이어 간다. 반대로 자신의 이야기가 빗나가면, 심령술사는 자신의 말이 옳은 것처럼 들리게 만든다.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이 심장마비 같은 흉부 질환으로 사망한다는 통계자료를 이용하는 것이다. 심령술사들이 쓰는 일반적인 기법은 다음과 같다.

 

심령술사 : 사랑하는 이를 잃었군요. 가슴에 통증이 느껴져요. 심장마비였나요?

피상담자 : 폐암이었는데요.

심령술사 : 맞아요. 그래서 가슴이 이렇게 아픈 거예요.

 

95p

많은 자료들을 보면, 실제로 잘 속아 넘어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주 일반적인 말도 자신에게 직접 적용되는 말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우리에게 있다는 것을 연구자들은 이미 수년 전부터 알고 있었다. 다시 말해 인상착의를 아주 모호하게 묘사해도 우리는 자신을 묘사한 것처럼 받아들인다. 똑같은 묘사가 다른 사람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깨닫지 못한다. 이런 현상을 일컬어 포러 효과(Forer Effect)라고 한다.

 

103p

광고 문구가 눈길을 확 잡아끈다. “자신감이 커진다. 일이나 공부, 예술, 스포츠에서 최고의 활약을 보여준다. 흡연이나 음주, 마약 복용 같은 악습도 힘들이지 않고 극복한다. 스트레스가 줄어들고 치유 효과는 향상된다. 평생 노력 없이 몸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대단한 걸! 어떻게 저럴 수 있지?’ 하는 생각이 든다. 다시 읽어보니, 해답은 바로 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명상음악 테이프에 있었다.

 

* 이 광고는 Pychology Today, April 2001, p91에 실린 것이다. 흥미롭게도 이 광고는 잠재의식을 자극한다는 테이프 대부분이 효과가 없음을 지적하고 있다(이런 테이프의 무용성을 지적한 믿을 만한 연구들에 반격을 가하기 위해서인 것 같다). 그러나 이어서 새로운 획기적인 기술적 발견 덕분에 이 테이프들은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 물론 그 혁신이 어떤 것인지는 설명하지 않고 말이다.

 

107p

치료제를 나눠주는 사람이 누가 진짜 치료제를 복용하고 누가 플라시보를 복용하는지 알면, 피실험자에게 그가 먹는 약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자신도 모르게 암시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약을 나눠주는 사람이나 복용하는 사람 모두 누가 무엇을 복용하는지 몰라야 한다. 이런 방식을 가리켜 더블블라인드실험이라고 한다.

 

109p

과학과 과학적인 방식에 대한 올바른 믿음을 형성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아주 중요하다. 그러나 국립과학위원회에서 산출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 중 3분의 2는 과학적인 절차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과학적인 절차를 몰라서, 믿음을 형성할 때 자료의 질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114p

진화론은 인간이 지금과 같이 존재하게 된 과정에 대해서 누군가 단순하게 추측해 낸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여러 다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하는 하나의 개념체계이다. 그래서 다른 어떤 이론도 우리가 이 세계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진화론만큼 잘 설명해 주지 못한다. 하지만 기억할 것이 있으니, 과학에 절대적인 진리는 없다는 점이다. 과학적인 사실은 현재로서는 그것을 믿는 게 합당하다고 여겨질 만큼 확신이 가는 하나의 결론에 지나지 않는다. 요컨대 과학에서는 모든 지식을 잠정적인 것으로 본다.

 

119~120p

사람들은 대부분 종교적인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이타적이고, 상반되는 것들은 서로를 끌어당기며, 행복한 고용인은 생산성이 더 높다고 믿는다. 하지만 주의 깊게 살펴보면 이런 생각들이 틀렸음을 재차 확인하게 된다.

 

126p

(3) 과학적인 사고의 특징

(1) 언제나 마음을 열어 두되, 입증되지 않은 주장은 어떤 것이든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본다.

(2) 어떤 주장이든 반드시 검증을 한다.

(3) 증거의 질을 보고 믿음을 결정한다. 실험 시 통제가 엄격했는지를 살피고, 일화적인 증거에 의존하지 않는다.

(4) 어떤 주장이든 그것이 틀렸음을 입증하려고 노력한다. 이 주장의 부당성을 입증해 주는 증거를 찾아보라는 말이다.

(5) 다른 대안적인 설명들을 살펴본다.

(6) 다른 점들이 같다면, 어떤 현상을 가장 간단하게 설명하는 주장을 선택한다. 추측이 가장 적은 주장이나 믿음을 선택하라는 의미이다.

(7) 다른 점들이 같다면, 기존의 과학 지식과 상충되지 않는 주장이나 믿음을 선택한다.

(8)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증거의 양에 따라 믿음의 정도를 결정한다.

 

130p

백만 번에 한 번 일어날 수 있는 일이 뉴욕에서는 하루에 여덟 번 일어난다.

- 팬 질레트

 

132p

마이클 셔머가 즐겨 말하듯, 인간은 원인을 찾고 싶어 하는 동물이다. 인간에게는 세계 속에서 일정한 양상을 발견하려는 천부적인 욕구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삼라만상의 원인을 발견한 이들은 진화의 과정에서 살아남아 자신의 유전자를 후대에 전할 수 있었다.

 

이처럼 원인을 찾는 천부적인 성향은 보통 인간에게 많은 이득을 가져다준다. 하지만 원인을 찾으려는 욕망이 너무 강해서, 아무 이유 없이 우연하게 일어난 일에서까지 원인을 찾기도 한다.

 

143p

여러분은 아마 선수의 실력에 물이 오르는 것은 항상 있는 일이 아니라 가끔 일어나는 일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확률은 별로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시각으로 보면, 물오른 손 이론은 거짓임을 증명할 수 없는 이론이다. 또 여러분은 선수가 공을 몇 개 넣은 후에 이따금씩만 일어나고 다른 때는 없는 일이므로, 언제 이런 일이 일어날지는 알 수 없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물오른 손은 검증할 수 없는 가설이다. 이런 가설은 심령술사들의 논리와 비슷하다. 이들은 연구자들이 부정적인 에너지를 발산해 내개 때문에 통제실험에서는 영적인 능력을 보여줄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사후 변명에 불과하다.

 

150~151p

우연한 사건들을 계기로 미신적인 생각과 행동 패턴을 갖게 되는 것은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 과정 때문이다.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주창자인자 <비둘기의 미신>이라는 유명 논문의 저자인 심리학자 B. F. 스키너는 우연의 일치가 미신적인 행위를 불러온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보여주었다.

 

151p

이처럼 조작적 조건화 이론은 미신의 형성 과정을 잘 설명해 준다. 그래도 근본적인 의문은 여전히 남는다. 미신은 왜 생겨나는 것일까? 답은 우리가 불확실한 세계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삶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대부분 예측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미신은 많은 사람들에게 불확실성을 극복할 방법을 제시해 준다. 미신적인 행위를 하면 흔히 상황을 스스로 통제한다는 느낌이 들고, 어느 면세서는 이런 행위가 결과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신적인 행위는 불확실하고 무질서하며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더 쉽게 생겨난다.

 

157p

다른 예를 들어 보자. 검은 색 하트가 세 개 있는 카드를 사람들에게 슬쩍 보여주면, 대부분은 붉은 색 하트나 검은 색 스페이드가 세 개 있는 카드를 보았다고 생각한다. 왜 그럴까? 하트가 검은색이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 생각에 맞게 그것을 붉은색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이렇듯 실제가 우리 기대와 맞지 않을 때 우리는 세계를 잘못 인식한다.

 

161p

심판과 팬들 중에는 검은 유니폼을 입은 선수들이 나오는 비디오를 본 사람도 있고, 흰색 유니폼을 입은 선수들이 나오는 비디오를 본 사람들도 있었다. 그 결과 이들은 흰색보다 검은 유니폼을 입은 팀의 선수들에게 가혹한 판정을 내렸다. 검은 유니폼을 입은 선수들에게는 7.2, 흰색 유니폼을 입은 선수들에게는 5.3을 준 것이다. 우리의 기대는 우리의 인식과 판단은 물론이고 우리의 반응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 예로, 연구자들은 개복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수술이 얼마나 걸리고 어떤 통증이 생기며, 언제 의식이 돌아올지 등 수술 후 나타나는 반응들을 미리 알려주었다. 반면에 다른 그룹의 환자들에게는 아무 말도 해 주지 않았다. 그러자 의사에게서 미리 설명을 들은 환자들은 통증도 덜 호소하고, 약물치료도 덜 필요로 했으며, 회복도 더 빨랐다. 그 결과 이들은 실제로 평균 3일 일찍 퇴원했다.

 

* 프랭크와 길로비치 또한 “The Dark Side of Self and Social Perception”에서 검은 옷이 실제로 부정적인 행위를 유발시킬 수도 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

 

162p

연구자들은 이번엔 다른 학생들에게 이 경기의 필름을 보여주고, 그들이 본 반칙을 기록하게 했다. 그 결과 다트마우스 학생들은 양편에서 비슷한 수의 반칙을 확인한 반면(평균 4.3개와 4.4), 프린스턴 학생들은 다트마우스 팀에게는 9.8개의 반칙을, 프린스턴 팀에게서는 4.2개의 반칙을 확인했다. 모든 학생들이 똑같은 게임을 보았는데, 이들이 실제로 본 것은 아주 달랐다.

 

165p

아메리카 사람들은 달 속에서 남자를 보고, 사모아 사람들은 베 짜는 여인을, 동인도 사람들은 토끼를, 중국 사람들은 방아 찧는 원숭이를 보는데? 요컨대 화성과 달 위의 형상은 모호해서 마음대로 해석하기가 쉽다. 달에 무엇이 있을지에 대해서 선입견을 갖고 있었을 때는 특히 더 그렇다.

 

166p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모호한 자극들 속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발견하게 된다. 사실 이것은 파레이돌리아(pareidolia)라고 하는 아주 일반적인 인식 현상이다. 화창한 여름날 풀밭에 누워 하늘을 볼 때 구름 속에서 온갖 형상의 이미지 보이는 것도 한 예다.

 

168p

몇 해 전, 신경생리학자 와일더 펜필드는 두뇌의 다양한 부위에 전기충격을 가하면 생생한 환각을 경험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또 신경과학자 마이클 퍼싱거는 전자석이 들어 있는 헬멧을 머리에 쓰면 유체이탈을 경험하거나 누군가 방 안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거나 강렬한 종교적 체험을 할 수 있다고 보고 했다.

 

* 조 니켈은 이런 환각들이 자기력의 자극이 아니라 피실험자의 암시감응성 때문일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들도 있다고 보고했다.

 

169p

게다가 많은 사람들이 암시에 아주 잘 걸려든다. 실제로 우리 중 5~10%는 쉽게 최면에 빠진다고 한다. 강한 암시가 우리의 인식과 믿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173p

예를 들어 보자. 두뇌에는 약 30개의 서로 다른 시각 영역이 존재하는데, 이 영역들은 깊이나 운동, 색채 등 서로 다른 특징을 지각해 내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두뇌의 중측두 영역에 손상을 입으면, ‘동작맹으로 고통을 받는다. 이런 사람은 사물이나 사람은 알아보고 책도 읽을 수 있다. 하지만 차가 질주하는 모습을 봐도, 연속적인 움직임 대신에 정적인 순간촬영 사진 같은 일련의 장면들만 인식하게 된다. 그래서 커피도 잘 따르지 못한다. 커피잔 속에서 카피가 얼마나 빨리 차오르는지 가늠할 수 없기 때문이다.

 

174p

시각경로에 손상을 입은 사람은 찰스버넷증후군(Charles Bonner syndrome)으로 고통 받을 수 있다. 이런 사람들은 흔히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시각을 상실한다. 하지만 실제보다도 더 생생한 환영을 본다.

 

175p

우리의 전두엽은 얼굴과 사물을 인식하게 해 준다. 그래서 이 부분에 손상을 입으면 부모의 얼굴도 못 알아본다. 그런가 하면 카그라스중후군(Capgras Syndrome)에 걸린 환자는 가까운 친지를 사기꾼으로 오인한다. 상대의 얼굴을 알아보지만, 상대가 자신의 부모를 형제자매로 가장하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176p

과거의 경험도 우리가 보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생의 대부분을 눈이 먼 상태로 지내다가 시력을 회복했다고 하자. 이런 사람은 새로운 사물을 손으로 먼저 만져보아야 인식할 수 있다. 과거에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사물을 접하면, 과거에 그랬던 것처럼 사물을 손으로 만져보아야 비로소 이것을 수 있다는 말이다. 한 예로, 수직선만 보이는 환경에서 자란 고양이는 수평의 사물들을 인식하지 못하는 반면, 수평적인 환경에서 자란 고양이는 수직의 사물들을 인식하지 못한다. 또 새끼 때 수직선만 보고 자란 고양이를 나중에 보통의 환경 속에 데려다놓으면, 탁자의 평평한 가장자리를 볼 수 없어서 탁자 끝에서 떨어진다고 한다.

하지만 세계를 인식할 때 생기는 문제가 시각에서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환각지를 생각해 보자. 팔이나 다리를 잃은 환자는 때로 팔다리가 그대로 붙어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실제로 환각지가 엄청난 통증을 일으켜서, 자살을 생각하기도 한다. 한 예로, 어느 의사가 버거병(Buerger’s disease)에 걸렸다. 이 병으로 다리에 경련이 일자. 그는 통증이 너무 심해서 다리를 절단해 버렸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그의 환각지에서 통증이 계속되었다!

 

177p

태어날 때 우리의 두뇌 속에는 1000억 개도 넘는 뉴런이 있다. 이 각각의 뉴런은 축색돌기와 수지상돌기를 갖고 있는데, 축색돌기는 다른 뉴런에게 정보를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고 수지상돌기는 다른 뉴런들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이는 일을 한다. 또 뉴런들은 시냅스에서 다른 뉴런들과 접촉하는데, 모든 뉴런은 1000~1만 개의 시냅스를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모래 한 알 크기의 두뇌 속에는 약 10만 개의 뉴런과 200만 개의 축색돌기, 10억 개의 시냅스가 있으며, 이것들 모두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그리고 이 신경조직들 어딘가에서 문제가 생기면, 우리는 외부의 실제를 실제와는 전혀 다르게 인식한다.

 

191p

이처럼 실제로는 존재하지도 않는데 연관성이 있다고 인식하는 현상을 일컬어 착각성 상관(illusory correlation)이라고 한다. 로르샤흐 잉크 테스트에 대한 다른 반응들도 비슷한 문제를 보여준다. 환자가 고양이가 거울을 들여다보고 있는 게 보여요.”와 같은 반사반응을 보이면, 임상의들은 보통 환자에게 자기도취적인 성향이 있다고 해석한다. 반사반응과 자기도취 사이에 아무런 연관성이 없다는 연구 결과가 있는데도 말이다.

 

210~211p

그런데 나중에 피실험자들에게 이 학생이 꾼 꿈 중에서 기억나는 것을 묻자, 현실로 실현된 꿈들을 더 많이 기억했다. 예언도 마찬가지다. 적중한 것만 기억하고 빗나간 것은 잊어버린다.

 

213p

이미 설명한 것처럼, 포러 효과는 아주 일반적인 묘사 속에서 자신의 성격적 특성들의 일부를 확인하는 현상이다. 사실은 애매모호하고 일반적인 설명인데도, 이것이 특별히 자신을 설명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포러 효과 예로 내가 즐겨 쓰는 것이 있다. 어느 과학자가 무료로 천궁도를 해석해 주겠다고 파리 신문에 광고를 냈다. 그리고 응모자 150명에게 전부 똑같은 천궁도 해석을 보냈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해석을 읽은 사람들 중 94%가 이 해석이 맞는다고 답했다. 이 천궁도가 실은 프랑스인 연쇄발인범의 것이었다는 사실을 알면 그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정말로 궁금하다!

 

215~216p

누군가 부엌에 앉아서 전화번호부를 보고 서로 다른 사람들에게 2000통의 편지를 보냈을 수도 있다. 이 편지들 중 반은 매크로테크 주가가 오를 것이라고 적고, 나머지 반은 주가가 내릴 것이라고 적는다. 그리고 그 달에 매크로테크 주가가 오르자, 매크로테크 주가가 오를 것이라는 편지를 보낸 1000명의 사람들에게만 다시 편지를 보낸다. 역시 이중 반은 주가가 오를 것이라는 내용을 보내고, 나머지 반은 주가가 내릴 것이라는 편지를 보낸 500명의 사람들에게만 다시 편지를 보낸다. 역시 반은 다음 달에 주가가 내릴 것이라고, 나머지 반은 주가가 오를 것이라고 적어 보낸다. 역시 이 중 반은 다음 달에 주가가 내릴 것이라고, 나머지 반은 다음 달에 주가가 오를 것이라고 적어 보낸다. 그런데 어쩌다 당신이 네 번 연속 정확한 예측 편지를 받은 125명 중에 들었다고 하자. 당신은 당연히 이런 적중률을 보고, 이 회보가 400달러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다. 그래서 결국 정기구독을 신청한다. 다른 124명도 똑같이 생각한다면, 편지를 보낸 사람은 아마 부엌에 앉아서 엉터리 편지들을 보낸 대가로 단번에 5만 달러를 긁어모을 것이다.

 

231p

요컨대 아무리 정교한 모델로도 미래를 분명하게 예측하지는 못한다. 한 예로, 1995년 이코노미스트가 1985년에 실시했던 아주 흥미로운 콘테스트 결과를 발표했다. 이 콘테스트에서 주최자들은 배경이 서로 다른 사람들에게 10년 후 영국의 경제상을 정확히 예측해 보라고 했다. 어떤 사람들이 이겼을까? 환경미화원들이 네 명의 다국적기업 회장과 똑같이 1등을 차지했다. 본질적으로 예측이 불가능한 사안일 경우에는 특정 분야에 대한 지식의 양도 미래를 예측하는 데 별 도움이 안 된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231~232p

보통 경제학자의 특정한 믿음이나 가설이 경기예측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런 가설들은 경제의 미래를 상당히 다르게 예측하도록 만든다. 사실 두 명의 학자가 정 반대의 학설로 노벨상을 받을 수 있는 학문은 경제학뿐인 것 같다. 사람들이 경제학의 첫 번째 법칙을 믿게 된 것도 이런 상황 때문이다. “경제학의 첫 번째 법칙은, 모든 경제학자에게는 반대를 가진 동등한 경제학자가 있다는 것이다.”

 

232p

한 가지 이유는, 경제학자들이 경제 분야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찰해서 가설을 검증하는 것 같은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에 이들은 흔히 정교한 이론을 만들어낸다. 그러나 이런 이론들은 논리적으로는 일관성이 있을지 모릐만, 대개 비실제적인 개념들을 토대로 하고 있다. 한 예로, 사람들이 언제나 이성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이 경제학자들의 기본 가정의 하나다.

 

234p

기상이 대단히 혼돈스러운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이런 장기예측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이렇게 하고 있다. 조사 결과, 기상과는 12~44시간 이후의 날씨를 예보할 때만 기온이나 구름의 양, 강수의 확률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제로 미국기상학회도 10일에서 14일 이후는 날씨를 예측하기가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인정했다.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 해도, 그렇게 멀리 내다보는 것은 경제적으로 불가능할 것이다.

 

236p

최근 몇 년 사이 기상학자들은 폭풍우를 감지해 내고 하루나 이틀 후의 단기적인 기상상태를 예측하는 일에서는 장족의 발전을 보여주었다. 실제로 셰든도 기상학만이 유일하게 향상의 기미를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장기예측은 여전히 믿기가 어렵다. 그렇다면 왜 장기적인 예측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는 것일까? 의아할 것이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앞날을 내다보고 싶은 바람 때문인 것 같다.

 

244p

우리에게는 확인을 받으려는 타고난 성향이 있다. 기존의 믿음과 기대를 지지해 주는 정보에만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인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대통령 간담회를 볼 때도 자신의 정치적인 견해에 부합되는 정보에 더 주의를 기울인다고 한다. 또 초감각적 지각력을 믿는 이들에게 초감각적 지각력에 대한 연구 자료를 보여준 결과, 상반되는 자료들보다는 초감각적 지각력을 지지해 주는 자료들을 더 많이 기억했다.

 

245p

* 자신이 믿고 싶은 것을 선호하는 성향은 우리가 보는 자료는 물론이고 우리가 찾는 자료의 양에도 영향을 미친다. 처음에 본 자료가 우리가 믿고 싶은 것과 일치하면, 우리는 흔히 만족해서 조사를 멈추어버린다. 그러나 처음에 본 자료가 우리 믿음과 일치하지 않으면, 흔히 믿음을 지지해 주는 것을 발견할 때까지 계속 자료를 찾는다.

 

246p

마이클 셔머가 지적한 것처럼, 대개의 경우 우리는 무언가를 믿을 때 실험에서 입증된 증거나 논리적인 추론에 의지하지 않는다. 그보다 부모나 형제자매의 영향, 동료들의 압박, 교육, 삶의 경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정서적이고 심리적인 원인들로 인해 특별히 선호하는 믿음을 갖게 된다. 그러고는 이런 믿음을 지지해 줄 증거들을 찾아 나선다. 실제로 똑똑한 사람들이 이상한 것들을 믿게 되는 이유도 바로 이런 과정에 있다. 셔머의 말처럼 똑똑한 사람들이 이상한 것들을 믿는 이유는, 이들이 바보 같은 연유로 갖게 된 믿음을 방어하는 데 아주 뛰어나기 때문이다.”

 

250p

확인받으려는 성향도 정보를 구하는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배리를 모르는 상황에서 다음 중 두 개의 질문을 던져서 그가 외향적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고 하자.

 

1) 어떤 상황에서 말이 가장 많아지는가?

2) 사람들에게 마음을 열고 다가가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3) 파티에서 분위기를 띄우기 위해 어떻게 하나?

4) 시끌벅적한 파티에서 어떤 점들이 마음에 안 드나?

 

당신은 네 가지 중 어떤 질문을 던지겠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1번과 3번 질문을 선택한다. 그러나 배리가 내향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질문을 던질 때 2번과 4번 질문을 던지는 경향이 있다. 왜 그럴까? 1번과 3번 질문은 외향적인 행위와 더 관련이 있는 반면, 2번과 4번 은 내향성과 관계된 것이기 때문이다.

 

253p

요컨대 배심원들은 가혹한 판결을 먼저 접했을 때 가혹한 판결을 내리고, 관대한 판결을 먼저 접하면 덜 가혹한 평결을 내린다. 그러므로 재판장이 혐의 사항만 알려주고, 심의 순서는 정하지 않는 게 더 좋을 수 있다. 또는 무죄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가장 관대한 판결을 먼저 심의하는 것이 우리의 법철학과 더 잘 부합될 수도 있다.

 

256p

서로 다른 카드들 위에 아래의 글자와 숫자들이 적혀 있다고 하자. 카드의 한 면에는 숫자가, 다른 면에는 글자가 적혀 있다. 그런데 누군가 카드 한 면에 모음 글자가 적혀 있으면, 이 카드의 다른 면에는 짝수가 적혀 있다.”고 말한다. 이 사람의 말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려면, 어느 카드를 뒤집어보아야 할까?

 

E K 4 7

 

다른 대부분의 사람들과 같다면, 당신은 E4가 적힌 카드 또는 E만 적힌 카드라고 답할 것이다. 실제로 128명 중에서 E4라고 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59), 그 다음이 E(42) 순이었다. 왜 이렇게 답한 것일까? 확인시켜주는 증거가 들어 있는 카드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답은 E7이 적힌 카드다.

 

258p

확인 전략도 올바른 답을 얻게 해주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이 전략을 폭넓게 적용해서 정확한 판단을 많이 내리기도 한다. 그러나 이 전략에 지나치게 의존하면, 총체적으로 잘못된 판단을 내리기 쉽다. 왜 그럴까? 검증하려는 가설을 지지해 주는 증거도 많지만, 상충되는 증거도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설을 뒷받침하는 자료에만 초점을 맞추면, 이 가설과 상충되는 자료들이 더 확실할 때도, 이 가설을 받아들이기 쉽다. 요컨대 확인 전략을 쓰면, 잘못된 판단으로 인도하는 불완전한 정보에 의존하기 쉽다.

 

* 물론 언제나 모든 자료들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모든 관련 자료에 주의를 기울이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회사의 고용실태를 평가할 때, 취직에 성공한 사람들이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 있지만 입사에 실패한 사람들에 대해서는 알 길이 없다.

 

259p

단적인 예로 자신의 가설이 틀렸다는 말을 들어도, 이들 중 70%는 여전히 자신의 가설을 확인시켜주는 증거들을 구했다. 이런 성향을 해결하는 방법은, 가설의 부당성을 입증해 주는 증거를 더욱 강화시키는 쪽으로 질문을 구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급 투자 분석가는 판단을 내리기 전에 자신의 가설이 틀렸음을 입증해 주는 증거들을 특별히 구한다.

 

264~265p

이처럼 우리는 흔히 유사성을 근거로 판단을 내린다. AB와 유사하면, AB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요컨대 같은 것끼리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런 전략을 일컬어 대표성 간편추론법(representativeness heuristic)”이라고 한다. AB를 대표하는 정도를 토대로 판단을 내리기 때문이다.

이 대표성 간편추론법은 많은 경우에 아주 효과적이다. 하지만 다른 관련 자료들을 간과해서 결국은 잘못된 판단을 내리게도 한다. 예컨대 스티브의 직업을 판단할 때, 어느 마을이든 도서관보다는 가계가 더 많으므로 도서관 사서보다 세일즈맨이 더 많다는 사실을 간과하는 것이다. 세일즈맨은 보통 소심하고 내성적이지 않다고 해도, 세일즈맨의 수가 더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소심하고 내성적인 세일즈맨도 있을 수 있다. 실제로 도서관 사서보다 소심한 세일즈맨이 더 많을 수 있다는 말이다.

 

같은 것은 같은 것끼리 어울린다는 믿음은 하나가 다른 것의 원인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왜 그럴까? 결과는 원인과 비슷하다는 생각 때문이다. 이런 생각으로 아주 기이한 의학적 관행이 오랜 세월 지속되기도 했다. 예컨대 중국에서는 시력에 문제가 생기면 다 자란 박쥐를 처방했다. 박쥐는 시력이 좋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또 유럽에서는 천식에 여우 폐를 이용하기도 했었다. 여우는 원기가 강하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그런가 하면 몇몇 대체 의학에서는 정신 질환에 가공하지 않은 뇌를 처방한다. 정신부석도 상당 부분 우리의 사고에 대해서 비슷한 접근법을 취한다. 예컨대 정신분석가들은 어린 시절 구강기에 고착되어 있으면, 어른이 되서도 입에 집착해서 흡연과 입맞춤, 이야기를 지나치게 많이 한다고 주장한다.

 

266~267p

의사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면, 당신은 어느 정도나 걱정을 해야 할까?

 

· 실제로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경우, 이 검사는 바이러스 감염 사실을 100%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 실제로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았는데 검사 결과 양성으로 나올 가능성은 5%.

· 500명 중에 1명은 이 바이러스의 보균자이다.

 

그렇다면 정말로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대부분의 사람은 95% 정도라고 답할 것이다. 그러나 기억하는가? 정답은 4%에 불과했다! 어떻게 이런 답이 나올 수 있을까? 야간의 논리를 적용해서 계산을 해 보자.

500명 중에 1명이 이 바이러스 보균자라면 다른 499명에게는 이 바이러스 감염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았는데 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나올 가능성이 5%라고 한다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았는데 감염 진단을 받은 사람은 이 검사에서 25(0.05X499)이나 나올 수 있다. 5%를 일컬어 가양성률(false positive rates)이라고 한다. 사실은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았는데, 검사 결과 감염된 것으로 잘못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267p

하지만 대략 95%라고 답했어도 스스로를 멍청하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 하버드 의대 부속병원 소속 의사 60명과 의대생, 사회복지시설 근무자들에게 비슷한 질문을 던진 결과, 대부분이 95%라고 답했기 때문이다. 의료 종사자들 중 절반이 95%라고 답한 반면, 정답을 말한 숫자는 11명밖에 안 됐다. 자신의 직업과 관련된 문제에서도 의료전문가들 역시 판단의 오류를 범한 것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지적인 사람들도 대개는 이런 문제들을 올바로 푸는 훈련을 받지 못했다.

 

268~269p

검사 결과를 토대로 판단을 내릴 경우, 진단가는 아주 중요하다. 한 예로, 많은 사람들이 거짓말탐지기에 의존하고 있다. 경찰은 물론 변호사들도 죄인을 신문할 때 이것을 이용한다. 또 미국 연방수사국에서도 고용인들을 조사할 때 이것을 쓴다. 그러나 거짓말탐지기의 진단가는 2%밖에 안 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앞의 바이러스 검사에서 살펴보았듯이, 실제로 감염이 일어나는 기준율이 아주 낮고 진단가가 20이었을 때, 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나왔어도 실제로 감염이 됐을 가능성은 4%밖에 안 됐다.

 

270p

예를 들어 회계감사원은 회계감사 결과를 판단할 때 파산예측 모델을 이용한다. 그런데 어느 연구에서 회계감사원에게 파산예측 모델의 실양성률은 90%인 반면 가양성률은 5%이고, 모든 회사 중에서 약 2%는 파산한다고 말해 주었다. 이 자료에 따르면, 파산예측 모델상에서 파산이 예측됐을 경우 회사가 정말로 파산할 가능성은 27%일 것이다. 그러나 회계감사원이 내놓은 평균 파산가능성은 66%였으며, 이들이 가장 많이 한 대답은 80%였다. 초보자보다 더 잘 알 것 같은 전문가도 가능성을 판단할 때 기준율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것이다.

 

271p

어떤 경우든 극단가(extreme value) 뒤에는 대개 극단가보다 못한 값이 온다. 부모의 키가 크면 아이도 키가 클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대개는 부모만큼 키가 크지 못하고, 일반적인 평균 신장에 더 가까워진다. 사람들의 평균 신장으로 회귀하는것이다. 마찬가지로 듀발이 지금은 평소보다 더 많은 버디를 기록해도, 다시 그의 평균기록으로 돌아가, 이 게임에서 버디를 다시 못 낚을 가능성이 크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흔히 이런 사실을 망각하고, 그가 드디어 불이 붙었다고 생각한다.

 

* 대표성 간편추론법은 평균회귀 현상을 무시하게 만든다. 어떤 것의 미래를 예측할 때, 흔히 비슷한 기준을 근거로 예측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학생이 첫 번째 시험에서 예외적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하면, 다음 시험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으리라고 예측한다.

 

272p

평균회귀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면, 교육에서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한 예로, 연구자들은 이례적으로 이륙이 부드럽게 이루어졌을 때 교관이 학생을 칭찬해 주면, 학생들이 다음 비행에서는 제대로 이륙을 못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에 이륙이 거칠었을 때 꾸짖어주면, 다음번 시도에서는 대부분이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그 결과 교관들은 언어적인 칭찬은 해로운 반면, 징벌은 유익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런데 교육에서 정말로 징벌이 칭찬보다 효과적인 것일까? 학생들이 이런 결과를 보인 것은 평균회귀 현상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273~274p

다른 예를 들어 보자. 동전을 아무 생각 없이 여섯 번 던지면, 다음의 (A)(B) 중에서 어떤 식으로 나올 가능성이 더 클까? (A)? (B)? 아니면 둘 다 가능성이 똑같을까?

 

(A) H T H T T H

(B) H H H T T T

 

대부분은 (A)라고 답한다. 그러나 사실은 둘의 가능성이 똑같다. 왜 그런 걸까? 동전던지기는 다음번 동전던지기와 상관이 없기 때문에, 앞면이나 뒷면이 나올 확률은 매번 2분의 1이 된다. 그러므로 (A)(B)의 확률을 구하려며, 2분의 1을 여섯 번(동전을 던지는 횟수) 곱하면 된다. 그러므로 두 개의 연속 모두 64분의 1, 1.5%가 나온다.

 

276p

고정화의 오류

다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정관념을 갖고 타인을 판단한다. 이것은 단순화 전략의 하나다. 이 기법을 쓰면, 오래 생각하지 않아도 상대방이 어떻게 행동할지 짐작할 수 있다. 상대방을 특정한 유형으로 분류한 다음, 상대의 다양한 특성들을 이 유형에 꿰맞추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 고정관념은 계속 유지된다. 자신의 생각을 확인시켜주는 증거만을 찾는 성향으로 인해 자신의 고정관념에 들어맞는 면만을 보기 때문이다.

 

* 대표성 간편추론법을 쓸 때처럼, 일반화시킬 때도 유사성에 관심을 기울인다. 그러나 일반화하면, 개인을 집단의 일부로 생각하고, 이 집단에 대한 우리의 고정관념에 따라 집단의 여러 특성이 개인에게도 있다고 생각한다.

 

277~278p

미국에서 비행기 추락사고로 죽을 가능성과 상어에게 먹혀 죽을 가능성 중에서 어느 쪽이 더 클까? 대부분은 상어에게 죽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답한다. 하지만 비행기 추락사고로 죽을 가능성이 30배는 더 높다. 또 다른 예로 다음과 같은 죽음의 원인들을 생각해 보자. (1)독살이나 결핵 (2)백혈병이나 폐기종 (3)살인이나 자살 (4)온갖 사고나 뇌졸중 중에서 어느 것이 더 가능성이 높을 것 같은가? 두 번째가 더 일반적인 원인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첫 번째를 고른다. 실제로 뇌졸중으로 죽을 확률이 40배는 더 높은데도, 사고로 죽을 확률이 뇌졸중보다 두 배는 더 높다고 생각한다.

 

278p

예를 들어 k로 시작하는 단어가 더 많을 것 같은가? 아니면 k가 세 번째로 오는 단어가 더 많을 것 같은가? 대부분은 k가 처음에 오는 단어가 더 많다고 생각한다. 사실은 k가 세 번째로 오는 단어가 두 배는 더 많다.

이렇게 오판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k로 시작하는 단어를 찾기는 쉽지만, k가 세 번째로 오는 단어는 생각해 내기가 더 어렵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는 가용성 간편추론법을 쓰기가 쉽다. 보통 특별한 것보다 일반적인 일을 더 쉽게 기억하고 상상할 수 있기 때문에, 가용성 간편추론법을 쓰면 이런 사건들을 과대평가하게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피실험자들에게 명단을 주고 이들 중에 남자가 더 많은지 어떤지를 판단해 보라고 했다. 하나의 그룹에는 잘 알려진 남자들 이름이 들어 있는 명단을 주고, 다른 그룹에는 잘 알려진 여자들 이름이 포함된 명단을 주었다. 그러자 두 그룹 모두 잘 알려진 인물이 남자(여자)일 때는 남자들(여자들)이 더 많다고 오판했다.

 

278~279p

비행기로 750마일을 여행해야 한다고 하자. 그런데 친구가 공항까지 20마일이나 되는 거리를 차로 태워다 주었다. 친구는 당신을 터미널에 내려주고 이렇게 말한다. “안전한 여행되길 빈다.” 하지만 당신이 이 친구에게 집까지 안전하게 돌아가라고 당부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당신이 비행기를 타고 가다가 사고로 죽을 가능성보다 친구가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자동차 사고로 죽을 가능성이 세 배는 더 높다.

 

279p

부모에게 아이를 키우면서 가장 걱정되는 일이 무엇이냐고 묻자, 유괴라고 답했다. 실제로 아이가 유괴당할 가능성은 70만 분의 1에 불과한데도 말이다! 반면에 아이가 교통사고로 죽을까 봐 걱정하는 부모는 훨씬 적었다. 교통사고로 죽을 가능성이 유괴당할 가능성보다 100배는 더 높은데도 말이다. 부모들이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유괴사건이 일어나면 대중매체에서 크게 다루지만 교통사고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280p

대부분의 사람들은 복권이 우리의 삶을 더 행복하게 만들어줄 거라는 생각에 복권을 사러 24시간 편의점으로 달려간다. 그러나 심리학자 데이비드 메이어가 지적하듯, 복권을 사기 위해 10마일을 운전해서 갈 경우, 복권에 당첨될 확률보다 교통사고로 죽을 확률이 16배는 더 높다.

 

281p

이렇게 일을 억지로 밀고 나간 이유는, 농축코카인을 포함한 마약매매를 심각한 국내 문제로 대중에게 인식시키기 위해서였다. 실제로는 지난 10년간 미국인의 마약 사용량이 줄어든 상황이었는데도 말이다. 그런데도 대중매체는 농축코카인이 인간에게 알려진 약물 중에서 중독성이 가장 강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미국 공중위생국 장관의 보고에 따르면, 농축코카인 사용자 중에서 중독자는 33%가 채 안 되지만, 일정 기간 담배를 피운 사람들 중에서 담배에 중독되는 비율은 80%나 된다.

 

282p

1980년대 말, 미국 국회는 코카인 가루보다 농축코카인을 소지했을 때 더 과중한 형량을 부과하라고 요구했다. 그런데 1990년대 중반까지 코카인 가루는 주로 백인들이 사용하고 농축코카인은 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마약 관련 수감자 중에서 네 명 중 셋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다. 실제로는 백인이 코카인을 더 많이 사용했는데도 말이다.

 

283~284p

10이나 200이라는 숫자는 사실 아무 상관이 없는 것이다. 그런데도 이렇게 숫자를 높여서 질문하자, 전문가들이 추정한 회사의 수는 거의 세 배나 증가했다. 왜 그런 것일까? 이들이 정박과 조정(anchoring and adjustment)이라는 간편추론법을 썼기 때문이다. 이 추론법에서는 먼저 추산(, 정박)을 한 다음, 새로운 정보가 얻어질 때마다 이것을 조정한다. 그러나 처음에 추정을 잘못하거나 새로운 정보가 생겼을 때 조정을 충분히 안 하면, 문제가 발생한다.

 

284p

또 다른 예로 다음의 문제를 생각해 보자. 어떤 식으로든 계산은 하지 말고, 5초 동안 추산해 본다.

 

8X7X6X5X4X3X2X1=?

 

답이 어떻게 나오는가? 사람들은 평균 2250이라고 답했다. 그럼 다른 그룹의 사람들에게 다음의 문제를 물으면 어떻게 답할까?

 

1X2X3X4X5X6X7X8=?

 

숫자는 똑같은데, 평균 512라고 답했다. 이유가 뭘까? 사람들은 처음의 숫자들을 정박시켜둔다. 그런데 첫 문제의 경우 이 숫자들이 더 높으므로, 사람들이 답으로 내놓은 숫자도 더 높아졌다.

 

287p

실제로 단순화 전략이 도움이 되는 경우들은 많다. 가용성 추론법을 쓰면, 관련 정보들을 힘들게 전부 조사하는 대신에 가장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자료들을 기억 속에서 끄집어내면 된다. 이런 방법이 효과적인 이유는, 우리가 흔히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큰 일반적인 일들을 가장 쉽게 떠올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감기에 걸린 사람들을 더 많이 보아왔기 때문에 암보다 감기에 걸릴 가능성이 더 크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생각은 우리를 올바른 판단으로 인도한다.

 

290p

컵에 물이 반이나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컵에 물이 반밖에 안 된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나는 컵이 너무 크다고 생각한다.

- 조지 칼린

 

292p

요컨대 이 두 쌍의 시나리오가 제시하는 선택은 똑같지만, 우리는 아주 다르게 반응한다. 왜 그럴까? 질문의 (frame)’이 다르기 때문이다. 첫 번째 질문은 목숨을 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듣는 사람도 이득이라는 틀 속에서 생각하게 된다. 반면에 두 번째 질문은 목숨을 잃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상실의 틀 속에서 생각하게 된다. 요컨대 문제를 이득의 틀에서 보느냐 상실의 틀에서 보느냐에 따라, 결정이 달라진다는 말이다. 단적인 예로 그 유명한 컵을 반이나 찬 것으로 보느냐 아니면 반밖에 차지 않은 것으로 보느냐에 따라 우리의 판단은 정말로 달라진다!

 

293p

한 예로, 71명의 노련한 경영자들에게 비슷한 상황에서 사업적인 결정을 내리게 했다. 이 경우 경영자들은 처음의 대안을 선택하면 40만 달러를 잃거나 20만 달러를 얻게 되어 있었다. 그런데 40만 달러를 잃는 것으로 질문의 틀을 잡자, 이 대안을 선택한 경영자는 25%밖에 안 됐다. 반면에 20만 달러를 얻는 것으로 틀을 잡았을 때는 63%가 이 대안을 선택했다.

 

이들 중 일부는 문제를 삶의 틀에서 보게 하고, 다른 이들은 죽음의 틀에서 생각하게 했다. 예컨대 이중 약 반에게는 수술을 받으면 1년 이상 살 가능성이 68%라고 말해 주고, 나머지 반에게는 수술을 받으면 1년 안에 죽을 확률이 32%라고 말해 주었다. 그러자 전자의 경우에는 75%가 수술을 선택한 반면, 후자는 58%만 수술을 선택했다.

 

295p

방금 1000달러를 잃었다고 하자. 기분이 어떨까? 그럼 이제 1000달러를 벌였다고 생각해 보자. 대부분이 1000달러를 벌었다며 기뻐할 것이다. 그러나 더욱 강하게 반응하는 것은 1000달러를 잃었을 때다. 1000달러를 번 것보다 1000달러 잃은 것을 더욱 크게 느끼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을 심리학자들은 손실혐오(loss aversion)라고 부른다.

 

296p

이번에는 이 운동 경기를 보고 싶은데 표가 없다고 생각해 보자. 이 표를 사는 데 얼마까지 기꺼이 지불할 수 있겠는가? 갖고 있던 표를 팔 때는 대개 표를 살 때 지불했던 금액의 두 배를 요구한다. 왜 그럴까? 자신의 것을 잃고 싶지 않은 마음 때문이다. 그래서 자신의 소유물은 가치를 과대평가하고, 타인의 소유물은 과소평가한다.

 

297p

이것을 소유효과라 부르는 이유는 어떤 물건이 우리의 소유물일 때 그 가치를 더욱 높게 평가하기 때문이다.

 

299p

심적회계가 일어나면, 우리는 돈을 서로 다른 범주나 계좌 속에 집어넣고, 이 계좌의 성격에 따라 돈을 다르게 다룬다. 그러나 사실 이런 심적 회계로 인해 돈을 낭비하기도 한다. 그래서 전통적인 경제학에서는 모든 돈을 대용 가능성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말한다. 월급이든 선물로 받은 돈이든 도박에서 딴 돈이든, 다르게 생각하면 안 된다는 말이다. 이 돈들은 모두 똑같이 가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똑같이 취급해야 한다.

 

대부분이 세금환급금을 거저 얻은 돈으로 생각해서 마구 써버린다. 세금환급금이 사실은 월급의 일정액을 강제로 저축해 두었다가 나중에 지불받을 돈인데도 말이다. 자발적으로 월급에서 일정액을 떼어 저축했을 때는 나중에 이 돈을 어떻게 쓸지 신중하게 생각하면서도, 세금환급금은 전혀 이렇게 다루지 않는다. 왜 그럴까? 마음속으로 세금환급금을 별도의 계좌 속에 집어넣고 있었기 때문이다.

 

* Why Smart People Make Big Money Mistaken, p.36. 환급액의 크기도 영향을 미치는 한 가지 요인이다. 적은 금액은 대개 써버리지만, 큰 금액은 은행에 숨겨둔다. 환급액이 많으면 쓸 돈도 많을 텐데 이렇게 하다니, 참 재미있는 일이다.

 

301p

마찬가지로 F. Leclerc, B. Schmitt, and L. Dube, “Waiting Time and Decision Making: Is Time Like Mone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1995)를 본다. 이들은 사람들에게 표를 사려고 40분 동안 기다리는 일을 면하는 것에 얼마를 쓰겠냐고 물었다. 그러자 사람들은 표 값이 45달러일 경우 15달러일 때보다 두 배는 더 많은 금액을 지불하겠다고 답했다.

 

304~305p

흑인이 농구계를 주름잡는 이유는 무엇일까? 유전적 자질을 포함한 온갖 이유들이 제시되었다. 어떤 이는 흑인이 더 높이 도약하고 더 빨리 달릴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논리대로라면 흑인이 농구에서 월등한 능력을 보여주는 건 놀랄 일이 아니다.

사실 다른 식으로는 설명이 어렵기도 하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설명하는 것은 사후확산편향(hindsight bias) 때문이다. 어떤 일이든, 사람들은 그 일을 처음부터 분명했던 것처럼 여기게 만드는 인과적 설명을 찾아낸다. 그래서 흑인이 유전적 특질 덕분에 프로 농구계를 지배하게 되었다는 말도 명백한 사실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다음의 사실을 기억해 보라.

한때는 유대인 농구계를 지배했었다. 1920~1940년대까지 농구는 주로 이스트 코스트의 도시빈민 지역에서 행해졌다. 당시 농구를 했던 사람들은 대개 억압받던 유대인이었다. 그런데 르포 기자인 존 엔티네의 말에 따르면, 유대인이 농구계를 장악하자 당시 스포츠 기자들도 그 원인을 여러 가지로 분석했다고 한다. “기자들은 유대인이 유전적·문화적으로 농구 경기의 긴장과 체력을 잘 견디게끔 되어 있다는 견해를 내놓았다. 또 키가 작은 사람은 균형도 잘 잡고 뛰는 속도도 더 빠르기 때문에 유대인이 농구를 하기에 유리하다는 견해도 있었다. 한편 유대인이 주의력도 더 뛰어나고 더 영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었다.”

 

306p

어떤 일의 결과를 알게 되면, 사람들은 대개 두 가지 반응을 보인다. (1)결과를 불가피한 것처럼 여긴다. (2)일이 그렇게 되어버린 이유를 쉽게 결론지어 버린다. 요컨대 어떤 일의 결과를 알면, 우리는 자신의 기억을 재구성한다. 그 일이 일어나기 전에 엄연히 존재했던 불확실성들은 잊어버리고, 실제로 벌어진 일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과거를 재국성하는 것이다. 지식의 저주가 아닐 수 없다!

 

이처럼 사후확신편향이 있으면, 경험을 통해 배우기도 힘들어진다. 결과를 보고 스스로를 일깨우지 않으면, 결과를 통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없기 때문이다.

 

307p

의사나 변호사, 증권분석가, 기술자 등과 같은 전문가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한 예로, 의사들은 폐렴 진단을 내리고 나서 자신의 진단을 88% 확신했다. 그러나 실제로 폐렴에 걸린 환자는 20%에 불과했다. 또 변호사들 중에서 68%가 승소를 확신했지만, 실제로 이긴 경우는 50%에 지나지 않았다. 도 주가의 상승과 하락을 전망한 예측들 중에서 정확한 것은 47&에 불과했지만, 사람들은 자신의 예측에 대해서 평균 65%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이뿐인가? 우리 중에서 85%는 자신이 보통 사람들보다 운전을 더 잘한다고 생각한다. 요컨대 우리는 삶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자신의 지식과 능력을 일관되게 과대평가하고 있다.

 

309p

그런데 실패를 기억해도, 우리는 자신의 믿음을 강화시키는 쪽으로 이 실패를 해석한다. 하버드 대학 심리학 교수 에일린 랭거는 이것을 가리켜 앞면 승리 뒷면 승리 가능성(Heads I win, tails its chance)’ 현상이라고 부른다. 도박사들의 행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우리는 결과가 좋으면 우리의 지식과 능력 때문에 그런 긍정적인 결과가 생겨났다고 믿는다. 반면에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나면,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무언가가 그런 결과를 만들어냈다고 생각한다. 그 결과, 실패도 우리의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을 깨뜨리지 않는 쪽으로 재해석한다.

 

311p

어느 연구에서는 휴스턴에 있는 텍사스 대학교 의과 대학생들의 성적을 비교해 보았다. 텍사스 주 의회는 대학 당국에 입학 정원을 늘리라고 권고했다. 그래서 대학 당국은 입학사정위원들의 면담 결과, 지원학생들 중에서 하위에 드는 학생들도 입학시켰다. 그런데 입학사정위원들이 상위 그룹으로 평가한 학생들과 이 학생들은 대학 성적에 별 차이가 없었다.

 

315p

실제로 전문가들의 직관적 판단이 통계학적 자료에만 의자한 판단보다 별로 정확하지 않다는 연구 결과들이 많다. 사실 대부분의 경우에 직관적 판단이 더 부정확했다. 그런데도 우리는 자신의 직관적 판단을 여전히 확신한다.

그런데 전문가들의 판단이 이처럼 부정확한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가지고 있는 정보들이 형편없어서 예측을 하기가 어려울 경우들도 있다. 예컨대 믿을 만한 진단법이 없어서, 환자의 병이 심리적인 것인지 신체적인 것인지 판단하기 힘들 때도 있다. 반면에 유용한 정보가 있는데, 이것들을 잘못 해석하거나 오용하는 경우도 있다. 중요한 정보는 무시하면서 덜 중요한 정보를 과대평가하는 것이 이런 경우에 속한다. 또 입학심사위원들처럼 판단할 것들이 너무 많아서 판단 전략을 일관되게 적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326p

19861월 챌린저호 추락사건이 일어나고 얼마 후, 연구자들은 여러 명의 학생에게 이 소식을 처음 어떻게 들었는지 물었다. 그리고 2년 반이 지난 뒤 이들에게 똑같은 질문을 던져보았다. 거의 모든 학생이 2년 반이 지났어도 자신의 기억은 정확하다고 했다. 하지만 이들의 기억 중에서 완벽한 것은 하나도 없었으며, 완전히 틀린 기억도 3분의 1을 넘었다.

 

실제로 이들은 챌린저호가 추락했을 때보다 지금 기억이 더 정확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심리학자 울릭 나이서가 지적한 것처럼, 최초의 기억은 우리 두뇌 속에 그대로 존재하지 않는다. 새롭게 재구성된 실재들이 이 기억들을 대체한다.

 

332p

거짓 자백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흔하게 일어난다. 연구자들은 대학생들에게 자신들이 불러주는 글자를 입력하게 했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망가질 수 있으므로 Alt 키를 누르지 말라고 했다. 학생들 중에서 이 키를 누른 사람은 아무도 없었지만, 연구자들은 이 키를 눌렀다고 학생들을 비난했다. 처음에는 학생들도 이를 부정했다. 그러나 연구자들과 공모한 증인들이 학생들이 Alt 키를 누르는 것을 보았다고 증언하자, 70%의 학생들이 거짓자술서에 서명했다.

 

333p

1692년 세일럼의 마녀사냥으로 19명이 교수형을 당했으며, 한 명이 죽음을 강요당하고 수백 명이 수감되었다. 오늘날에는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없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믿을 수 없는 일들이 지금도 벌어지고 있다. 한 예로, 우리는 이미 억압된 기억을 빌려 우리만의 마녀사냥을 만들어냈다. 이로 인해 학대 같은 범죄행위를 입증하는 구체적인 증거가 없는데도, 되살아난 거짓 기억들로 인해 많은 이들이 감옥에서 썩고 있다.

 

336p

귀인오류 머릿속이 뒤범벅이야!

어느 날 동료들과 점심을 먹고 있는데, 친구 딕이 그의 아내에게 일어난 놀라운 일을 들려주었다. 우리는 전부 그의 아내가 처했던 말도 안 되는 상황에 배꼽을 잡고 웃었다. 그런데 그때 식탁에 있던 한 동료가 이렇게 소리쳤다. “그거, 지난주 심슨네 가족들에 나왔던 이야기 아냐?” 사실인즉, 딕이 심슨네 가족들이라는 텔레비전 쇼에서 본 내용을 그날 아내가 들려준 경험담과 혼동한 것이었다. 믿기 어렵겠지만 이런 귀인오류(misattribution)는 아주 흔하게 일어난다.

 

340p

증인의 잘못된 증언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감옥에 갇히는지는 누구도 정확히 모른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자료는 있다. 목격자 증언을 근거로 판결을 내리는 건수는 미국에서 해마다 75000건이 넘는다. DNA 분석 결과 엉뚱한 사람을 수감한 것으로 밝혀진 40건의 사례들을 최근에 분석해 보았는데, 이 중 36, 90%가 증인의 잘못된 증언과 연관되어 있었다.

 

* 연구자들은 또 거짓 확인도 보고했다. 한 예로, 연구자들은 학생들로 이루어진 증인들에게 일정 시간 동안 범죄자들을 보게 했다. 증인들은 잠재적인 범죄자들에게 면밀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몰랐기 때문에, 그들을 기억해야 한다는 생각도 못했다. 연구자들은 2~3일 후 이들에게 범인들의 얼굴 사진을 보여주고, 이후 4~5일 뒤에는 줄지어 서 있는 용의자들을 보여주었다. 그러자 용의자 열에 서 있던 무고한사람들 중에서 18%를 범인으로 잘못 지목했으며, 얼굴 사진첩 중에서는 29%를 잘못 지적했다.

 

341p

몇몇 기억의 문제들이 두뇌의 특정 부위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은 흥미로운 사실이다. 예를 들어 연구자들은 해마상에 손상을 입은 사람은 기억 결합 오류를 더 많이 저지른다는 점을 밝혀냈다. 게다가 새로운 기억을 저장하는 데도 해마상이 필요했다. 그래서 5년 전에 해마상에 손상을 입은 사람은 그 후의 기억은 전혀 못해도 그 전의 일들은 기억했다. 이것은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두뇌가 특별한 회로로 이루어져 있다는 견해를 뒷받침해 준다. 해마상에 기억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기억을 기록하는 데 해마상이 필요한 것이다. 한 예로, 신경과학자 라마찬드란은 수학과 철학을 논할 수 있는 지적인 환자를 만났다. 그런데 라마찬드란이 잠시 방을 나갔다 돌아오자, 환자는 자신이 그를 만나서 이야기를 나누었다는 것을 전혀 기억하지 못했다.

 

349p

심리학자 스탠리 밀그램은 위와 같은 방식으로 복종에 대한 고전적인 실험을 했다. 밀그램은 먼저 40명의 정신의학자들에게 사람들이 전기 충격을 어느 정도까지 가할 것 같으냐고 물었다. 그러자 희생자가 나가게 해달라고 애원하는 시점, 150볼트 정도의 전압에서 거의 대부분이 멈출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실제로 실험에 참가했던 사람들 중에서 약 62%가 끝까지 전기 충격을 멈추지 않았다!

이들은 우리와 다른 사람들이었을까? 천만에! 이들 역시 희생자에게 가학적이거나 무감각하지 않았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충격을 가할 때 땀을 흘리거나 몸을 떨거나 말을 더듬었다. 그러면서도 멈추지는 않았다. 게다가 남녀, 블루칼라와 화이트칼라, 교육 배경을 막론하고, 각계각층의 다양한 사람들이 이런 식으로 반응했다. 또 오스트레일리아와 요르단, 스페인, 서독 등과 같은 여러 나라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왜 이들은 이런 식으로 행동한 걸까? 권위적인 인물에게 복종하는 성향이 우리의 밑바탕에 깔려 있기 때문이다.

 

350p

이처럼 우리에게는 권위자의 주장을 아무런 의문 없이 받아들이는 성향이 있다. 그러나 권위적인 인물이라고 해서 그의 말을 그대로 믿으면, 부적합한 권위에 호소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권위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개인적이거나 정치적인 계획을 관철시키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354p

애시가 관찰한 바에 따르면, 이럴 때 피실험자가 틀린 판단을 받아들이는 경우는 약 3분의 1 정도였으며, 피실험자들 중에서 4분의 3이 적어도 한 번은 틀린 견해를 받아들였다. 요컨대 다른 사람들이 똑같은 판단을 내리면, 우리는 답이 분명한 문제도 틀리게 판단할 수 있다.

 

355p

우리의 행위 모델인 부모를 모방함으로써 믿음을 형성하기도 한다. 그래서 부모나 다른 권위적인 인물이 우리가 아주 어렸을 적부터 천사와 악마, 지옥이 존재한다고 말하면, 이들과 같아지기 위해서 우리도 이것들을 강하게 믿는다. 실제로 어른이 된 후에도 이것들을 믿지 않는 것은 이상한 일이라고 여긴다. 반면에 환생 같은 다른 종교의 주장은 괴상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부모가 환생이 사실이라고 가르쳐주면, 우리는 천국이나 지옥에 대한 믿음을 쉽게 뒤집어버린다.

 

357p

또 다른 연구에서는 한 사람에게 엘리베이터 안에서 일부러 연필을 떨어뜨려보라고 했다. 다른 사람들이 연필을 집어주는지 보기 위해서였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 안에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연필을 집어주는 경우는 적었다. 실제로 56건의 실험 중 48건에서 똑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대체로 혼자일 때는 도움을 주는 경우가 평균 75%에 달했지만, 여럿이 있을 때는 53%밖에 안 됐다. 흥미롭게도 이런 현상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집단이 딱 하나 있었는데, 바로 아홉 살 미만의 아이들이었다.

또 우리는 무리에 섞여 있을 경우 혼자일 때만큼 열심히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예로, 사람들은 여덟 명으로 이루어진 무리 속에 있을 때보다 혼자일 때 밧줄을 47%나 더 세게 잡아당겼다. 그 뿐만 아니다. 간단한 일이냐 복잡한 일이냐에 따라, 타인의 존재는 우리의 행위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평균 이상의 당구 선수들은 다른 사람들이 보고 있을 때 공을 더 잘 치는 반면, 평균 이하의 선수들은 공을 더 못 쳤다. 실제로 200가지도 넘는 연구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복잡한 일의 경우에는 보는 사람이 있을 때 일의 정확도가 떨어진 반면, 간단한 일의 경우에는 정확도가 약간 높아졌다.

 

360p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의 믿음을 공유하는 정도를 실제보다 더 크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거짓합치성 효과(false-consensus effect)라 한다. 한 예로, 학생들에게 회개합니다.”라는 글을 큭 쓰인 옷을 입고 교정 안을 돌아다닐 수 있겠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그럴 수도 있다고 답한 학생들은 60%의 다른 학생들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에 그럴 수 없다고 답한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 중에서 약 27%만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367p

다른 견해로부터 차단되어 있을 경우, 비슷한 생각을 지닌 사람들은 다른 궁극적인 사태에 적절한 대비책을 세워놓지도 않고 위험한 행동을 무릅쓰기 쉽다.

 

그럼 어떻게 해야 집단사고의 문제를 줄일 수 있을까? 최선 중 하나는 집단 지도자들이 반대 견해들을 확실하게 이끌어내는 것이다. 예컨대 아예 구성원 중 한 명을 전략적인 트집쟁이 의론이나 견해의 타당성을 시험하기 위해 일부러 반대 의견을 말하는 사람 로 임명한 다음, 그 사람 말을 진지하게 숙고하라고 못 박아 두는 것이다. 그리고 지도자들은 처음부터 자신의 입장을 밝히지 않는다.

일본 기업체들도 이런 사항들을 준수한다. 그래서 회의 때는 직급이 가장 낮은 직원에게 먼저 의견을 말하게 한다.

 

368p

집단극화

어느 날 친구가 찾아와 이렇게 말한다고 하자. “네 생각을 좀 듣고 싶어. 의사가 그러는데, 내 심장병이 심각해서 수술을 안 하면 일을 그만두고 식단도 바꾸고 내가 좋아하던 스포츠도 거의 다 그만두어야 한 대. 네 생각은 어떠니? 수술을 하는 게 좋을까?” 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심장병이 나을 것이다. 그러나 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난다는 보장도 없을뿐더러, 아주 치명적인 결과를 불러올 수도 있다. 의사가 성공 확률이 90%라고 한다면, 당신은 어떻게 하겠는가? 또 성공 확률이 80%70, 60, 50%라고 한다면? 최소한 몇 %가 돼야 수술을 권유하겠는가?

369p

그러나 구성원들 대다수가 처음부터 이쪽이나 저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집단 전체의 판단은 이 방향으로 더욱 분명하게 기운다. 왜 그럴까? 대다수의 견해를 뒷받침해 주는 주장을 더 많이 고려하게 되고, 그러면 집단결정에 대한 개인의 책임감은 약해지기 때문이다. 집단 린치만 생각해 봐도, 집단극화가 불러오는 이런 끔찍한 결과들이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370~371p

리더가 가만히 앉아서 개입을 안 할 경우에는 정답을 맞히는 비율이 72%, 리더가 구성원 전원에게 참여를 부추길 때는 84%로 나타난 것이다.

그런데 이런 적극적인 리더는 처음부터 정답을 맞힌 구성원이 한 명뿐일 때, 특히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구성원들 중 처음부터 정답을 맞힌 사람이 한 명뿐일 경우, 소극적인 리더를 둔 집단에서는 36%, 적극적인 리더를 둔 집단에서는 76%가 정답에 도달한 것이다. 요컨대 집단사고의 경우처럼, 리더가 반대 의견을 북돋워주는 것이 집단결정의 정확성을 높이는 최선의 방법 중 하나이다.

 

372p

우리의 지식은 유한할 수밖에 없지만, 우리의 무지는 필연적으로 무한하다.

- 칼 포퍼

 

오늘날 이 세계에서 문제가 일어나는 근본적인 원인은 어리석은 자들은 확신에 차 있는 반면 지적인 사람들은 의심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

- 버트런드 러셀

 

377p

심리학자 톰 길로비치의 말처럼, “우리를 곤란에 빠뜨리는 것은, 흔히 우리가 모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것들인 것이다.

뇌의 거짓말

- 마이클 캐플런, 엘런 캐플런 지음/이지선 옮김/이상 펴냄/2010.7.15

 

10p

  오류는 누구나 저지를 수 있다는 점에서 민주적이고 평등하다. 최고의 학벌을 자랑하는 사람들의 의견조차도 단지 소문과 권위와 편견과 정당화가 교묘하게 합쳐진 하나의 집합체일 수 있다. 비논리성과 비합리성은 프로레슬링 경기뿐만 아니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실험실에도 만연해 있다. 이 같은 일반적인 어리석음(vulgar error)은 단순히 몰라서 저지르는 실수와는 다르다(끈 이론이나 대위법, 혹은 키르케고르의 철학에서는 이를 용서가 되는 무지로 본다). 문제는 날마다 말하고 행동하는 익숙한 것들에서 노골적으로 저지르는 잘못이다. 우리는 뻔뻔스럽게도 충동적으로 그런 잘못을 저지르고는 그럴듯한 변명을 늘어놓는다. 그리고 대중매체의 세계화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잘 알지 못하는 어떤 막연한 대상들이나 사건들에 책임을 전가한다. 심지어 자신을 내세우거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혀 관계없는 이유를 끌어다 쓰기도 한다(나는 진실한 신자이기 때문에 내 믿음은 분명 진실이다). 또한 다른 사람들이 온갖 미사여구(‘진정한 미국인이라면 나를 지지할 것이다’)와 사실이 아닌 통계수치(‘200% 더 싼 가격!’)를 들이댈 때, 우리는 쉽게 현혹되기도 한다.

 

20p

  매우 감정적이거나 정치적인 의미가 함축된 말은 객관성이 필요한 진술에서 신뢰를 떨어뜨리는 요소가 된다. 이 같은 비형식적인 오류들은 교묘하게 논리적 균형을 깨뜨린다. 특히 다음과 같은 전형적인 유도 심문에서 그렇다. ‘그래서 지금 월마트가 저소득 공동체에 저가 물품을 공급하는 정책이 나쁘다는 겁니까?’ ‘그래서 우리가 줄행랑을 친다면 테러리스트들이 어떻게 생각하겠습니까?’ ‘이제 아내는 안 때리시나요?’ 화자의 권위도 사람들을 현혹시킬 수 있다. 화자의 강한 존재감과 드높은 명성은 상대방으로 하여금 논거의 허점을 지적하기를 주저하게 만든다. 그 오률들은 이렇게 속삭인다. ‘내가 더 크니까, 내가 더 좋은 교육을 받았고 더 좋은 차림새이며 더 좋은 지위에 있으니까 내 의견에 찬성해야 하고, 내가, 내가 아는 사람이, 내가 지금 언급하는 사람이 이미 크게 곤혹을 치른 경험이 있기 때문에 내 말을 따라야 한다’ ‘당신은 내 영화들을 좋아했으니까 총기 규제에 관한 내 의견도 받아 들여야 한다’ ‘히틀러가 채식주의자였기 때문에 우리는 고기를 더 많이 먹어야 한다

 

23p

  그런데 영역 논리를 입돠 더 심각하게 훼손하는 문제가 있다. 그것은 바로 타당성진실성의 차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논리적 타당성을 확립하기 위한 규칙들을 제시했지만, 내용의 진실성까지 따지지는 않았다. 언뜻 다다이즘의 성격을 띠는 듯한 삼단논법을 예로 들어보겠다.

 

1. 모든Xqrspoo.

2. 2VX7Xqr이다.

3. 그러므로 2VX7spoo.

 

이 명제들은 진실한 의미를 담고 있지는 않지만 논리적으로 타당하다. 형식논리의 규칙을 착실하게 잘 따르고 있다. , 대전제, 소전체, 결론의 추상적 관계가 잘 성립되어 있다. 그러므로 내용이 진실하지 않아도 형식논리의 측면에서 결론은 참이다. 이외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들, 우리가 믿는 것들, 우리가 상상하는 것들도 이 삼단논법에 대입해볼 수 있다. 물론 튀어 오르는 원자들혹은 춤추는 천사들도 해당된다.

 

28p

  이마누엘 칸트의 표현대로 그 당시는 미몽에서 벗어나는시대였다. 칸트와 다른 모든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뉴터의 발견이 천문학의 발전으로 이어졌듯이 독단적인 사고를 버리고 열린 마음으로 사물과 현상을 관찰하는 태도가 계몽주의를 싹트게 했다고 확신했다. 그리고 이는 모두에게 이로운 일이라고 여겼다. 계몽주의가 내건 표어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다. “용기 내어 지신의 이성을 사용하라(Sapere aude!)”

 

29p

  베이컨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인간은 자신의 기꺼이 믿을 수 있는 것만을 믿는다. 이간은 관찰하고 실험하는 과정을 참을성 있게 견뎌내지 못하기 때문에 어려운 것을 배척한다. 진실하고 균형된 것도 마찬가지다. 기대할 수 있는 것이 적기 때문이다. 인간은 미신에 집착하며 그보다 차원이 높은 것들을 배척한다. 자만에 빠져 경험의 관점도 배척한다. 저속한 자들의 의견을 맹목적으로 따르면서 일반적인 믿음과 반대되는 것들을 배척한다.

 

38p

  스위스 뇌샤텔 대학의 레두안 비샤리(Redouan Bshary)10여 년 동안 청소 물고기를 관찰한 결과는 궤변과 억지가 판치는 시장의 속성을 잘 보여준다. 청소 물고기들은 각자 자기만의 작은 공간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곳을 찾아오는 고객은 지역 주민들만이 아니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매우 다양한 종의 물고기들은 빠른 서비스를 받기 위해 언제 어느 가게로 갈지를 선택한다. 그래서 시장을 둘러보는 관광객처럼 까다로운 물고기를 상대할 때는 더 신경이 쓰이기 마련이다. 다른 고객들에게 어떻게 서비스를 하는지 꼼꼼히 지켜보기 때문이다. 그들은 서비스가 충분히 만족스럽다고 느껴져야 비로소 자세를 취한다. 그러다가 무슨 속임수를 눈치 채기라도 하면, 당장에 지느러미를 흔들어 그 작은 물고기를 해치우려고 한다.

 

42p

  애덤 스미스가 창시한 고전파 경제학에서 가치란 대체 가능한것을 말한다. , 가치 있는 것이라면 가치 있는 다른 것과 주저 없이 바꿀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생활에서는 완벽히 대체 가능한 가치를 찾기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50만 달러에 달하는 당신 집을 사겠다면서 은행 수표가 아닌 현금(100달러짜리 지폐 5,000장을 일일이 세면서), 혹은 금 50파운드를, 혹은 앞으로 10년 동안 당신의 십대 자녀 두 명을 무보수로 돌보겠다는 각서를 내민다고 상상해보라. 모두 화폐 액수는 같지만, 어쨌든 당신이 느끼는 가치는 각각 다를 것이다. ‘사용가치개념에서 교환가치개념으로 전환하는 일은, 합리적 경제학이 보장하는 약속의 땅에 이르기 위해 필요한 과정인지도 모르지만 참으로 복잡한 일이다.

 

42~44p

  고전파 경제학에서는 우리가 선택을 할 때 어떤 상황의 결과에 대해 알거나 혹은 적어도 추측한 것을 바탕으로 한다고 가정한다. 이 가설이 과연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은퇴하는 날 다우지수가 어디에 머물지 추측할 수 있을까?). 하지만 기대효용을 설명하는 데는 유용하다. 적어도 이론적으로 확실한 가능성을 따질 수 있다면 합리적 선택을 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 가설에 대해 1953년 노벨상 수상 경제학자 모리스 알레(Mauice Allars)가 제기한 흥미로운 문제가 있다. 다음을 읽고 당신이라면 어떤 선택을 할지 생각해 보라.

알레는 당신에게 둘 중 하나를 선택할 것을 제안한다.

A) 100만 달러를 받을 확률 100%

B) 100만 달러를 받을 확률 89%, 500만 달러를 받을 확률 10%, 한 푼도 못 받을 확률 1%

선택을 했다면 다음 두 가지 중에서도 하나를 선택해 보자.

C) 100만 달러를 받을 확률 11%, 한 푼도 못 받을 확률 89%

D) 500만 달러를 받을 확률 10%, 한 푼도 못 받을 확률 90%

A)D)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당신은 사림이 아니라 컴퓨터다. 컴퓨터는 이렇게 말할 것이다. “A)100만 달러를 받을 기회가 있다(이 경우는 확실하다). C)도 그렇다. B)500만 달러를 받을 확률이 10%이고, D)도 그렇다. 따라서 내가 1%라도 높은 확률을 원해서 A)를 선택한다면, 당연히 C)도 선택할 수는 없다. 그것은 논리적이지 않다.” 그러나 우리는 그렇게 선택한다. 결과가 불확실해서 모든 것을 잃을 수도 있는 도박보다는 결과가 확실한 것을 선화기 때문이다. 심지어 주관적 기대효용이론을 세운 I. J. 새비지(I. J. Savege)조차 A)D)를 선택했다. 그가 자신의 본능이 저지른 실수를 정정할 때까지였지만 말이다.

 

50p

  먼저 가치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 과연 무엇이 가치 있는 것을 만드는가? 우리가 괜찮은 베이컨 샌드위치에 대해 말할 때 그 괜찮은 정도는 괜찮은 트럼펫 연주에 못지않을까?아마도 그럴 것이다. 하버드 대학의 카밀로 파도 아스키오파(Camillo Padoa-Schioppa)와 존 아사드(John Assad) 교수는 노의 안와전두피질에 있는 뉴런들이 가치에 대한 생각을 부호화한다는 점을 발견했다(그것은 우리를 비롯한 영장류들이 이를테면 사과와 오렌지를 돈 같은 매개물로 전환하지 않고 둘 중 하나를 선택할 때 선호의 척도가 된다). 게다가 이 뉴런들이 부호환된 선호도는 일관적이고 강력하다. 붉은털원숭이들이 늘 사과주스 세 모금보다 포도주스 한 모금을 더 선호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물론 사과주스가 네 모금일 때는 사정이 달라지지만 이 같은 뇌의 선호도는 경험에 따라 쉽게 바뀌지도 않는다. 노년에 부자가 되어 고급 샴페인을 맛볼 수 있게 되더라도 가난한 젊은 시절에 마시던 맥주보다 더 좋은 맛이 안 날 수 있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한편 대뇌피질의 외내두정역에 있는 뉴런들은 시각 정보를 안구 운동 지령으로 바꾸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것들은 여러 물체를 보면서 기대 이익을 추측할 때에도 활성화한다. 그에 따라 우리 뇌의 일부는 혜택과 가능성을 계산하며 주관적 기대효용에 근거하여 작동하기도 하는데, 그 계산이 꼭 의식적인 것은 아니다. 우리는 스스로 결정을 내리고 있다고 믿지만, 사실 우리는 두개골 안에 있는 재정 고문이 가리키는 곳을 향해 관심을 보내는 것이다.

 

52~53p

  신고전파의 경제학의 거장 폴 새뮤얼슨(Paul Samuelson)1963년 한 MIT 동료 교수와 점심식사를 했다. 그때 새뮤얼슨이 한 가지 게임을 제안했다. 동전의 앞면과 뒷면을 맞추는 내기에서 이기면 200달러를 따고, 지면 100달러를 잃는 게임이었다. 경제학자인 그 동료는 난색을 표하며 답했다. 만약 그 내기를 한 번에 끝낸다면 사양하겠지만, 연속해서 몇 차례 계속한다면 기꺼이 할 의사가 있노라고, 그렇자 새뮤얼슨이 화를 내며 말했다. “결국에 가서 유리한 내기라면 한 번에 끝내도 유리한 건 마찬가지네. 불리한 내기면 몇 번을 해도 승산이 없을 테고.”

  그러나 그 동료는 우리 모두가 공유하는 감정을 표출했다. “결국에 나한테 승산이 있다 해도 동전을 단 한 번만 던진다면 나는 질 수도 있지. 나는 그게 싫어.” 똑같은 행동이라고 해도 우리가 받는 느낌은 그것에 따르는 위험의 크기와 위험이 다가오는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널따란 널빤지 위를 걸을 때, 그 널빤지가 땅 위에 있는지 20층 위에 있는지에 따라 의미는 달라진다. 그래서 내가 당신에게 유리할 것 같은 내기를 제안하더라도, 당신은 분명 내기에서 질 가능성뿐만 아니라 왠지 불길한 다른 가능성들까지 고려할 것이다. ‘게임은 공정할까?“ ’내가 이기면 돈을 선뜻 줄까?‘ ’내가 모르는 어떤 함정이 있는 건 아닐까?‘ ’혹시 내가 잘 속을 거라고 생각하는 걸까?‘. 이러한 의심은 유리한 조건들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가로막는다. 하지만 게임이 여러 번 반복된다면 그런 의심은 점점 사라진다. 새뮤얼슨의 동료가 핵심을 정확히 짚었다.

 

53~55p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rman)과 아모스 트버스키(Amos Tversky)는 사람들이 돈 내기를 꺼리는 성향, 손실 회피를 수량화하는 데 성공했다. 기대효용을 포기하도록 만드는 이 기피 현상에 관한 연구는 행동경제학이 태동하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그 결실로 카너먼은 2002년에 노벨상을 수상했다(트버스키는 그 전에 세상을 떠났다). 그 연구의 피험자들은 대체로 내기에서 이길 때 얻는 돈이 위험을 감수하며 건 돈보다 적어도 두 배가 되어야만 내기에 응했다. 사실 두 배 이상의 수익은 심지어 사기꾼조차 홍보할 엄두를 못 내는 수준이다.

놀랍게도 예일 대학 키스 첸(Keht Chen) 교수의 꼬리감는원숭이들 또한 거의 같은 계산을 했다. 그들은 확실한 만족감을 얻을 기회와 불확실하지만 더 큰 만족감을 얻을 기회 중 하나를 선택할 때, 불확실한 만족감이 확실한 만족감보다 적어도 두 배 반이 되지 않으면 결코 도박을 하지 않았다. 그들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절대적 관점이 아닌 상대적 관점에서 삼루의 가치를 평가한다. 이를 준거점 의존성이라고 한다. 실험자들이 한 원숭이에게 사과 조각 몇 개를 보여준 다음 거기에 몇 개를 더 추가했을 때(이때 총계를 X라고 하자) 그 원숭이는 기뻐했다. 그러나 실험자들이 처음에 X보다 더 많은 양을 보여준 다음 몇 조각을 빼고 남은 총계인 X를 건넸을 때는 원숭이의 고약한 심술을 상대해야 했다. 우리 영장류는 잃는 것을 싫어한다. 우리는 이미 가진 것뿐만 아니라 가질 수도 있었던 것까지 고려하면 손실을 측정한다. ‘나는 구글을 150달러에 살 수도 있었다’ ‘나는 보스턴의 아파트를 팔지 않을 수도 있었다’ ‘나는 록밴드를 해체하지 않았어야 했다우리 내면의 꼬리감는원숭이는 결코 만족하지 않는다.

준거점 의존성은 단순한 가치판단의 차원이 아니라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의 본질적인 단면이다. 19세기 독일의 심리학자 에른스트 베버(Ernst Weber)는 자극과 지각의 관계가 비대칭적임을 설명한 베버의 법칙을 만들어 명성을 떨쳤다(처음에 강한 자극을 주면 이후의 약한 자극에는 변화를 지각하지 못하고 더 크게 자극해야 지각할 수 있다는 법칙). 우리가 소리나 밝기, 무게와 같은 것이 일정한 비율로 점차 커지고 있다고 느끼려면(예를 들면, 1+1+1+1), 실제로는 기하급수적으로 커져야 한다(1*3*3*3). 그렇게 때문에 별의 밝기나 데시벨을 측정할 때는 대수 계산자를 사용한다.

 

57~58p

  보유 효과는 놀라운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무엇을 잃고 난 뒤에 그것을 다시 살지 여부를 묻는 문제다. 당신은 기대감에 잔뜩 부푼 채 영화관에 도착한다. 티켓 가력은 10달러다(눈치 챘겠지만 실제 극장이 아닌 실험 속 가장 극장이다). 극장 안에 들어섰을 때, 당신은 A) 주차하는 동안 10달러 지폐를 잃어버렸다는 걸 깨닫는다. 그래도 티켓을 살 것인가? 혹은 B) 이미 샀던 티켓을 잃어버렸다는 걸 깨닫는다. 티켓을 다시 살 것인가? 이 질문으로 실험한 결과, A)의 경우 88%의 피험자들이 그렇다라고 대답한 반면 B)의 경우는 46%만이 그렇다라고 대답했다. 돈은 오로지 잠재적인 것이지만(아직 실질적 가치를 발휘하지 않았으므로) 티켓은 나의것이었기 때문에 나는 그것을 두 번이나구입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람들은 수익률이 높은 주식을 지나치게 빨리 팔고 수익률이 저조한 주식을 지나치게 오래 끌어안는 경향이 있다. 비록 투자 손실이 과세에서 비롯된다 하더라도 말이다. 사람들이 판 주식은 팔지 않은 주식보다 다음 해 수익률이 평균 3.4% 높았다. 우리는 좋은 것을 버리고, 나쁜 것을 유지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손실을 끌어안는 것은 실패를 받아들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원래 보유한 나의돈이 줄어든다. 이와 달리 수익률이 높은 주식을 팔면 분명한 수입인 남의 돈이 내 손에 들어온다. 이것을 바로 도박사의 오류라고 한다. 무언가가 평균 가치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그 가치를 더 빨리 회복할 수 있을 거라고 믿는 심리다. 이 경우 우리가 평균으로 여기는 것은 주식을 살 때 지불했던 금액이다. 그래서 우리는 자주 이렇게 다짐한다. “손익분기점을 달성할 때까지는 꽉 쥐고 있는 거야.” 그러나 1929RCA 주식(주가가 무섭게 치솟다가 192910월 미국 주식시장의 붕괴와 함께 곤두박질 쳤음)을 보유했던 사람들은 지금도 여전히 그때가 오기를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59p

  보유 효과란, 무엇이든 구매해서 자신의 것일 되고 나면 구매하기 전보다 그 물건에 더 애착을 갖는 현상을 뜻한다. 보유 효과는 돈마저도 단순한 돈으로 생각할 수 없게 유도해 우리를 더 큰 재정적 혼란에 빠트린다.

 

62p

  하지만 이런 현상은 개선되기보다는 손실 회피, 보유 효과, 근거 없는 낙관이 더해지면서 방치될 뿐이다. 역사는 용기를 북돋아주기 위해 에디슨이 백열전구 필라멘트 실험에서 만 번이나 실패했던 이야기 같은 수없는 실패담을 들려줄지 모른다. 하지만 이성은 할리우드의 유명 코미디언이었던 W. C. 필즈(W. C. Fields)의 다음과 같은 말에 동의한다. “처음에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계속해서 시도하고 시도하고 시도한 다음 멈추라. 정신을 차려보면 저주받은 바보가 되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덫에 걸린다. 재정 낭비로 인한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계속해서 무리수를 둔다면 세상의 비웃음을 살 수 있다. 그리고 결국에는 재정적 타격을 면하기도 어렵게 될 것이다.

 

65p

  극단적인 예로, 미래를 예측하고 계획하는 뇌 영역인 전전두피질이 손상된 사람들은 위험한 판단이 야기할 불행을 전혀 생각하지 못한다. 그들은 계산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이기는 게임과 지는 게임을 추상적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문제는 지는 게임이라고 해도 전혀 개의치 않는다는 것이다. 그들에게는 언제 그만두어야 하는지를 말해주는 직감이 없거나 설령 있다고 해도 대개 무시한다.

이들보다 덜 극단적인 상태인 위험을 즐기는 도박꾼들은 미래의 상황을 상상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그 상황이 좋든 나쁘든 간에 말이다. 보통 사람들이 잠재적 손실이 증가할 때 점점 큰 고통을 느끼고 잠재적 이익이 증가할 때 점점 큰 쾌감을 느끼는 것과 달리, 이들은 어떤 경우에서도 아무런 감각을 느끼지 못한다. 그들은 감각을 느끼기 위해 더 큰 자극을 원한다. 번지점프나 러시안룰렛(총알이 한 발만 들어있는 회전식 연발 권총을 자신의 관자놀이에 대고 방아쇠를 당기는 방식으로 목숨을 거는 내기) 못지않게 위험한 도박 말이다. 보통 사람들이 간단한 카드 게임인 고 피쉬에서 이길 때 느끼는 쾌감은 앞서 말한 도박사들이 전 재산을 걸 때 느끼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67p

  이 압도적인 욕망의 결과를 과도한 가치폄하라고 한다. 물건을 받기까지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았을 때, 그 중요성이나 가치를 대폭적으로 깎아내리는 심리를 말한다. 우리는 그것들이 우리 손에 당장 주어지는가 혹은 먼 미래에 주어지는가에 따라 그 가치를 판단한다. 비록 31일 후에 받는 1달러 10센트와 30일 수에 받는 1달러 중에서는 전자를 선호하겠지만, 내일 1달러 10센트를 받는 것보다 오늘 당장 1달러를 받는 편을 서택할 것이다. 즉각적인 보상과 지연되는 보상의 가치를 평가하는 뇌 영역은 완전히 다르다. 전자는 본능적 욕구와 감정을 담당하는 대뇌변연계가 맡지만, 후자는 냉철한 판단을 하게 하는 전전두피질이 맡는다. 경제적 선택이 구매를 동반한다는 사실만 아니라면, 즉각적인 보상을 선호하는 심리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본능이다. 만약 우리가 오늘의 1달러를 내일의 1달러 10센트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누군가는 우리에게 1달러를 그러한 기준으로 팔려고 할 것이다. 바로 신용카드 발급을 제안하면서.

 

71p

  신용 사기꾼은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사람들의 두 가지 비합리적인 본성에 의지한다. 그것은 바로 카너먼과 트버스키가 가용성 간편추론법’, ‘대표성 간편추론법이라고 부른 것이다(간편추론법의 다른 말은 어림짐작이나 주먹구구식으로 헤아리는 방법). 이 중 앞의 것은, 우리가 기억에 오래 남을 만큼 이상적이고 만족스러운 것에 지나친 중요성을 부여하는 특성을 말한다. 그런가 하면 자신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을 좋아하고, 따분한 숫자들이 나열된 통계표보다 하나의 좋은 사례를 더 환영한다. 그리고 흔히 내가 기억하는 걸 보면 중요한 것이 분명하다라는 생각을 한다. 뒤의 것은, 서로 관련이 없는 두 사건이 동시에 일어날 때 둘 사이의 관련성을 생각하는 특성을 말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값비싼 정장을 차려입은 남자가 재계의 실력자들만이 알 법한 금융 비화들을 줄줄이 늘어놓는다면, 그 사람의 존재감을 크게 느끼면서 이런저런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사람들은 자신의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스스로 삶을 더 잘 통제할 수 있다고 믿으며, 그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불법 텔레마케터들이 외과 의사를, 이메일 사기꾼들이 성직자를 주로 표적으로 삼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75p

  오늘날의 시장에서 진정으로 자주적이고 자유로운 해지펀드들은 규제나 감시를 받지 않은 채 다른 사람들의 돈을 이용해 그리고 가장 예측하기 힘든 파생상품을 통해 주식을 사고팔지만, 여전히 일관되게 절대적인 가치를 창출하지 못한다. 심지어 시장이 상승세를 탔던 1990녀과 2000년 사이에도 그중 90% 이상이 수익을 내지 못했다. 높은 수수료가 부과되기 전이었는데도 말이다.

 

77~79p

과학은 이성적이어야 한다. 그래서 아마도 이 가설은 옳을 것이다. 그러나 이 가설은 실생활에서 효과적이지 않은 다른 가설들을 낳는다. 실제로 우리는 비합리적 행동에서 비롯된 여러 경제 문제들을 겪고 있으며, 거시 경제는 계속해서 변칙들을 양산한다. 조지 애커로프(George Akerlof, 이 장에서 언급한 거의 모든 경제학자들처럼 그도 노벨상 수상자다)2007년 미국 경제학회에서 그중 다섯 가지를 설명했다.

첫째, 효용 극대화를 추구하는 고전파 경제학은 사람들이 부(현 수입과 할인된 미래 수입의 총계)가 증가할 때만 소비를 늘린다고 가정했으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우리 중 절반 이상은 현 수입만 증가해도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무모하게 소비를 늘린다. 이 사회에는 검소한 개미가 있는가 하면 무책임한 베짱이도 늘 존재한다.

둘째, 당신과 당신 자녀들이 모니악에 설치된 수조처럼 합리적인 호모 이코노미쿠스라면, 당신은 죽기 전에 정부 지원금을(이를테면 방탕한 생활을 통해) 모두 써버리려고 할 것이다. 정부가 사회보장제도를 통해 당신에게 무엇을 주었든 결국은 당신 자녀들에게 상속세와 양도세를 부과함으로써 도로 거둬들일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째서 본질적으로 빌린 돈을 유산으로 상속하는 것일까? 하지만 어쨌든 사람들은 그렇게 한다. 그리고 말년에는 단지 무언가를 남기는 즐거움을 위해 지나친 절약을 한다.

셋째, 이론상 회사 임원들은 주주들을 위해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려고 최상의 투자를 시도한다. 이용 가능한 현금 자금을 활용하든 주식을 되사든 부채를 지든 그 방법은 중요하지 않지만, 올바른 투자라면 융자 옵션들을 균형 있게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업 역시 개인과 마찬가지로 장기적인 계산을 하지 않고 경상수입만 고려해 투자를 촉진한다. 현금이 갑자기 많이 유입될 때, 그 기업 임원들은 무엇이라도 사야 할 것만 같은 충동을 자주 느낀다.

넷째, 필립스 곡선은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관계를 매우 간단하게 보여준다. 실업률이 낮을수록 임금 인상률이 높게 나타난다. 후에 이 이론은 자연실업률이 반영되면서 수정되었다. , 실업률이 낮으면 임금 상승 기대로 말미암아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실업률이 높으면 디플레이션에 대한 기대로 말미암아 경기침체가 온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이론은 1990년대 미국의 상황(역대 최저의 실업률을 기록하는 동시에 낮은 인플레이션을 보였다)뿐 아니라 불경기에도 임금이 낮아지지 않고 단지 임금을 받는 사람 수만 더 적어진다는 사실을 설명하지 못했다.

다섯째, 고전파 경제학은 합리적 기대를 바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다음 달 무슨 조치를 내릴지 미리 예측하는 것은 합리적 기대에 속한다. 만약 중앙은행이 높은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통화정책을 완화하기로 결정한다면, 각 경제주체들은 수요를 늘림으로써 이에 미리 대비하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 인플레이션만 높아진다. , 통화정책은 이론상 실물경제를 안정시키는 데 그리 효과적이지 않다. 하지만 중앙은행의 파워가 결정적인 변수가 되는 경우도 있다. 1970년대에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아서번스(Arthur Burns)G. 윌리엄 밀러(G. William Miller)는 스태그플레이션(저성장과 고물가 상태)을 잡기 위해 애를 썼음에도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1990년대에 앨런 그린스펀(Alan Greenspan)은 눈썹을 한 번 까딱하는 것만으로도 시장을 안정시킬 수 있었다.

 

80~81p

애틀랜타의 여키스 국립영장류연구소에서 갈색 흰목꼬리감기원숭이 무리는 우리의 오랜 습관처럼 일하고 지불하고 소비하는 행동 패턴을 보였다. 그들은 본래 협력하는 무리로, 먹이를 포함해 무엇이든 공유하는 습성이 있다. 그러나 보상에 관한 한 그들은 날카로운 눈으로 거래를 주시한다. 포도는 맛이 좋고 오이 조각은 맛이 덜하다. 열심히 일한 대가로 한 암컷에게 오이 한 조각을 주고 그 이웃에게도 똑같이 한 조각을 주면, 그 암컷은 오이 조각이 맛이 없어도 먹으려고 한다. 그런데 만약 이웃에게는 오이가 아닌 포도를 주었다면, 그 암컷은 당신 얼굴에 오이를 던지려고 할 것이다.

단지 오이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캐플런의 법칙에 따르면, 우리가 일을 하는 목적은 돈을 벌기 위해서이거나 적성에 맞아서이거나 존경을 받기 위해서이므로 이 세 가지 중 두 가지는 충족되어야 한다. 하나로는 충분치 않다. 보수만으로는 의미 없이 분주한 노동을 충분히 보상할 수 없다.

 

82~84p

먼저 죄수의 딜레마를 보자. AB는 범죄 혐의를 받고 검거된 후 서로 격리된 채 심문을 받았다. 검사는 자백을 받아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의했다. 만약 A가 밀고하고 B가 침묵하면 A는 자유의 몸이 되고 B20년 동안 감옥에 갇히게 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A가 침묵하고 B가 배신할 경우 A20년형을 받게 된다. 만약 서로 상대방을 배신하면 AB10년형을 받는다. 만약 서로 협조적으로 끝까지 함구한다면 몇 달 수에 방면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과연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한 개인에게 가장 좋은 전략(, 상대방이 어떤 선택을 하든 형량을 최대한 가볍게 만들기 위한 전략)은 상대방을 배신하는 것이다. 이 게임이론을 보면 냉전이 왜 그토록 오랫동안 지속되었는지도 알 수 있다.(핵무기 경쟁이 대표적인 예, 핵무기는 비용이 많이 들고 사회적 불안감을 조장하는 등 이익이 될 것이 없지만, 미국과 소련은 서로 상대방이 먼저 군사적 우위를 차지할까봐서 계속 핵무기를 만들게 되는 딜레마에 빠졌음).

최종제안 게임에서는 A가 게임의 주재자에게서 10만 달러를 받는다. A는 그 돈을 자기 몫과 B의 몫으로 나누는 역할을 한다. A10만 달러를 73으로 나누어도 되고, 5 5로 나누어도 된다. 만약 BA의 제안을 받아들이면 AB는 그 비율대로 돈을 받게 될 것이다. 그러나 BA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둘 다 한 푼도 받지 못한다. 전통적인 경제이론에 따라 합리적으로 선택한다면 A10만 달러 중 극히 일부를 B에게 제안해 이익을 극대화할 것이고, B는 그 제안을 거절해 아무 이익도 얻지 못하는 쪽보다 극히 일부의 돈이라도 받는 쪽을 택할 것이다. 물론 컴퓨터라면(그리고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앓는 사람이라면) 그러한 선택을 쉽게 할 것이다.

그러나 페르 교수의 피험자들은 예상과 다르게 행동했다. 여러 번 실험 한 결과, 그들은 경제성과 합리성보다 공정성과 이타성을 더 따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한 번도 보지 못한 상대 용의자와 협력하고, 계속해서 돈의 공정한 배분을 요구했다. 게다가 배신자나 부당한 이익을 취하려는 상대방을 응징하기 위해 기거이 자신의 이익을 포기하기까지 했다. 이러한 결정은 장기적인 안정성을 획득하거나 자신에 대한 좋은 평판을 유지하기 위해서가 아니었다. 실험은 단 한 번에 그쳤고 피험자들은 서로를 모르는 상태였다. 그런데도 훌륭한 도덕의식이 발동한 것이다. 피험자들 중 약 50%는 인간이 마땅히 따라야 하는 사회적 기준들을 개인의 이익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평가했다.

당신이 , 그런데 그건 어디까지나 취리히 대학원생들에 한한 이야기가 아닐까?라고 생각하기 전에 페르 교수는 당신의 생각을 읽었다. 그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도 금액이 석 달 치 월급에 달하는 진짜돈을 걸고 똑같은 실험을 했다. 그리고 오스트리아, 독일, 헝가리, 네델란드, 미국에서도 같은 실험을 했다. 각 실험 결과, 이기적인 행동에 대한 사회적 응집력은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른 연구팀에서는 경제학이나 심리학 이론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지역에 사는 민족들인 탄자니아의 하드자(Hadza), 몽골의 토르구드(Torgoud), 파푸아의 구노우(Gnau), 파라과이의 아체(Achá), 페루의 마치구엥가(Machiguenga)족 등을 상대로 실험을 실시했다. 농부든 양치기든 정착민이든, 유목민이든, 튀르크 어파에 속하든 쿠시 어파에 속하든 매크로파노타칸 어파에 속하든 간에 개인적 이기심보다 공정성을 따지는 사회규범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밝혀졌다. ’호호 이코노미쿠스는 사람이 사는 육지에는 살지 않는 모양이다.

이처럼 모든 사람은 사회적이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더 사회적인 사람들이 있다. 페루의 키추아(Quichua)족과 인도네시아의 라마레라(Lamalera)족이 각각 최종제안 게임을 했을 때, 평균 제안액은 전자가 훨씬 더 적었다. 라마레라족은 돈의 절반만을 제안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는 듯했다. 그리고 카추아족은 상대가 얼마를 제안하든 기꺼이 수락하는 경향을 보였던 반면 도도한 구노우족은 호의적인 제안을 피츠버그 대학생들보다 더 자주 거절했다. 이렇듯 다양한 양상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상호 거래가 활발하고 협력 수준이 높은 사회일수록 이익을 더 공정하게 분배하며 사회규범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을 우리는 알 수 있다(예컨대 라마레라족은 고래잡이로 생계를 꾸려나가기 때문에 협력이 중요한 부족이다). 개인별로 나타나는 다양한 양상은 무의미하다. 집단의 기준이 중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실제로 분배 게임이 몇몇 이기적이고 독단적인 아웃사이더들만이 즐겨 하는 무모한 놀이라고 생각하는 부족은 없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들은 재화의 공정한 분배를 결정하는 것이 일상생활의 일부라는 점을 인정했다(케냐의 오르마(Orma)족은 자신들도 그와 같은 게임을 했었다고 말했다. 그들은 그 게임을 하람비(harambee)’라고 불렀다).

 

85p

앞의 시럼들에서는 어떤 목적성도 과감히 배제했다. 남은 것은 페르 교수가 강한 상호성이라고 부른 것뿐이다. , 자신의 이익을 희생해서라도 타인의 친절을 친절로 갚고 타인의 불친절은 불친절로 응수하는 본능적인 태도다. 이 본능이야말로 비합리적이고 비형식적인 경제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놀랍게도 우리는 완전히 낯선 사람들과도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계약을 맺는다. 라고스나 상파울루에서 택시를 잡아탈 때, 운전기사는 우리가 요금을 지불할 능력이 있는지 알기도 전에 우리를 행선지로 데리고 갈 것이다. 그러면 우리는 요금을 내지 않고 도망칠 수도 있지만 대개 요금을 지불한다. 강한 상호성은 직장에서도 적용된다. 직원들이 법정 근로 시간을 초과하여 일할 때(물론 심야 비디오 대여점은 예외다), 고용주는 직원에게 초과근무 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계급투쟁을 선동하는 발언들은 그 논리정연함에도 불구하고 결국 비합리적인 계급 평화주의라는 암초에 부딪혀 좌초하고 만다. 자본가든 노동자든 우리가 같은 장소에서 일할 때, 우리는 서로 함께 일하고 있다고 믿는다.

 

86~87p

캘리포니아 대학의 제프리 골드버그(Jeffrey Goldberg), 리비아 마르코치(Livia Markóczy), 로렌스 잔(Lawrence Zahn)에 따르면 그 욕구는 단순하다. 그들은 죄수의 딜레마 게임에서 상대를 배신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판단임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상대와 협력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두 가지 특징을 밝혀냈다. 그것은 통제감 착각대칭이다. 우리는 특정한 상황에서 막연히 다른 사람들이 우리와 같은 생각을 할 거라고 믿으며, 무언가를 선택하는 상황에서 자신의 통제력을 지나치게 과신한다. 선거를 생각해 보자. 자신이 뽑은 당이 다수당이 되지 않았을 때 짜증이 나는가? ‘내가 안 하면 누가 하겠어?’라는 마음으로 투표를 하는가? 그러나 논리적으로 따져본다면, 당신의 표는 수백만 표 중 하나에 불과할 뿐 그다지 큰 의가 없다. 또한 게임이론에 따르면 합리적인 선택은 이기적인 배신자가 되는 것이지만, 대칭은 우리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도 우리처럼 공정한 선택을 하길 바랄 거라고 느끼게 한다. 이와 동시에 통제감 착각은 우리의 공정함이 상황을 올바르게 만들 수 있다고 우리에게 말한다.

물론 그런 것들은 사회적 훈련에 따른 습관과 선택일지도 모른다. 몽골의 천막집과 아마존의 오두막, 형광등이 켜진 세미나실에서 모두가 같은 행동을 보일 때, 우리는 사회적 삶에 가해지는 압력(어머니의 훈계 같은)은 놀랍게도 세상 어디에나 비슷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몇 가지 실험에서는 그러한 우리의 사회규범들 저변에 더 기본적이고 확고한 무언가가 있음을 보여준다. 실험의 피험자가 불공정한 제안을 받았을 때, 뇌 영상에서는 사고와 판단을 담당하는 전두엽의 일부인 배외측 전전두피질이 크게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르 교수의 연구진은 이 뇌 영역의 활성화를 억제하기 위해 경두개 자기자극을 가했다. 또 다른 실험에서는, 만족과 관련 있는 뇌 영역인 선조체가 현금을 지급받을 때와 마찬가지로 배신자를 응징할 때도 활성화되었다. 우리는 상대를 응징할 때 경제적 손해를 보더라도 경제적 이익을 얻었을 때와 똑같은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다.

그런데 민속학에 따르면, 남자와 여자는 협력, 배신, 복수와 같은 문제들에 반응하는 방식이 다르다. 그것은 사실이다. 테스토스테론(남성호르몬) 수치만 보더라도 그 피험자가 불공정한 제안을 얼마나 쉽게 거절할지를 알 수 있다(‘고작 3달러를 주겠다고? 이거나 먹어라!’). 남성의 뇌는 그렇게 경제적 의사결정을 내리고는 바로 스위치를 끈다. 반면 여성의 뇌는 활동을 멈추지 않는다. 미래의 보상을 예측하고 전략을 세우며 불공정성에 분개한다. 그리고 서로가 협력할 때 여성의 뇌는 보상 영역인 선조체와 규칙과 관습을 인지하는 영역인 안와전두피질에 스위치를 켠다. 이렇게 볼 때, 여자들이 이기적인 행동보다 공정한 행동에서 더 큰 만족을 얻으며 그러한 행동을 더 자연스럽게 여긴다는 걸 알 수 있다.

 

92p

지극히 평범한 물건도 저항하기 힘들 만큼 유혹적인 대상으로 보여야 한다. 따라서 영리한 광고는 그저 필요하기만한 물건을 모두가 갈망하는 물건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암시와 연상 작용을 사용한다. 경제적 가치가 있는 상품을 개인적 가치가 있는 상품으로 둔갑시키는 것이다.

 

93~94p

벨기에 루벵 대학의 연구팀은 둘째손가락과 넷째손가락 길이의 차이와 남성들이 섹시한 여성이나 란제리 사진을 본 후 불공정한 제의를 받아들일 확률 사이에 중요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손가락 길이라니? 하지만 사실이다. 둘째손가락이 넷째손가락에 비해 더 짧을수록 태어나기 전부터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 우리가 이미 알고 있듯이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높은 남성일수록 최종 제안 게임에서도 대개 속임을 당하지 않으려고 한다. 하지만 쉽게 주의가 흐트러질 수 있고 성적인 자극이 가해졌을 때는 불공정한배분을 수락할 가능성이 더 높아간다. 돈보다 즉각적이지만 더 작은 보상에 높은 관심을 보이기 때문이다. 성적 욕망은 과도한 가치폄하가 작용하도록 만든다. 그래서 오래 전부터 상인들은 예쁜 여자 점원을 고용했고, 자동차 공구회사들은 섹시한 여성의 사진이 인쇄된 달력의 힘을 일찍부터 발견했다. 불공정한 거래를 분간하지 못하도록 남성들에게 성을 파는 것이다.

 

96~97p

그러나 우리는 막상 선택권이 주어지면 어찌할 바를 모른다. 심지어 의사가 관절염 처방을 내리기 위해 두 개의 치료약 중 하나를 선택할 때도 그렇다. 버트랜드 연구팀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실험을 했을 때도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은행이 단기 대출 프로그램 안내장을 보낼 때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자, 월별 이자율을 2.3% 올렸을 때만큼 대출 신청 수가 줄어드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이는 많은 휴대전화 회사들이 복잡한 요금제를 실시하는 이유를 알 수 있는 단서가 된다. 무엇을 선택할지 고민하느니 차라리 가장 비싼 요금제를 선택할 거라는 사실을 잘 알기 때문이다. 실생활에서 우리의 이상은 다음과 같은 코닥의 약속 안에 있다. “버튼만 누르면 나머지는 다 알아서 합니다.”

광고가 정보나 경고, 혹은 선택권이 아니라면 우리는 그 앞에서 보내는 수천 시간 동안 무슨 생각을 하는 걸까? 전 세계적으로 그 산업에 연간 수천 억 달러를 쓰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바로 인지, 위신, 연상이다. 먼저 인지부터 살펴보자. 우리의 마음은 효율을 추구한다. 효율은 우리가 선택을 싫어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만약 무언가가 필요한 순간 인지도 높은 브랜드를 발견하면, 우리는 그 브랜드를 선호하게 된다. 뇌 스캔 실험에서 사람들은 같은 코카콜라라도 브랜드를 몰랐을 때보다 브랜드를 알았을 때 맛이 더 좋다고 느꼈다(흥미롭게도 펩시의 경우에는 똑같은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렇듯 편향된 선택은 우리가 일반적인 제품들을 지칭할 때 제록스클리넥스같은 특정 상표명을 언급하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위신 역시 선택을 크게 좌우한다. 만약 할리우드 여배우 앤디 맥도웰(Andie MacDowell)이 당신에게 자신의 메이크업 브랜드를 사용할 가치가 있음을 인정한다면, 그 생각에 동조하지 않는 것은 무례한 일일 것이다. 광고는 그 제품을 사용하면 우리도 동료 영장류가 주스 및 몇 모금을 희생해서라도 보려고 안달이 난 그런 부류의 사람이 될 수 있다고 속삭인다. 광고는 우리가 바꿀 수 있는 것이 비단 개인의 지위만이 아니라고 말한다. 평범한 사람들에게 교묘하고도 의미심장한 계급의식을 심어준다. 랄프로렌(Ralph Lauren)은 부유층 자녀들이 입었던 치노바지와 샴브레이 워크셔츠의 고급화 전략으로 높은 판매고를 올렸다. 그 옷을 입은 빼빼 마른 모델들은 조금 서투르고 어색하면서도 자신감으로 충만해 있어서 마치 그로턴과 미스 포터즈(미국 명문 사립학교들)의 학생들을 보는 것 같다. 옷이 딱 들어맞지 않는다는 점까지도 그러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자신감이 높아서 겉치장에 신경 쓰지 않는 사람의 이미지를 정교하게 반영한 것이다.

99p

가격처럼 위신도 상대적인 문제다. H. I. 멩컨(H. I. Mencken, 미국의 평론가이자 언론인)부유한 남자란 처형의 남편보다 더 많이 버는 사람이라고 정의 내렸다. 상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에서 비교당하는 것만큼 불쾌한 일도 없다. 하지만 햄프턴, 생트로페, 키웨스트의 쇼핑가들을 거닐다보면, 경쟁적인 과시와 소비의 불안한 틀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 단조로운 어촌으로 온 사람들이 또다시 그 틀에 갇히고 마는 모습을 보게 된다. 당신은 이번 시즌의 필수 아이템들을 가지고 있는가? 이 맥락에서 당신의 검정 티셔츠가 J. C. 페니(J. C. Penney)인지 아르마니(Armarii)인지는 실제로 중요하다. 브랜드는 당신이 오이가 아닌 포도를 땄다는 안심을 주기 때문이다.

경제적 가치는 수요뿐 아니라 공급도 반영한다. 그래서 제품의 희소성 또한 위신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102p

반면 경험을 구입할 때, 우리는 오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스카이다이빙 레슨을 받거나, 시에라네바다 산맥을 오르거나, 운하용 배에 올라타 루아르 강을 건너거나, 야구장에 갈 때, 각각이 주는 행복감은 오래 지속되는데다 결코 질리지도 않는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증명된 바는 없지만 설득력 있는 네 가지 가설이 있다. 경험은 우리의 정체성을 이루는 영원한 부분이 되지만, 소요물은 분실, 부패, 퇴색 등을 통해 언젠가 버려질지도 모른다. 그뿐 아니라 경험은 사회적이어서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과 더 끈끈한 유대감을 갖게 해주는 반면, 소유물은 개인적이어서 어느 누구와도 공유할 수 없다. 경험은 물질만큼 우열을 가르지도 않는다. 예를 들어, 당신이 이탈리아 토스카나의 대성당 안을 구경하는 동안 나는 세인트바트 섬 해변에서 휴식을 취했을 수 있다. 하지만 당신의 롤렉스는 나의 타이맥스에 끊임없이 모욕을 준다. 또 경험은 시간을 늦춘다. 신형 메르세데스 벤츠는 바쁘게 돌아가는 하루 일과 속에서 당신과 함께할 것이다. 자동차 주행거리는 하루하루가 얼마나 빨리 바뀌는지를 상기시켜준다. 그러나 한여름에 카타딘 산에서 해돋이를 본 기억은 전혀 다른 교훈을 준다. 짧은 순간도 더없이 충만하고 황홀한 기끔을 담아 낼 수 있다는 것 말이다.

 

110p

성인의 뇌에는 그 수가 대략 1조에 달하는 뉴런들이 있다. 그리고 그 각각은 다른 1만 개의 뉴런들과 연결되어 복잡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또한 1초당 뇌에서 만들어지는 신호는 1년간 전 세계의 국제 전화 통화 중에 오가는 단어 수보다 1,000배 더 많다. “나는 수많은 것을 담고 있다.”라는 휘트먼(Whitman, 미국 시인)의 말은 옳았다.

 

112p

스탠퍼드 대학의 콰비나 보아헨(Kwabena Boahen)은 실리콘으로 뇌의 뉴런 구조들을 재현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인정한다. “최첨단 컴퓨터는 초당 109개의 명령을 수행하는 데 100와트의 전력을 사용하지만, 뇌는 초당 1016 시냅스 작용을 수행하는 데 겨우 10와트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볼 때 뇌가 109와트로 처리하는 일을 컴퓨터가 하려면 무려 1기가와트(10억 와트)가 필요합니다.” 한 가지 덧붙이자면 이 수치는 대다수 발전소의 최다 발전량을 초과하는 양이다.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전력을 50만 가구에 공급하든지 아예 하 인간의 지성에 공급하든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뇌는 매우 느리기도 하다. 대다수 뉴런들은 5밀리 초(1밀리 초는 1,000분의 1)당 오로지 한 번만 활성화할 수 있다. 우리가 0.5초 사이에 하는 행동(구덩이를 피하기 위해 길을 가로지르거나, 자기방어를 위해 총을 꺼내는 것처럼 인식, 결정, 행동으로 이어지는 패턴)에서 뉴런은 100회에 걸쳐 활성화한다. 하나의 컴퓨터로서 인간의 뇌는 랩톱컴퓨터보다 클록 속도가 50만 배나 느리다.

 

114p

뇌는 병렬 처리를 함에 따라 추가적으로 두 가지 기능을 더 갖는다. 그 때문에 뇌는 범용컴퓨터의 단순한 모습과는 사뭇 달라진다. 첫 번째 특징은 모듈성(단원성이라고 한다)이다. 한 가지 문제를 두고 뇌의 다양한 영역에 있는 개별적인 시스템들이 동시에 작용해 그 문제의 다양한 측면을 분석한다는 것이다. 이때 자극의 위치나 강도 같은 기본적인 감각 정보는 물론 더 고차원적인 문제들도 처리한다. 이 과정은 1초당 200회에 이르는 뉴런의 활성화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 다시 롤린슨의 예로 돌아가 보자. 롤린슨이 쓴 혼란스러운 문장들을 빠르게 읽어 내려가는 동안 당신의 뇌는 다양한 영역에서 매우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처리한다. 명암이나 날카로움, 형태 등을 단순히 파악하는 것에서 나아가 문법, 구문론, 의미, 기억 그리고 이게 뭐지?‘ 하는 어리벙벙함까지. 이 다양한 생각의 흐름은 저절로 전개된다. 화사의 경영자 같은 누군가가 나서서 일을 분배하는 것이 아니다. 그럴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는 오로지 이 같은 뇌의 처리에 따라서만 세상을 인식한다. 그렇다면 여기에 빈 서판, 인간이 백지 상태에서 태어나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은 없다. 인간의 마음은 이미 내부에서 미리 형성되는 것이다.

두 번째 특징은 비선형성(반응이 주어진 것에 비례 또는 반비례하지 않는 성질)’이다. 개별적인 뉴런만을 볼 때, 뉴런의 임무는 간단하다. 흥분하거나 흥분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의 뉴런이 흥분하기 위한 전제 조건은 집단이다. 이웃 뉴런들로부터 흥분성 또는 억제성 입력을 받는 것이다. 만약 흥분이 뉴런의 시냅스를 거쳐 다른 뉴런의 입구(수상돌기)로 전달된다면, 그 흥분은 그 뉴런 안(축색돌기)에서 전기 신호로 전도된다. 이 연결은 마이크로 회로의 논리적 문들처럼 고정적이지 않다. 그보다는 마치 친구들이 밥을 여기서 먹을지 다른 데서 먹을지를 결정하는 것처럼 개연적이고 순환적이다. 이러한 비선형적 요소는 뇌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에 속한다. 따라서 동일한 자극에도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오고, 미세한 변화로 인해서도 매우 의외의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방식에는 변덕스러운 날씨처럼 예측 불능을 낳는 미생물이 늘 존재한다. 뇌 속에 있는 각기 다른 수준의 다양한 모듈들은 하나의 (인지적) 문제를 두고 병행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우리는 예측 불능성을 띠며 수많은 상황 속에서 오류를 저지르기 쉽게 되다. 따라서 열쇠를 잃어버린다거나, 모임에서 본 낯선 사람을 친구로 착각한 나머지 지나치게 친한 척을 한다거나 하는 어처구니없는 일들이 벌어진다.

예측 불능성은 더 나아가 사랑을 할 때 설레는 감정을 느끼게 하고 인간이 컴퓨터보다 더 나아 보이게도 한다. 입력은 출력을 예측하지 못하기 때문에 우리는 똑같은 상황에서도 저마다 다르게 반응하고 다르게 행동한다. 또한 뇌의 활동이 비록 전기화학 법칙에 따라 결정된다 하더라도 이 같은 비선형성 덕분에 우리의 경험은 본질적으로, 그리고 즐겁게도 자유의지처럼 느껴질 것이다.

 

117~118p

이 문제의 원천은 우리의 탁월한 능력의 원천이기도 하다. 우리는 동시에 세 개의 뇌를 사용한다. 바로 뇌의 진화과정에서 발달한 세 가지 층을 말한다. ‘3부 뇌이론을 주창한 매클린(Paul Maclean)은 이 세 개의 뇌를 양손이 두꺼운 모직 장갑을 끼고 주먹을 쥐어 들어 올린 모양으로 묘사했다. 이때 손바닥에 해당하는 뇌간은 원시적인 파충류의 뇌. 트라이아스기에 번성하던 파충류의 뇌와 다를 것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파충류와 원숭이의 뇌에서 이 구조는 가장 기본적인 활동을 담당한다. 사냥하여 먹이를 구하고 구애를 위해 과시하고 잘 곳을 마련하며, 떼를 지어 다니고 영역을 지키고 약자를 겁주고 한곳에서만 배변하는 등의 동물적 본능을 주관한다. 물론 우리도 이러한 일들을 하고 있다.

손가락들(변연계)포유류의 뇌가 된다. 이 역시 의식적이지 않으며, 파충류는 못하지만 포유류는 할 수 있는 일을 담당한다. 새로운 행동을 배우고 가족들을 돌보며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일 같은 것들이다. 이런 행동들은 파충류 노이무조건적인 반사 의식적인 사고의 결과가 아니라 감정의 소용돌이치는 힘에 따른 것이다. 당신이 개와 함께 산다면 그 감정의 역할이 얼마나 강렬하고 미묘한지를 알게 될 것이다. 외로움, 공감, 심술, 모성애. 아마도 우리는 이러한 감정을 다른 동물들과 비슷한 방식으로 느낄 것이다. 느끼는 방식에 관한 한 우리는 그들과 같은 매커니즘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모직 장갑(신피질 혹은 대뇌피질)은 우리가 영장류로서 특별한 사고를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엄지손가락들(전전두엽)은 우리 인간을 다른 동물들과 구별되게 한다. , 우리가 의식적으로 자신을 되돌아보고, 논리적이고 추상적인 접근법을 통해 자신을 조절하는 등 인간다운 정신 활동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엄지손가락은 손이 하는 모든 역할을 통제하지는 못한다. ‘인간의 뇌포유류의 뇌파충류의 뇌를 완전히 통제하지는 못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동시에 모든 층에서 삶을 경험한다. 우리가 느끼는 분노, 두려움, 욕망, 불쾌감은 신중한 결심과 계획을 모조리 쓸어버리고, 우울, 향수, 연민은 우리의 결의를 무력하게 만든다. ‘내가 지금 뭘 하고 있지?’라고 자문하고 있다면, 즉 다시는 안 마시겠다던 술을 마시고 있거나, 단골 고객에게 모욕을 주었거나, 사랑하는 사람과의 관계가 다시 악화되었다면 그것은 당신이 라고 부르는 정신이 졌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와 반대인 본능과 감정이 없는 논리도 똑같이 위험할 수 있다. 감정을 관장하는 부분이 손상된 상태에서 전전두엽이 작용한다면, 위험을 잘 판단하지 못할 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의욕과 열의를 잘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120~121p

왼쪽 눈을 감아보라. 채을 들어 눈과 어느 정도 간격을 둔 다음, 옆 페이지 그림 안의 왼쪽 하얀 점을 응시하라. 그 상태에서 책을 가까이 당기면 검정색 십자가 사라지는 순간이 있을 것이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우리 눈에 맹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맹점은 망막에 시신경만 있고 시세포가 없어서 빛을 감지하지 못하는 부분이다. 이 실험에서 흥미로운 점은 (이미 알고 있겠지만) 당신에게 맹점이 있다는 사실이 아니다. 그것보다는 사라진 정보를 배경 무늬로 대신 채웠다는 것이 중요하다. 당신은 아무것도 보지 못한 게 아니라 당신의 뇌가 구성한 무언가를 본 것이기 때문이다. 손님이 많은 레스토랑에서 음식이 나오기를 기다리는 동안에도 같은 실험을 해볼 수 있다. 막대 모양의 딱딱한 빵 한쪽 끝을 주시하면, 옆 테이블에 앉아 있는 남자의 얼굴을 사라지게 만들 수 있다. 그럼 그가 샐러드를 텅 빈 공간 속으로 밀어 넣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123~126p

이 같은 시각적 착각은 바로 착시라고 부르는 것으로, 실제로는 변함이 없는 것에 대한 우리의 타당하지 않은 추측일 뿐이다. 세상에 대한 우리의 믿음은 우리가 볼 수 있는것을 통제한다.

왜 우리는 이런 식으로 절뚝거리는 것일까? 왜 자신이 실물을 있는 그대로 보도록 내버려두지 못할까? 왜 우리는 착각의 수렁 속에 빠지는가?

그 답을 얻으려면 다시 자원으로 관심을 돌릴 필요가 있다. 우리의 각 눈은 1초 마다 무선 랜 접속 시 데이터 량(10메가비트)만큼의 시각 정보를 대뇌에 공급한다. 그 시각 정보들은 투과된 빛을 감지한 시세포들을 통해 부호화된 신경 신호들이고, 시각 중추는 시신경을 타고 전달된 이 신경 신호들을 바탕으로만 색각(색 식별 감각)을 느낀다. 이렇게 볼 때, 우리가 보는 현실은 매우 축소된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에게는 이 빈약한 정보의 흐름이 마치 거침없이 쏟아지는 소방용 호스처럼 느껴진다. 우리가 우리의 경험들을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중 대부분의 것들을 내다 버리고 나머지 것들을 우리의 기대들과 비교하는 것이다.

(비록 일부 신경과학자들은 동의하지 않을 테지만) 우리 뇌에는 목적지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시각 경로가 있는 듯하다. ‘북측 경로는 주로 이게 뭐지?’ 하는 물음을 던지기 바쁘다. 이 경로를 따르는 신경 신호들은 날카로움, 방향, 그림자 그리고 사람들의 얼굴과 같은 시각적 자극들에 반응한다. 이 북측 경로의 중요한 역할은 분류다. 그러므로 머릿속에서 나는 모른다라는 반응이 나온다면, 이 경로에서 길을 잃은 것이다. ‘배측 경로에서는 여기가 어디지?’ 혹은 이걸로 뭘 할 수 있지?’ 하는 의문을 품는다. 이에 따라 우리는 시력이 미치는 범위로 손과 발을 뻗는 등 우리의 신체 활동을 시야와 연결시킨다. 그런데 시각 경로들은 각각 착각을 일으킬 수 있다. 북측 경로는 착시에 의해 조작되어 우리가 어떤 사물을 다른 사물로 오인하게 하거나 보이지 않은 것을 봤다고 착각하게 만든다. 그리고 배측 경로 착각은 다른 방식으로 일어난다. 사물의 인식과 전혀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옆 페이지의 그림을 보자.

왼쪽 그림의 중심 원이 오른쪽 그림의 중심 원보다 더 크게 보일 것이다. 그러나 두 원의 지름을 재보면 길이가 같다. 북측 경로에 심각한 손상을 입은 사람은 이 착시현상처럼 크기와 모양을 바르게 인지하지 못하거나 그것들의 이름을 정확히 대지 못한다. 하지만 모양이 제각각인 모형들을 같은 모양의 구멍에 올바로 넣을 수는 있다. 이에 비해 배측 경로 착각은 증세가 덜 뚜렷하다. 그런데 이런 점 때문에 오히려 훨씬 더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

갑자기 섬광이 번쩍이더니 나는 뒤로 넘어졌다. 나는 바닥에 누워 있는 나 자신을 볼 수 있었다. 구급대원들이 응급조치를 하고 있었다. 나는 마치 공중에 붕 떠 있는 것 같았다. 사방이 훤비 보였다. 그때 나는 내가 죽어가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런 유체이탈 체험은 이제 죽음만큼이나 판에 박힌 이야기가 되었다(비록 그런 현상은 대개 기절하거나 약에 취하거나 측두정엽에 손상을 입었을 때 나타날 수 있지만, 캐나다 로렌시아 대학의 실험에서는 강한 자기장이 노의 특정 영역을 자극하도록 만든 헬멧을 쓴 피험자들도 똑같은 현상을 경험했다). 최근에 실시된 실험에서는 건강하고 완전히 의식적인 상태의 피험자들이 오로지 착시현상만을 통해 그것을 체험했다. 피험자들은 가상현실 안경을 쓴 다음 뒤에서 몇 미터 떨어진 카메라에서 나오는 영상을 보았다. 그러자 그들 각각은 자신의 의식적 자아가 육체 밖에 존재한다는 강한 느낌을 받았다. 한 실험자가 카메라 근처에서 공중에 주먹질을 했을 때는 피험자들의 피부 전기 반응이 고통을 감지하는 것처럼 활발해진 것이다. 비록 그들은 자신들이 앉아 있는 위치가 주먹질을 당하기에는 멀다는 걸 알았지만 말이다.

 

127p

우리가 눈으로 보는 세상은 진짜도 가짜도 아니다. 다만 그렇게 구분하는 것뿐이다. 뇌는 귀중한 자원들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그것들을 분류하고, 자원들을 통해 감각 경험에 대한 그럴듯한 설명을 알아낸 후에야 그 감각 경험에 대한 의식적인 의사결정을 내린다. , 우리가 본다고 생각하는 이 세상은, 사실 대뇌의 지휘 아래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조수들이 간결하게 추려 내고 거기에 설명을 단 요약본이다.

 

130p

현실 세계를 인식하는 데는 청각이 시각보다 많은 점에서 낫다. 시력은 미치는 범위가 한정적이지만 청각은 사방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두루 알아볼 수 있다. 청각은 자연에서 적외선과 자외선 사이의 근소한 범위보다 더 넓은 영역의 주파수를 감지한다. 시각은 20분의 1초보다 빠른 섬광을 식별할 수 없지만(만약 식별할 수 있었다면 영화나 텔레비전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청각은 1,000분의 1초 간격으로 들리는 딸깍 소리를 인지한다. 소리는 언어의 풍부한 상징성과 음악의 감동적인 진실성을 담고 있다. 그리고 목소리는 우리가 상대의 표정을 보며 읽으려고 애쓰는 성격과 감정에 대한 많은 단서들을 복제한다. 실제로 시력을 잃는 것보다 청력을 잃는 것이 삶에서 더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맹인은 다른 감각기관들에서 얻은 정보를 이용해 뇌의 시각 회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마음속에서 소리, 냄새, 감촉을 종합해 그려낸 이미지는 하나의 사진이라고 불러도 무방하다. 그러나 귀가 멀먼 부족한 감각 정보를 보충하기 우해 주변을 계속 의식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마치 의식적으로 호흡을 해야 하듯이 말이다.

 

132p

우리는 소리를 인지할 때 시각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우리는 여러 소리 중에서도 눈으로도 볼 수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듣는다(마이크 말소리도 들리지 않는 시끄러운 장소에서도 우리는 대화를 나눌 수 있다. 듣고 싶은 소리를 선별적으로 듣는 우리의 성향을 칵테일 파티 효과라고 한다). 놀랍게도 뇌는 지각을 조절한다. 그래서 빠른 빛과 느린 소리는 그 간격이 최대 30미터까지 함께 도착하는 듯이 느껴진다. 그러나 시각은 또한 귀를 속이기도 한다. ‘맥거크 효과(MacGurk effect)’라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입모양으로 라고 말하면서 라는 소리를 낸다면, 우리가 실제로 인지하는 소리는 가 융합된 일 것이다. 단순히 음절에 국한되지 않는다. 문장에도 적용할 수 있다(“He’s got your boots”“He’s gonna shoot”으로 혼동한 것이 한 예다). 우리는 그러한 상황에서 혼동에 빠진다.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고 있어도 그 혼동을 피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입을 움직이지 않고 말하는 복화술사와 움직일 입 없이도 말하는 앵무새가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이며, 콧수염이 있는 사람들과 전화상으로보다 직접 만나서 이야기를 할 때 그들의 말을 이해하기가 더 어려워지는 것이다.

 

138p

다른 곳을 보다가 시계의 움직이는 초침으로 시선을 옮기면, 그 초침이 순간적으로 매달려있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초침의 첫 번째 1초가 두 번째 1초보다 10% 더 길게 느껴지면서 말이다. 이는 당신의 뇌가 단속운동이 일어난 약 100밀리 초(1밀리 초는 1,000분의 1)를 당신이 그 에 보았던 것으로 채웠기 때문이다.

뇌는 또한 경험을 묶음으로써 단순화한다. 만약 새를 세 마리 보게 된다면 우리는 한 마리씩 각각을 눈여겨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섯 마리로 늘어나고 계속해서 더 큰 무리를 짓는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또한 우리는 특정한 얼굴 같은 분명한 것들뿐 아니라 거실에 어울릴 만한 색과 같이 모호한 것들에도 관심을 집중할 수 있다. 그러나 비슷한 대상들이 눈앞에 있을 때, 우리는 동시에 일곱 가지 정도에만 관심을 집중할 수 있다. 그보다 더 많으면 묶음으로 분류되거나 큰 혼동이 일어난다. 이것은 약자들의 생존 비결이기도 하다. 청어들의 소용돌이치는 공 모양, 떼를 지은 영양들의 V자는 포식자가 어느 한 개체의 잠재적 희생자에 관심을 집중하는 능력을 빼앗는다.

 

139~140p

짧은꼬리원숭이들도 같은 반응을 보인다. 뇌의 하측두골 영역(시각적 판독을 담당하는 고차원적인 영역)’에서 전에 본 적이 있는 것들과 한 번도 보지 못한 것들을 부호화한다. 이 부호화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수백 개)의 뉴런들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발생한다. 시각적 판독은 불과 13밀리 초만에 이루어지는데, 이는 안구의 단속운동 속도보다 훨씬 빠른 것이다. 원숭이는 어떤 사물을 눈으로 보기도 전에 한 번도 본 적이 없다는 사실을 지각할 수 있다는 뜻이다. 덜 진화된 피조물들은 윗둔덕(진화적으로 오래된 구조로, 인간의 뇌에서는 뇌간에 있으며 마치 구멍장이버섯류처럼 보인다)을 통해 시선 방향을 통제한다. 물론 우리도 자주 그렇게 한다. 선사시대의 파충류가 그랬듯이 우리도 시각적 패턴들을 무의식적으로 판독한다. 일반적으로 뇌에서 이루어지는 관심 메카니즘의 속도와 확산으로 볼 때, 우리가 스스로 중요한 것을 의식적으로 결정하고 그것에 관심을 집중한다고 느낄지도 모르지만 사실 그 결정은 우리가 미처 의식하기도 전에 대부분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그림에서 이것을 봐. 그리고 저 그림에서는.” 뇌는 이렇게 말한다. 따라서 우리가 무작위성과 우연의 일치를 믿기 어려워하고 증거가 충분치 않아도 인과관계를 추론하는 경향이 있는 것은 그리 놀라운 사실이 아니다. 우리는 실제로 있는 그대로의 정보를 보고 있지 않다.

 

141p

모세는 노아의 방주에 동물을 종류별로 몇 마리씩 실었지?”라고 누가 묻는다면, 당신의 대답은 , 모세?”가 아니라 두 마리일 것이다. 흥미롭게도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에 순순히 반응한다. 그래서 한 영리한 청소년은 어머니에게 “‘오늘밤 외출할 때청바지를 입을까요, 아니면 카고 바지를 입을까요?”라고 물을 수도 있다. 마치 영리한 투자 설계사가 “‘개설한 투자 계좌에수표나 현금으로 입금하시면 그 배당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듯이 말이다. 더 심각한 상황에서도 그 상황의 일부만을 강조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병사 훈련의 핵심은 절차와 명령을 엄격히 준수하도록 해서 적보다 상관을 더 무서운 존재로 각인시키는 것이다. 그래야 병사들이 죽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에 압도당하지 않고 마음을 단단히 중무장할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법정에서는 빈틈없이 잘 짜인 변론이 사건에서 복잡하게 얽힌 실을 유리하게 풀 수 있기 때문에, 변호인은 아무리 소송의 쟁점과 상관없다 해도 배심원단의 마음을 움직일 이슈나 사실을 끌어들이는 데 주력한다. 한 변호인은 많은 증거와 증언이 제시되어 피고인의 살인죄가 거의 확실한 상황에서 일치하지 않으면 무죄입니다.”라는 유명한 말로 인종차별과 혈흔 불일치라는 비장의 카드를 꺼내들어 상황을 역전시켰다(O. J. 심슨 살인 사건의 재판에서 피고측 변호사 조니 코크란(Johnnie Cochran)이 변론 마지막에 캐치프레이즈로 사용했던 말로 큰 효과를 발휘했다).

 

146~147p

1930년대의 대중 관찰 운동은 편견 없이 무작위로 수집한 사실들로만 역동적인 사회학을 창조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영국의 보통 사람들에게 일기 쓰기를 권장했고, 그에 따라 이 운동의 몇몇 참가자들은 제2차 세계대전, 특히 독일군이 런던에 폭탄 세례를 퍼부었던 런던 블리츠동안 그들에게 일어난 일을 날마다 정확히 기록했다. 몇 년 후, 그 운동의 창시자였던 톰 해리슨(Tom Harrisson)과 필립 지글러(Philip Ziegler)는 일기들 중 일부를 발표했다. 그리고 일기의 주인공 중 생존자들의 기억과 그들이 일기에 남긴 기록을 비교하는 흥미로운 작업을 했다. 지글러는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기억은 두려운 속임수를 쓴다. 우리는 그들에게 편지를 보내 당시의 상황을 다시 이야기해 줄 것을 부탁하면서, 더불어 누구에게 물어보거나 어떤 기록도 찾아보지 말 것을 요청했다. 예닐곱 명이 우리의 요청에 응했다. 당시의 기록과 30년 후의 회고는 전혀 일치하지 않았다. 그들은 모든 것을 잘못 알고 있었다. 시간이며 장소며, 심지어 사건의 순서까지도, 거의 모든 경우에 그들은 그들 자신을 사건의 중심에 더 가까이 끌어다놓았다. 이웃에게 일어났던 사건이 이제 그들에게 일어난 사건이 되었다.

 

150~152p

거짓 기억이 태어나는 과정을 지켜보고 싶다면, 당신의 어머니가 당신에게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상상해 보라. 그것도 생생하게. “네가 다섯 살 때쯤인가, 기억나? 우리가 쇼핑을 하러 나갔는데, 네가 길을 잃어버렸잖니? 그때 어떤 할아버지가 너를 발견했는데, 네가 그 할아버지를 보고 소스라치게 놀랐잖아. 하지만 그 분은 정말 좋은 분이셨어. 그 분이 아니었으면 너는 계속 길을 헤맸을 거야. 그 할아버지가 무슨 옷을 입었고 내가 너한테 무슨 말을 했는지 기억나니?” 거의 예외 없이 모두가 이 이야기에 친근감을 느낄 것이다. 영국 어빈에 위치한 캘리포니아 대학의 엘리자베스 로프터스(Elizabeth Loftus) 연구실에서 바로 이 효과를 활용했다. 그려는 쇼핑하는 동안 길을 잃은이야기를 실험 수단으로 사용했다. 피험자들은 기꺼이 그 이야기에 살을 붙였다. “그 할아버지는 플란넬 셔츠를 입었다.” “엄마가 다시는 길을 잃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그 이야기를 어머니가 아닌 언니가 해줘도 같은 반응을 보일 것이다. 로프터스는 또한 피험자들에게 무언가(머리에 분필을 문질렀다든가, 플라스틱 개구리에 입맞춤을 했다든가 하는 쉽게 잊을 수 없는 일)를 했다고, 혹은 디즈니랜드에 가서 벅스 버니(디즈니의 캐릭터가 아니다)를 봤다고 오로지 상상만 하던 거짓 기억을 실제로 겪었던 기억으로 믿도록 할 수 있었다.

 

이런 현상은 왜 일어날까? 왜 사람들은 일어난 적이 없는 일들을 상세하게 이야기할까? 어째서 거짓 기억을 실제로 일어났던 일처럼 완벽히 떠올리는 걸까? 여기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동시에 작용한다. 첫째, 만약 권위 있고 신뢰할 만한 정보원이 정보를 제공한다면, 우리는 그 정보를 개별적인 카테고리에 저장하기보다 자신의 개인적인 기억들로 흡수하는 경향이 있다. 어떤 상황에 놓인 자가 자신을 상상활 때 뇌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기억하는 과정과 위험하게도 매우 유사하다.

 

둘째, 기억을 유지하는 일은 역동적인 과정이다. 우리는 기억을 쌓아올리는 동시에 거기에 광택을 낸다. 진주 혹은 담석처럼 매끄럽고 윤기 있게. 각각을 회상할 때, 우리는 관련이 없는 듯한 요소들을 버리고 관련이 있어 보이는 요소들을 추가한다. 만약 쇼핑하는 동안 길을 잃었던 때를 기억하려고 애쓰고 있다면, 그와 관련된 다른 기억들이 그 기억의 조각이 되어 풍부한 내용의 거짓 기억을 완성한다.

 

마지막으로, 기억은 어떤 중앙 서버에 저장되지 않고 분산된다. 어떤 기억 요소들은 놀라울 정도로 개별적이고 지엽적이다. 피험자들의 뇌를 스캔하는 실험에서는 그들이 할리우드 여배우 할리 베리(Halle Berry(또는 제니퍼 애니스톤 Jennifer Aniston이나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등)의 모습이나 이름을 보자마자 개별적 뉴런들이 활성화되는 걸 볼 수 있다. 기억의 시각적 구성 요소들은 시각 체계에 존재한다. 언어 기억들은 구어나 문어와 관련 있는 영역들을 활성화한다. 무언가를 기억하는 순간에는 흩어져 있던 감각적·추상적 정보들이 재조합되며 경험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그리하여 현재의 상황과 관련된 과거가 떠오르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억이 되살아난다.

 

154p

이런 과정이 원숙기에 접어들면, 우리 뇌에서는 백질(신경 중추부에서 신경 섬유의 집단을 이루며 신경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함), 즉 전도부의 비율이 높아진다. 어린 시절의 짜릿한 자극은 개별적인 일괄 회로로 안착된다. 그리고 우리가 기억 속에 정교하게 만든 경험들은 감각 인상들에 대한 열렬한 반응(아이는 어른보다 감각 뉴런이 훨씬 더 많기 때문에 우리는 초콜릿 케이크를 어렸을 때 더 맛있게 먹었다)에서 속담들, 우화들, 무서운 경고들(우리 어른들이 우리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한 수단들)로 전환한다. 하루 일과 속에서 우리는 실로 많은 것들을 획득하기 때문에 우리를 이끌어줄 더 많은 것이 필요치 않음을 알게 된다. 그리하여 새 기억을 형성하는 과정은 더 더디게 진행된다. 학자 조지 리틀턴(George Lyttelton)70대의 나이에 지적했듯이, 노쇠의 징후는 잘 잊는 것이 아니라 잘 기억하는 것이다. 노인들은 젊은이들과 식탁에 마주앉아 그들의 시선은 전혀 의식하지 않은 채 고릿적 경험담이나 우스개 이야기를 거듭 늘어놓는다. 그 이야기를 같은 사람에게 얼마나 자주 했는지를 빼고는 모두 세세하게 기억해낸다.

 

158p

로버트 매클로스키(Robert McCloskey) 미 국무부 대변인은 베트남과 관련해 브리핑하는 동안 즉석에서 이렇게 말했다. “여러분은 제 말을 이해했다고 믿으실 거라는 걸 저는 압니다. 허나 여러분이 들은 것은 제가 의미한 바가 아니라는 것을 여러분이 깨달을지 저는 확신하지 못합니다.”

그런데 만약 말이 단순히 의미의 전달이라면, 그래서 말할 무언가가 있을 때만 말을 한다면, 우리가 스스로에게 말을 하는 것은 어째서일까? 최근 UCLA에서 실시한 실험이 한 가지 단서를 제공한다. 사람들은 스트레스가 심한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표현하는 말을 한 마디 했을 때,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편도체에서 스트레스를 높이는 활동이 약해졌다. 연구를 이끈 매튜 리버먼(Matthew Lieberman)말로 감정을 표현하면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가 낮아지기 때문에 몸은 약한 반응을 보인다.”고 말한다. 이렇게 볼 때, 백악관에서 닉슨의 외침과 속삭임은 단순히 말 못할 그 무언가에 대해 말하기 위한 시도만이 아니었다. 궁지에 몰린 하수인들이 두려움에서 벗어나도록 하려는 의도이기도 했다.

(매클로스키(후에 대사직에 임명되었음0의 말은 외교적 중의성의 문제였다. 매클로스키는 한때 좀 더 명확한 표현을 써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이렇게 대답했다. “명확성을 위해 모호성이 유지되어야 합니다.”)

 

179p

당신에게 나오미라는 친구가 있다고 하자. 그 친구는 학교에서 예술적인 재능으로 두각을 나타냈고, 정치 성향이 급진적이며, 미국 대학수학능력시험(SAT)에서 수학 점수가 매우 낮았다. 누군가가 당신에게 나오미가 은행 직원과 조각가 중 어떤 직업을 택할 것 같은가?”라고 묻는다면, 당신은 아마 나처럼 후자를 택할 것이다. 그러나 그 답은 틀렸다. ‘것 같은은 확률의 문제다. 나오미의 적성과 무관하게 통계는 우리에게 조각가보다 은행원의 수가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 말한다. “나오미가 은행 직원과 비영리 조합은행 직원 중 무엇이 될 것 같은가?”라고 묻는다면 당신은 후자를 선택할 것이다. 그러나 그 선택 또한 다른 관점에서 틀렸다. ‘조합은행 직원은행 직원의 부분 집합이다. 이러한 종류의 오류를 인지적 착각이라고 한다. 우리의 준거 틀이 저지르는 실수는 우리가 쉽게 속아 넘어갔던 시각적 착각만큼이나 보편적이고 필연적이며 자연스럽다.

 

182~184p

낙관에 대한 잘못된 믿음은 단순한 인류학적 환상으로 끝나지 않는다. 이것은 우리의 삶과 행복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 한 여성 환자가 의사인 당신에게 암 검진을 받는다고 가정하자. 그녀 나이 또래의 여성들 중 0.8%가 암에 걸린다고 당신은 알고 있다. 그리고 암에 걸린 사람이 양성으로 진단될 확률이 90%. 그리고 검사 결과 거짓양성, 즉 실제로 양성이 아닌데도 양성으로 나올 확률은 7%. 그녀의 경우, 양성 판정을 받았다. 그렇다면 그녀는 암에 걸린 걸까? 독일의 한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대다수 의사들은 그런 문제가 자신들에게 주어졌을 때 그렇다고 확신했다. 그리고 몇몇 의사는 진단 결과가 음성으로 나온 경우 정확도를 그 반대로 90%라고 가정했다. 하지만 어쨌든 그 판정은 정확하고 양성이다. 그밖에 뭐가 더 필요한 걸까?

사실 그 환자가 암에 걸릴 확률은 겨우 9%에 불과하다.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그 문제를 재구성한다면, 당신도 아마 이에 동의하게 될 것이다. ‘1,000명의 여성이 있다고 생각해보자. 8명은 암에 걸릴 것이고, 암 검진은 그들 중 7명에게서 암을 발견할 것이다. 한편 암 검진은 70명의 여성에게서 암을 잘못발견하는 오류를 범할 것이다. 당신의 환자는 양성 판정을 받은 77명의 여성들 가운데 한 명이다. 그리고 그중 7명은 실제로 암이다.’ 확률에 서툰 우리는 우리의 가정을 자연스럽게 확고히 해줄 수 있는 낙관적인 증거들을 선호하고 신뢰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보겠다. 이것은 과학적 실험이나 실기 시험의 기본적 형태로, 본질적으로 매우 형식적인 문제다. 만약 이것이 쉽다고 느낀다면 당신은 세상의 중요한 일들을 많이 해낼 수 있다. 반대로 쉽지 않다고 느낀다면 당신은 대다수 사람들의 환영을 받을 것이다.

당신 앞에 카드 네 장이 있다. 한쪽에는 알파벳이, 다른 한쪽에는 숫자가 표시되어 있다.

D

K

3

7

 

188p

한편 아무도 졸속이라고 부르지 못할 최전방 전투기의 기술 개발에서도 말썽이 있었다. 그 기술을 책임지는 조직에서 잘못된 가설을 참으로 여기는 허점을 드러냈다. 2007211일 최신예 전투기 F-22 랩터 여섯 대가 하와이의 히캄 공군기지를 더나 일본 오키나와로 향했다. 그런데 여섯 대 모두 비행 도중 완전히 방향을 잃었다. 그 연료 제어 시스템과 통신 시스템은 125백만 달러의 가격표를 무색할 정도로, 농약 살포 비행기 같은 아둔한 모습을 보였다. 그 당시는 날씨가 쾌청했고, 전투기들은 결함이 생길 경우 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었다. 게다가 동반하는 공중 급유기(많은 연료를 싣고 연료를 보급하기 위한 특수 장치를 갖춘 대형 수송기) 뒤를 순한 양처럼 따라가면 되는 상황이었다. 그렇다면 결정적인 일격을 가하려던 숨은 적은 대체 무엇일까? 문제는 바로 국제 날짜변경선이었다. 랩터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움직이는 천 개 이상의 기업들 중 아무도 태평양을 가로질러 서쪽으로 향할 때 날짜가 앞당겨진다는 사실을 기억하지 못한 것이다. 기체에 탑재된 소프트웨어는 시간을 뛰어 넘었을 때 이상 징후를 보인다. 미국의 풍자 시인 오그던 내시(Ogden Nash)가 지적했듯이, 때때로 지나친 영리함은 멍청함이다.”.

 

206~208p

우리를 우리 자신으로부터 구하려면 인생을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 그 답이 쉽지는 않다. 왜냐하면 상쇄효과가 늘 우리 앞을 가로막기 때문이다. 몰입 상태를 추구하면 새로운 안전장치가 막아주지 못하는 위험을 무릅쓸 가능성이 높아진다. 잠금 방지 브레이크 장치가 처음 도입되었을 때, 그것을 장착한 자동차들이 오히려 더 많은 추돌 사고를 일으켰다. 그 안전장치는 운전자들에게 안전성에 대한 지나친 과신을 심어주었기 때문이다. 헬멧을 쓴 오토바이 운전자들은 더 위험한 산길을 달리려고 하고, 물에 빠지지 않도록 설계된 유아용 목욕 의자 때문에 엄마의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아기가 많아진다. 완전히 안전하거나 완전히 위험한 것은 없다. 다만 우리가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만화 <포고(Pogo)>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 “우리는 적을 만났다. 그 적은 바로 우리다.”.

 

학술 자료에서 인적 과실에 관해 찾아본다면, 이것을 대신하는 용어로 인적 신뢰도가 자주 사용된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실수는 인간이 수행하는 일들의 불가피한 부분집합이라는 깨달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 지구상에서 인류가 갖는 완전함에는 한계가 있다. 한결같이 탁월할 것이라는 전제로 당신의 시스템을 설계했다가는 당신이 하는 모든 일을 불완전성에 저당 잡힐 수 있다. 또한 실수가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모든 실수에 책임이 따르지는 않는다. “비극적 삶에는 악인이 필요치 않다!” 오류가 늘 죄는 아니다. 가벼운 실수는 큰 실수와 다르며, 착오는 혼동과 구분된다. 같은 맥락에서 인적 신뢰도 평가는 단순히 경고로 비난하고 금지하지 않고, 위험성이 높은 행동들을 성질에 따라 몇 단계로 분류하고 각 단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잠재적 문제들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과실을 줄이고 과실이 불러올 충격의 강도를 낮추기 위해 필요한 행동 수정을 제안한다. 그 분야의 전문가인 제임스 리슨(James Reason)은 이를 스위스 치즈 모델이라고 부른다. 치즈 조각에 난 구멍들이 한 줄로 늘어서지만 않는다면 커다란 재앙이 일어나지는 않는다는 의미다.

 

가장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오류는 인지 오류다. 상황이 잘못돼가고 있다는 증거가 존재하는데도 우리는 잘 인식하지 못한다. 대부분의 자동차 사고와 항공 사고들은 나는 그것을 보지 못했다’ ‘그가 갑자기 나타났다와 같은 인식 오류의 결과로 발생한다. 타이밍 역시 문제를 일으키는 큰 요인이다. 우리는 연달아 일어나는 사건들을 인과관계로 쉽게 단정 짓는 경향이 있듯이, 순차적이지 않은 사건들 사이의 관련성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인터넷 접속 상태가 느릴 때, 우리는 반복적으로 마우스 버튼을 누르다가 의도하지 않게 올랜드 행 티켓을 네 번 이상 구입하고 만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가 한 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210p

제임스 리슨은 실수의 유형을 다음의 세 단계로 분류했다. 첫째, 능력을 적절히 발휘하지 못하는 무의식적인 실수’, 둘째, ‘올바른반응이 잘못된 상황에 적용된 규칙 기반 실수’, 셋째, 상황을 전반적으로 오해하는 바람에 해서는 안 되는 것을 하기로 결정하는 지식 기반 실수’. 리슨은 우리가 이 오료의 굴레에 강하게 속박 당할수록 오류에서 벗어나 사물을 제대로 인지하기가 더 어려워진다고 지적한다. 우리는 평범함에 대해 무심한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리슨의 분류는 또한 어째서 전문가들이, 특히 자신감이 넘치는 전문가들이 마찬가지로 쉽게 실수를 저지를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내가 할 수 있다’(혹은 더 위험한 오로지 나만이 할 수 있다’)는 믿음은 개인적인 전부함이다. ‘예상치 못한 상황을 극복하는 것이 나에게는 정상적이라는 가정이다. 이때 그 예상치 못한 상황 자체는 스스로를 신중하게 점검하는 과정을 방해한다. ‘차르52’의 조종사들이 깨달았던 바처럼 말이다.

 

213~214p

니벨을 바보라고 생각하는 편이 편하겠지만, 시실 그는 바보가 아니었다. 다만 병에 걸렸을 뿐이다. 그의 병은 가장 지적인 사람이 쉽게 걸리는 동기에 따른 추론이었다. 이 병은 지성보다 더 깊은 차원의 정신 구조인 인식력 자체를 약화시킨다. 프린스턴 대학의 지바 쿤다(Ziva Kunda) 심리학 교수는 이러한 주제의 연구 대다수를 다룬 한 논문에서 특정한 결과를 바라는 욕망인 동기는 관찰, 기억, 계획과 같은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는 일들보다 우위에 있다고 주장했다. 우리는 대개 정보를 선택하고 받아들이기 전에 이미 어떤 특정한 의견을 가진다. 그래서 확실한 증거가 부족할 때는 어려운 결정을 내리는데 안성맞춤인 동전 던지기를 택하면서 그 결과가 우리의 바람대로 32승인지를 본다.

 

216~217p

세계 최초로 음속 장벽을 돌파하는 비행을 한 척 이거(Chuck Yeager)는 애처롭게 말한다. “우리는 우리가 믿는 대로 말한다.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것이라 해도 말이다. 이보다 더 큰 진실은 없다.”

그러나 어떤 이들에게는 이보다 더 큰 진실이 있다. 추상적인 신앙의 가르침인 교의, 공인 본문(성서 연구에서 기준으로 받아들여지는 원전), 한 공동체가 공유하는 믿음 등이 그렇다. 신학교, 마드라사(이슬람 국가의 고등교육 기관) 혹은 예시바(정통파 유대교도를 위한 학교)의 졸업생들이 느끼는 충만한 만족이란, 많은 지식을 탐구한 끝에 자신의 가설들을 입증해 줄 증거를 발견한 사람들이 느끼는 만족과 비슷하다. 그런데 그들의 이성에도 반드시 동기가 있기 때문에 자원들을 취사선택할 때 이미 객관성은 그들의 착각이 된다. 그들의 마음은 오로지 자신에게 이로운 홈게임만 한다. 신앙이 그들의 이성에 동기를 부여하기 때문에, 신앙과 관련이 없는 이성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이해되지 않을 수 있다.

 

218p

자신의 입장 설명하기, 다른 가능성 인정하기, 타인처럼 생각하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우리는 몰입 경험에서 멀어진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세상을 더 안전한 곳으로 끌어다 놓을 수 있다. 어느 산부인과 의사에게 자연 분만이 아닌 제왕절개 수술을 결정할 때마다 그 이유를 자발적으로 설명하도록 요구했을 때, 제왕절개 수술 비율은 4 1에서 10 1로 줄어들었다. 그 절차는 꼭 필요한 경우 외에는 무리한 수술을 하지 않도록 하여 산모와 태아가 위험해지는 확률을 줄인 것이다. 표본이 된 동성애자들에게 성관계에서 콘돔을 사용하지 않을 때마다 그 이유를 기록하도록 했을 때는(비록 그 이유가 그 순간의 뜨거움때문이라고 해도) 콘돔 사용이 크게 늘어났다.

실수는 죄악에서 태어난 인간의 적이 아니다. 실수는 우리 사고 과정의 일부로서 인격이 없다. 오히려 세상을 이해하고 통제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동맹자다. 비록 위험한 동맹자라고 하더라도 말이다. 우리가 무의식적 실수에서 동기화된 이성에 이르는 다양한 실수의 유형을 안다면, 실수를 어느 정도 모면할 수 있다.

 

228~229p

무엇보다 가장 흥미로운 점은 그들의 언어 선택이었다. ‘때때로’ ‘대개의 경우’ ‘자주’ ‘잠시’ ‘더 명확히 말하면’ ‘어느 정도’ ‘의심스러운’ ‘다른 한편으로는등과 같이 상대성과 개연성을 암시하는 말을 주로 사용한 관리자들은 실제로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냈다. 반면 언제나’ ‘절대로’ ‘예외 없이’ ‘확실히’ ‘결코’ ‘오로지’ ‘당연히와 같이 절대성을 암시하는 말들을 주로 사용한 관리자들은 성공을 얻지 못했다. 이 사실은 놀라운 발견이었다. 리더십 과정에서 제시하는 어휘 목록에 반드시 들어 있는 확고하고 강한 느낌의 말들은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설령 그런 말들을 자주 쓰는 이유가 상황을 단순화하기 위한 좁은 소견 때문이었든, 자신 있는 행동과 유능함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고 혼동했기 때문이었든 말이다. 만약 능력 있는 사람은 성격이 단호할 거라고 믿는다면, 그리고 과단성 있는 행동이 효과적인 리더십을 부여해 줄 거라고 믿는다면 우리는 앞서 언급했던 기본적 귀인 오류의 희생자가 될 각오를 해야 한다. 우리는 어떤 사람을 진짜 능력 있는 사람으로 만드는 것들이 무엇인지 잊고 있다. 그것은 절대성보다는 상대성에 초점을 맞춘 가치인 개방성, 왕성한 호기심, 변화를 보는 눈, 상대를 이해하고자 하는 배려심 등 같은 것들이다.

 

233~234p

4주 후, 스타니슬라프 페트로프(Stanislav Petrov) 중령은 소련 모스크바 위성 통제 센터인 세르푸호프-15의 비림 감시 벙커에서 사령관의 위치에 있었다. 그가 위성 활동을 점검할 무렵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군사 위성이 보내는 요란한 조기 경보가 울렸다. 미국이 핵미사일 1기를 소련에 발사했다는 신호였다. 매우 급박한 순간이었다. 불과 몇 주 전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이 발생했기도 하거니와, 북대서양조약기구는 소련의 선제공격에 대비해 엑서사이즈 에이블 아처 83’이라는 시뮬레이션 훈련을 시작했기 때문이었다. 한편 소련은 이제 KGB(구소련의 국가 보안 위원회) 전 의장 유리 아드로포프(Yuri Andropov)가 이끌고 있었다. 그는 냉전의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편집증적인 증세를 강하게 나타냈기 때문에, 만약 미국이 선제공격한다면 즈각적인 보복 공격을 지시할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페트로프는 보복 공격이 가져올 결과에 대해 생각하기에 앞서, 미국의 선제공격이 타이밍과 세부 사항을 기준으로 볼 때 과연 적절한가 하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페트로프가 상황 파악을 위해 애쓰는 동안 경보음이 또 다시 울렸다. 위성은 미국이 두 번째 핵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보고했다. 그리고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핵미사일이 발사되었다는 보고가 뒤를 이었다. 경보음은 귀청이 떨어질 정도였다고 페트로프 중령은 당시를 회상했다. “15초 동안 우리는 충격에서 헤어 나오지 못했다. 우리는 상황을 이해할 필요가 있었다. 다음에 어떻게 행동해야 하나?”

이미 경고를 받은 상태였다. 페트로프 중령 앞에는 빨간색 개시버튼이 깜박이고 있었다. 상황을 어서 보고하라는 상부의 독촉 명령이 떨어졌다. 페트로프는 말했다. “예감이 이상했다. 나는 실수를 하고 싶지 않았다.” 그 이유에 대해 그는 이렇게 설명했다. “만약 미국이 선제공격을 가한 것이라면 핵미사일 5기로 시작하지 않았을 것이다. 소련의 반격이 불가능하도록 핵미사일을 한꺼번에 대량으로 발사했을 것이다.” 그래서 페트로프는 심호흡을 한 번 하고 상관에게 전화를 걸어 잘못된 경보라고 보고했다.

그의 순간적 판단은 적중했다. 위성 시스템은 높은 구름에 반사된 햇빛을 적의 미사일로 오인했던 것이다. 실제로 금방이라도 전쟁이 일어날 것 같은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그 위성 시스템은 버그가 제거되지 않은 채 풀가동되고 있었던 것이다. 신중하고 유연한 사고방식(“우리는 상황을 이해할 필요가 있었다.” “실수를 하고 싶지 않았다.” “만약 미국이 선제공격을 가한 것이라면.”)을 갖춘 페트로프는 표준 절차들과 명령 계통에 따라 위임 받은 책임을 준수하지 않았지만, 오히려 그 덕분에 세상이 핵전쟁으로 초토화되는 사태를 막을 수 있었다.

 

240p

모든 것은 전형적이고, 보편적이었다. 루마니아 사람들은 모호한 사회주의적 형제애를 명분으로, 압제자에 의해 거부당했던 인간다움을 되찾기 위해 싸우는 동시에 축배를 들었다. 군중이 행동하는 이유가 무엇이건 간에 이유는 그 자체는 행동과 거의 관련이 없다. 역사는 일시적인 집단적 광기의 사례들로 가득하다. 그 순간이 지난 후 가담자들은 이런 의문을 품었을 것이다. ‘그때 나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던 걸까?’

 

241~242p

셰리프 교수는 그 소년들을 아무 기준 없이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소년들은 집단에 소속감을 느끼며 잘 지냈다. 반 이름을 정하고(한 반은 독수리이고 다른 한 반은 방울뱀’), 깃발의 도안을 그리는 등 집단적인 여러 활동을 했다. 그들은 서로 친밀함을 느끼기 시작했다. 그 시점에서 실험자들은 두 집단 사이에 경쟁심을 부추기는 일련의 게임들을 준비했다. 게임에서 이기면 (날이 네 개 달린 야영용 칼을 비롯하여) 소년들이 탐낼 만한 상을 주기로 했다. 즉시 독수리 반과 방울뱀 반 모두 심술 맞은 경쟁 심리가 발동했다. 그들은 서로 속이고 비방하면서 뒤에서 몰래 밀기도 했으며, 함께 식사하는 것조차 거부했다. 급기야 독수리 반이 방울뱀 반의 깃발을 불태우고, 방울뱀 반이 독수리 반의 오두막집을 급습해서 상들을 훔쳐가자 상황은 악화일로로 치달았다. 셰리프 교수는 두 집단을 떨어뜨려 냉각기간을 준 후 다시 함께 즐기며 어울릴 수 있도록 바비큐 파티와 불꽃놀이를 마련했지만 그들이 화해하기는 좀처럼 어려워 보였다. 오히려 더 심하게 서로를 경멸하고 모욕했으며, 심지어 음식을 던지기까지 했다. 그럼에도 결국에는 화해를 할 수 있었는데, 그 계기가 된 것은 함께 해결하고 성취해야 할 공동의 목표였다. ‘반달(공공 기물 파손자)로 인해 캠프에 물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독수리 반과 방울뱀 반은 한 집단으로 뭉쳐서 함께 파이프라인을 점검하고 해결책들을 제시했다. 물자 공급 트럭이 정문 바로 밖에서 시의 적절하게 고장 났을 때는 함께 힘을 합쳐 트럭을 정문 안으로 밀었다. 그리고 마침내 캠프 일정을 마칠 무렵에는 한때 갈등을 빚었던 두 집단이 시내까지 버스를 타고 함께기기로 약속했다.

5학년생들이 인간의 모든 유형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로버스 케이브의 경험은 익숙한 역사적 사건들과 많이 닮아 있다. 사람들은 너무도 쉽게 그들 자신들을 우리그들로 구분하며, 근거 없이 전장에 우호적인 반면 후자에 적대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편견과 적개심은 오로지 함께 헤쳐 나가야 할 더 큰 도전 과제가 주어질 때에 극복된다. 어떤 보상을 얻기 위한 과제인 경우는 해당하지 않는다. 너무나도 진실하고 인간적인 모습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문제가 하나 남는다. 대체 왜일까?

 

243~244p

최근 하이파 대학에서 실시한 한 흥미로운 연구에서도 표정이 유전된다는 점을 입증했다. 태어날 때부터 앞을 못 본 아이들이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 지은 표정이 그들 친족들의 표정과 같았던 것이다. 그리고 놀랍게도 태어난 지 이틀 만에 다른 가정으로 입양된 한 맹인 남성은 18세가 될 때까지 만난 적도 없는 생모와 표정이 닮았다. 우리가 친족에게서 물려받는 것은 단순히 눈, , 입만이 아니다. 히죽 웃는 표정과 찌푸린 표정, 흘기는 표정도 함께 물려받는다. 혈족 관계를 드러내는 그런 징표들은 행동에도 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인류학자들의 말에 따르면, 많은 문화권에서 아이가 갓 태어났을 때 어머니의 친족들은 아이 아버지에게 그 아이가 아버지를 얼마나 쏙 빼닮았는지를 말하고 싶은 강한 충동을 느낀다. 그 충동은 사실상 아이가 가장 중요한 잠재적 보호자의 보호르 받아 적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본능적인 시도라고 한다. 한 실험에서 실험자들은 피험자들에게 얼굴 사진을 각각 두 장씩 보여주었다. 그중 한 장은 그들 자신의 얼굴과 닮아 보이도록 교묘하게 조작된 것이었다. 사진을 본 피험자들은 자신과 관련 있는얼굴에 더 신뢰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성적인 매력은 덜 느꼈다. 그러한 성향은 친족들끼리 근치상간을 하지 않고 함께 협력하게 하는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이들처럼 오이디푸스도 얼굴들을 좀 더 예민하게 보았다면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고통 받는 일도 없었을 것이다.

 

246p

그런데 일방통행 도로인 경우, 다시 말해 자신이 감정을 느끼고 행동을 결정하는 것처럼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로 그렇게 한다는 걸 알지 못하거나, 다른 사람들의 감정도 중요하다는 걸 깨닫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어떨까? 뇌영상학 연구에 따르면, 남성은 여성보다 거울 신경이 더 적다. 대다수 사람들은 이미 직관적으로 이 사실을 알고 있을 것이다. 또한 눈치나 재치는 단순히 성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성과도 직결된다. 따라서 그런 면이 부족하다면 사회성 부족을 의심해볼 수 있다. 신경과학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기 하지만, 거울 신경 시스템과 관련된 피질 영역이 얇을수록 자폐증의 정도가 심해진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앞에서 언급한 성별에 따른 차이와 함께 이 연구 결과는, 심리학자 사이먼 배런 코언(Simon Baron-Cohen)의 이론인 자폐성을 보이는 사람은 사회적 배려가 없는 극단적인 남성 뇌이 소유자라는 이론을 뒷받침한다.

 

248~249p

심리학자들은 인간이 타인의 욕구를 예측하고 숨은 의도를 추론하는 현상들을 정리해 마음 이론이라는 하나의 완전한 가설을 세웠다. 이 이론의 핵심은 우리 인간만이 타인의 믿음, 특히 잘못된 믿음을 추측할 수 있으므로 인간의 지성은 짐승들의 지성과 다르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만이 갖춘 독특한 특성이 한 개인에게서 나타나는 시기는 꽤 늦다. 이에 대한 한 고전적인 실험이 있다. 아이들은 한 방에서 두 사람(혹은 두 개의 인형이나 만화 캐릭터)이 장난감 한 개를 가지고 노는 모습을 관찰한다. 둘은 상자 안에 그 장난감을 넣는다. 그 후 둘 중 한 명인 샐리(Sally)가 방을 나간다. 그러자 방에 혼자 남은 앤(Anne)은 상자에서 그 장난감을 꺼내 다른 곳에 숨겨둔다. 조금 후에 샐 리가 돌아온다. 그때 그 장면을 지켜본 아이들에게 이런 질문이 주어진다. “샐리는 그 장난감이 어디 있다고 생각할까?” 3~4세 아이들 대다수는 자기들이 아는 것처럼 샐리도 장난감이 어디 있는지를 알 거라고 추측한다. 그러나 5세 아이들은 샐 리가 알지 할 거라는 걸 추측해낸다. , 앤이 장난감을 숨긴 걸 샐리는 알지 못하므로 장난감을 상자 안에서 찾을 거라는 사실을 예상할 수 있다. 샐리의 잘못된 믿음을 추측한 것이다. 이렇듯 일정한 연령이 지나면 다양한 관점에서 사물을 보고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는 등 상상하는 능력이 갑자기 생겨난다(이때가 되면 거짓말도 훨씬 능숙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그보다 어린 아이들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과 다른 욕구나 감정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과 상대의 입장을 같다고 본다. 그래서 익히지 않은 브로콜리와 크래커가 앞에 놓여 있을 때, 다른 사람들에게도 크래커만 주려고 한다. 심지어 실험자들이 크래커를 싫어하고 브로콜리를 좋아하는 척해도 소용이 없다. ‘모두가 자기처럼 브로콜리 맛이 끔찍하다는 걸 알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251p

그렇다면 실질적 공동체의 크기는 얼마나 될까? 배가 고플 때 서로 음식을 나눌 수 있는 관계에 있는 사람은 모두 얼마나 될까? 배가 고플 때 서로 음식을 나눌 수 있는 관계에 있는 사람은 모두 얼마나 될까? 대략 150명이다. 그리고 당신은 그중에서 최대한 12명을 자기 자신만큼이나 진심으로 사랑하게 된다.

이러한 추산을 한 사람은 인류학자 로빈 던바(Robin Dunbar). 지난 20년 동안, 그와 그의 동료들은 인간과 다른 영장류 동물들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관찰한 다음 흥미로운 상관관계를 발견했다. 영장류 동물의 뇌에서 신피질의 크기가 클수록 그 종의 전형적인 사회집단도 컸던 것이다(이 상관관계는 다른 육식동물들에게도 적용되는 듯하다). 지위를 얻고, 짝짓기를 하고, 음식을 나누고, 몸단장을 하는 등 복잡한 사회적 관계들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한전된 두뇌 자원들이 매우 많이 소비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획득하는 사회적 정보들은 자신이 이 친구들을 과연 신뢰할 수 있는지, 이 상황에서 어떤 친구들 믿을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할 때 유용하다.

 

252p

150명의 공동체는 보통 수렵 집단이나 전통문화를 보유한 작은 마을과 잘 어울린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그보다 복잡하다. 던바는 이 점에 주목했다. 예를 들어, 크리스마스카드를 보낼 사람들의 명단이 필요하다고 하자. 적어도 1년에 한 번 연락할 필요가 있을 만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 그러니까 친척들, 오랜 친구들, 회사 동료들 그리고 왠지 싫긴 하지만 할 수밖에 없다고 느껴지는 사람들은 보통 130명에서 최대 153명 정도다. 그 한도는 확고하다. 150명 이상에게 개인적으로신경 쓸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은 천재이며, 외교관이 되어야 할 사람이다.

 

259~261p

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Jonathan Haidt)와 그의 동료들은 다양한 문화 속에서 혐오감의 역할에 주목했다. 그들은 혐오감의 물리적원천들(배설물, 시체 등)은 어디에서나 같지만, 도덕적이고 지걱인 차원의 원천들은 누에 띄게 다르다는 점을 발견했다. 미국 사람들은 무분별한 폭력과 인종차별적인 태도에 혐오감을 느낀다고 말한다. 일본 사람들은 무례한 행동과 개인적 결점들에, 이스라엘 사람들은 거짓말하는 정치인과 뚱뚱하며서 해변을 나체로 활보하는 사람들에게, 그리스인들은 뻔뻔스러움에, 호피(Hoppi(적어도 하이트가 인터뷰했던 6명의 경우))은 우주와의 부조화에 혐오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원천은 다양하지만 반응은 오직 하나, 혐오감이다.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여러 문화가 충동할 때, 서로가 서로에게 무심코 가하는 도덕적인 모욕은 거의 용서할 수 없을 정도다. 도덕적인 모욕감이 일으키는 반응은 도덕적이 아니라 물리적이기 때문이다.

이 혐오감은 뇌의 인슐라가 주관한다. 인슐라는 영장류의 뇌 속에 뿌리 깊게 자리한 채 오랫동안 일관되게 제 기능을 발휘해 온 것으로, 우리의 직감과 본능적 감정들(두려움, 분노)을 제어한다. 혐오감은 가시 돋친 말(“저런 사람들은 어딜 가도 꼭 있다니까.” “넌 네 여동생이 그런 사람하고 결혼했으면 좋겠니?”) 혹은 이해하기 어려운 관습이나 야만적인 의식에 대한 두려움과 함께 등장한다. 당신이 느끼는 감정은 경멸 혹은 연민인가? 그렇다면 당신은 타인을 어리석고 무능한 존재로 여기고 있는 것이다(영국 사람들은 아일랜드 사람과 인도 사람을 그렇게 여겼다). 당신은 부러움을 느끼는가? 그렇다고 당신은 타인을 더없이 냉랭하고 몰인정한 존재로 여기고 있다(아일랜드 사람들과 인도 사람들은 영국 사람들을 그렇게 여겼다). 우리는 이 근본적 감정들 위에 복잡한 문화를 세운다. 거기에서 우리는 인슐라의 즉각적인 편견을 이끌어낼 만한 행동을 경계한다.

그래서 뿌리 깊은 불신을 해소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미국인들은 인종차별적 태도에 혐오감을 느낀다고 말하곤 하지만, 그들의 내면에는 여전히 인종차별적인 감정이 뿌리 박혀 있다. 그 감정은 아주 깊숙이 숨어 있다. 알렉산드라 골비(Alexandra Golby)가 발표한 뇌영상 연구 결과를 보면, 우리는 자신의 인종과 낯선 인종의 얼굴을 분명하게 구분한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이 경웨 우리 머릿속에서는 사람을 식별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방추상회에서 특히 얼굴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는 방추형 얼굴 영역이 더 활성화된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미국에서 이 혀상은 흑인들보다 백이들 사이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흑인들은 인구수에서 소수로 밀려나기 때문에 다수인 백인들을 식별하는 데 능숙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백인들은 인종에 대해 비교적 확고한 인식을 갖고 있다. 물로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그 인식은 그들의 감정적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비록 백인 미국인들을 상대로 뇌 영상 촬영 및 심리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에서는 인종차별주의를 명백하게 입증할 증거를 거의 찾지 못했지만(표준적인 질문들에 답변한 내용들을 종합해보면, 오히려 흑인들에 대해 우호적이다), 백인 얼굴과 흑인 얼굴을 제시하고 연상되는 단어를 분류하도록 했을 때는 무의식적으로 반 흑인 성향을 보였다. 좋은 의미의 단어들을 보며 흑인 얼굴을 연상하는 데 걸린 시간은 백인 얼굴보다 오래 걸렸다. 내재적 인종 편견을 측정하는 이 테스트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피험자들은 흑인 얼굴을 볼 때 더 놀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불쾌한 자극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주관하는 영역인 편도체가 더 크게 활성화된 것이다. 그러나 인종에 상관없이 낯익은 얼굴인 경우에는 이 신경 반응들이 사라졌다. 이때 그는 흑인이 아니다. 그는 존스다.”라고 고리타분한 농담을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 안에 인종차별적인 성향이 자신도 모르게 숨어 있다는 의미일까? 그렇지는 않다. 그 테스트가 보여주는 바는 단순한 지적 노력만으로는 이 수치스러운 절뚝거림을 교정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우리는 편견이 우리의 행복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 따져보고, 그 결과에 따라 의지력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

 

263~264p

이처럼 범죄로까지 발전하는 부정적 차별은 그 대상이 되는 사람들을 은연중에 흔들어 놓기도 한다. 현재 스탠퍼드 대학에 재직 중인 클로드 스틸(Claude Steele)의 실험들이 대표적이다. 스틸 교수는 서로 인종이 다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로, 인종의 정체성에는 단순한 피부색보다 더 많은 것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일찍부터 깨달았다. 1980년대 후반(정치적·사회적으로 자유롭지만 많은 학구적 노력을 요하는 학교인) 미시간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할 당시, 그는 SAT(미국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백인 학생들과 같은 성적을 받고 입학한 흑인 학생들 중 상당수가 학기 중에 낙제를 받아 중퇴를 하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그는 이것이 내면화된 편견, , 그가 고정관념 위협이라고 부른 자신감 결핍의 소산인지를 궁금하게 여겼다. 그래서 한 상황을 연출했다. 학업 성적이 비슷한 흑인 학생들과 백인 학생들에게 GRE(대학원 자격시험)의 어려운 문제들을 풀도록 했다. 피험자들에게 이것이 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라고 말하자 흑인 학생들은 백인 학생들보다 눈에 띄게 낮은 성적을 받았다. 다음번에는 학습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주어진 상황 해결 능력을 보기 위한 시험이라고 말하자, 흑인 학생들은 백인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좋은 성적을 받았다. 같은 시험인데도 불구하고 흑인 학생들이 앞의 시험에서 더 낮은 성적을 받은 이유는 뭘까? 그는 단순한 열등감보다는 어떤 특정 집단이 어떤 걸 잘하고 어떤 걸 못할 거라는 고정관념 위협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스틸 교수와 그의 동료들은 시험 문제와 피험자의 범위를 확대했다. 그 실험 결과는 무의식적인 편견들의 촘촘한 망을 보여주었다. 어려운 수학 시험에서 여학생들은 남학생들보다 성적이 더 낮았다. 그러나 피험자들에게 과거의 시험에서는 남녀 간의 성적 차이가 없었다는 말을 하자 여학생들은 남학생들과 비슷한 성적을 받았다. 백인 남학생들은 아시아계 학생들보다 수학 성적이 더 낮았는데, 이 또한 개인적 열등감보다는 아시아인들이 수학을 더 잘할 거라는 고정관념 위협에 영향을 받은 결과였다. 백인 골퍼들은 전략적 사고를 평가하기 위한 게임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보다, ‘타고난 육상 실력을 평가하기 위한 게임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더 저조한 실력을 보였다. 그리고 백인 학생들은 흑인 코치에게 평가받았을 때 점프 실력이 훨씬 더 저조했다.

최악의 상황은 한 집단의 고정관념 위협이 다른 집단의 이기적인 편견과 만날 때다. 이럴 때 두 집단은 끔찍한 상호 의존에 빠진다. 학대하는 남편과 학대당하는 부인의 관계처럼 파괴적이며 쉽게 벗어날 수도 없다. 여러 문화에서 세습적 신분제도가 지속되었던 주된 이유도 마찬가지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보면 이러한 제도는 정복(인도에 침입한 아리아인이 인도 원주민이었던 드라비다인을 정복, 에티오피아인의 후손으로 추정되는 투치족이 원주민인 후투족을 정복하고 왕국 건설)이나 무력 사용(러시아 농노제, ‘인자한식민주의)의 결과로 나타났지만, 굳이 역사적 근거까지 댈 필요 없이 실험실에서도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266~267p

감옥 안에서 벌어지는 상황은 매우 충격적이고도 우울했다. 실험이 진행되면서 교도관들과 죄수들은 이상하게 변해갔다. 일주일 동안 협박, 폭행, 배반, 복종, 심지각한 정신장애가 모두 나타났다. 그리하여 실험은 예상보다 훨씬 일찍 종결되었다. 하지만 교도관들은 죄수들을 통제하는 자신들의 역할에 지나치게 몰입한 나머지 실험이 끝나는 걸 원치 않았다. 실은 교도소장도 그랬따. 필립 짐바르도는 실험이 시작되고 뎌칠 후부터 죄수들의 저항을 더 이상 흥미로운 실험 결과가 아닌 모의 감옥의 질서를 위협하는 요소로 인식하는 자신을 발견했다고 고백했다. 그 역시 진짜 교도관이 되어 있었다.

이 실험을 통해 권력 관계가 본질적으로 사악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기는 쉬울 것이다. 그러나 진실은 더 많은 것을 내포한다. 우리는 폭정에 대해서는 지배당하기를 거부하지만 정당한 권력에는 순순히 따른다. ‘여기서 누가 책임자일까?’ ‘성공한 경영자는 기업을 어떻게 운영할까?’ ‘엄마는 무엇을 생각하는 걸까?’ 집단에 속한 구성원들은 자연스럽게 지도자와 추종자, 계획자와 실행자로 분류된다. 그리고 지위는 우리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분비에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는 감정으로 나타난다(만약 세로토닌이 부족하면 우울증이 걸리기 쉽고, 충동적이고 폭력적인 행동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 1984년 마이클 J.(Michael J.) 롤리(Raleigh) 교수는 긴꼬리원숭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혈액 내 세로토닌 수치와 권력의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획기적인 실험을 실시했다. 지배자(수컷) 원숭이는 지배당하는 다른 원숭이들의 두 배에 달하는 세로토닌 수치를 보였다(마찬가지로 그 교수의 세로토닌 수치도 그의 지도를 받는 대학원생들의 두 배에 달했다). 지배자의 위치에 있으면 그만큼 큰 보상이 주어지기 때문에 세로토닌이 활발히 분비되는 것이다. 그런데 지배자의 역할을 맡게 된사람들의 세로토닌 수치도 증가한다. 심지어 지배자의 위치를 과시할 수 있는 여러 요소들과 의례들도 세로토닌 분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정당성이 결여된 지배를 받는 사람들은 세로토닌 수치가 급격히 낮아졌다(동시에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타솔의 수치가 높아졌다). 짐바르도의 죄수들 중에서 많은 수가 극단적인 심리 반응을 보인 이유도 그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상황에서 우리는 인간의 감정들 중에서 가장 강력하고 수치스러운 두 가지 감정을 분출한다. 하나는 우리 자신의 무기력함에 대한 죄책감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가 모욕을 주고 학대한 사람들에 대한 증오다.

 

271~272p

알트마이어의 테스트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동조를 더 많이 한 사람들)합법적인 사회 권위에 순종하기 쉬울 뿐 아니라, 권위라는 명목의 공격을 감수하고 사회 인습에 구애 받을 가능성이 높은사람들일 것이다. 알트마이어는 그들을 우파 권위주의자라고 불렀다.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케인스 경제학이나 총기 소지자에 대해 어떤 특별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보다는 대다수가 지지하는 생각과 믿음을 유지하려는 강한 성향을 보인다는 의미다.

실제로 권위주의자들은 권위가 그들을 어느 방향으로 이끌든 간에 순종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 점에서 나치스 돌격대(반 나치스 세력에 무력행사를 하고 나치즘을 선전하는 데 앞장섰떤 준군사 조직)와 스탈린 정권의 특별 작업대(정량 이상의 작업을 이행하는 노동 특공대)는 거의 다를 바가 없다. RWA는 스스로 다수 집단의 일원이 되어 위험하고 분방한 급진주의자들로부터 정치적 통일체를 보호하는 것이 자신의 역할이라고 여긴다. 그리고 어떤 문제가 생길 때마다 비난의 화살을 소수 집단(약탈자들, 밀렵자들, 도시의 청년 패거리, 지르박 춤꾼들, 이탈자들)에게 돌린다. 알트마이어는 나아가 RWA 테스트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피험자들에게 이러한 질문을 던졌다. “만약, 연방 정부가 특정 종교 단체들의 활동을 불법화하는 법언을 통과했다면, 당신은 그 단체 구성원들을 색출해서 체포하는 일을 기꺼이 도울 것인가?” 그들은 그렇다.”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알트마이어는 이 가상의 금지 법안 적용 대상을 바꾸어보았다. “공산주의자라면?” “물론이다.” “동성애자나 애국심이 없는저널리스트라면?” “당연하다.” “KKK(사회 변화와 흑인의 동등한 권리를 반대하며 폭력을 휘두르는 미국 테러 단체)이라면?” “, 그렇다.” “‘RWA;라면?” “그렇다.” 비록 그들의 어조는 처음보다 덜 단호했지만, 대다수 RWA들은 권력의 편에 서는 데 지나치게 열중한 나머지 기꺼이 그들 자신을 박해하는 집단의 일원이 되었다. 그들이 파이러스에게 어떻게 대할지는 상상만으로도 짐작이 갈 것이다.

 

275p

놀랍게도 16개월짜리 아이는 어른이 사실과 다른 말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차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를 이라고 부르는 것 같은 경우에 그렇다. 세 살 무렵이 되면 신뢰할 수 없다고 여기는 어른들이 한 말은 무조건 신뢰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신뢰할 수 있다고 여기는 어른들이 한 말은 믿을 만한 정보의 원천으로 점점 더 확고히 자리 잡는다. 그래서 만약 마리아 이모가 다정하고 정직하며 언제나 맛있는 쿠키를 구워준다면, 비록 약간 제 정신이 아닌 듯한 의견이라고 해도, 이때 마리아 이모의 의견들은 그 아이의 정체성을 휘감으며 아이와 함께 머물게 된다. 그 의견들은 관찰과 실험을 통해 배운 물리적 사실들만큼이나 진실한 것으로 여겨진다.

 

277~278p

엉성한 추리와 극단적 가설이 불러일으키는 재앙을 다룬 <주술 과학>의 저자이자 무신론적 물리학자인 밥 파크(Bob Park)는 사실 과거에 감리교 청년회 회원으로 활발하게 활동했다. 파크가 신앙을 버리게 된 이유는 창세기에 대한 그의 순진한 질문에 대해 목사가 네가 의심한다면 도둑질을 했을 때만큼 빨리 지옥에 떨어질 게다.”라고 답한 일 때문이었다. 그 집단은 그 의 믿음을 저버렸다.

사람이 사람을 미워하는 이유가 그 사람의 믿음 때문일 때는 그 이유가 피부색이나 낮은 지위일 때와 다소 다르다는 가정에서 이 글을 시작했지만 사실 실질적 차이는 없다. 믿음 역시 우리를 우리로 만드는 집단적 특성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믿음은 사회적 결속을 강화하고 외부인을 집단 구성원과 구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사람들이 비록 베네수엘라의 수도 이름이나 1파인트가 몇 온스인지와 같은 질문들에는 쉽게 확신을 보이는 이유도 그 때문일 것이다.

 

279p

대다수 공개 토론들은 사람들의 대뇌변연계(본능적 욕구와 감정을 주관함)를 직접적으로 겨냥한다. 인간의 우월성을 나타내는 자랑스러운 휘장과도 같은 전전두피질(이성적인 사고를 주관함)은 그동안 잠을 잔다. 또한 음모론들도 판을 친다. “부시는 911 사태의 배후 인물이었다(심지어 프랑스 주택부 장관도 그 가능성을 시사했다).” “에이즈를 유발한 주범은 CIA이며, 소아마비 백신은 이슬람교도들을 불임케 하기 위한 서양의 음모로 탄생했다(그래서 소아마비가 거의 근절되다시피 했다가 다시 발병률이 높아졌다).” 합리적 사고의 어떤 기준으로 보더라도 이러한 이론들은 완전히 터무니없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실험을 고려해 볼 때, ‘우리그들에게 느끼는 편견을 확고히 해주는 것이라면 우리는 어떠한 허튼소리도 곧이곧대로 받아들인다. 그리하여 그들의 피에는 맥주가 섞여 있다고 믿게 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우리는 이 덫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감정보다 이성이 앞서야 한다고 스스로에게 다짐한들, 덜 먹고 더 운동하겠다고 결심하는 것만큼이나 그다지 효과가 없다. 그보다는 그 문제의 근본 원인인 변연계에서 해답을 찾는 것이 빠르다.

 

287p

1,000년 전 세계 인구는 오늘날 미국의 인구와 같았다. DNA 증거에 기반을 둔 추론에 따르면, 7만 년 전에는 인구가 고작 2,000명에 불과했는데, 그들 중 약 150명의 용감한 무리가 동아프리카에서 다른 곳으로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 모두는 그 몇 안 되는 이주자들의 후손이다. 우리의 혈통을 추적해 그 시기까지 이르면, 근친상간을 자연스럽게 목격하게 된다. 바로 연산을 통해서 말이다. 만약 당신의 조상이 얼마나 되는지 계산해서 과거 인류의 총 인구와 비교해본다면 30세대 전까지만 해도, 그러니까 약 1,000년 전까지만 해도 당신의 잠재적 조상은 230명에 달한다. 이는 세계 인구의 3배를 넘어서는 수다. 따라서 통계적으로 볼 때, 그 시대에 살았던 어떤 한 사람을 지목할 경우 그 사람이 당신의 조상일 확률은 매우 높다. 만약 당신이 파란 눈의 소유자라면, 당신과 이 채의 필자들은 1만 년 전 흑해 근처에서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한 사람의 같은 후손들이다. “반가워요, 사촌!”

 

289p

공동으로 상속받은 이 집단 무의식에 대해 또 다른 단서가 있다. 바로 전 세계의 7천 개 가량 언어 중 어떤 언어를 쓰는 아기라도 음조를 통해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모든 어머니들도 마찬가지다. 세계의 모든 언어에는 음조가 같으면서 의미도 같은 표현들이 있다(“잘했어!” “왜 그래?” “안 돼, 안 돼, 안 돼, 조심해.” “, 가엾은 것”). 욕설의 경우에도 단어는 다르지만 음조는 동일하다.

장소에 대한 취향에서도 집단 무의식이 작용한다. 미시간 대학의 스티븐 캐플런(Stephan Kaplan)교수(모든 캐플런들은 제사장 아론(Aaron)의 후손이라는 점에서 그도 피자들의 친척인 셈이다)는 풍경에 대한 사람들의 취향을 비교적 정확히 알기 위해,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캐나다, 한국, 이집트에 이르는 다양한 인종과 문화의 사람들을 상대로 총 30회에 걸친 실험을 했다. 모두가 인문환경보다는 자연환경을 선호했고, 특히 나무가 우거지고 깨끗한 강이 흐르며 꽃이 활짝 핀 초원에 열렬히 반응했다. 그 풍경은 대다수 문화권에서 천국을 떠올릴 때 쉽게 연상하는 장면이기도 하다. 또한 대다수 사람들이 포식자들로부터 몸을 숨기기 위한 은신처와 주변을 정찰하기 위한 조망을 강하게 선호했다.

 

292p

당신이 아프리카 남부 보츠와나의 칼라하리 사막에 사는 쿵족(Kung)이라고 해보자. 당신의 일과는 당신과 자식들이 먹을 약 4,000칼로리의 음식을 구하는 것이다. 이때 연장은 거의 필요없다. 대신 전문 지식이 필요하다. 54종에 이르는 동물들의 습성을 꿰뚫고 있어야 하고, 85종에 이르는 무독 식물들을 구별해낼 수 있어야 한다. 그 식물들 대부분은 땅속에 줄기가 들어 있는 덩이줄기여서 웬만한 지식 없이는 절대 쉽게 찾을 수가 없다. 당신은 또한 음식 섭취로 얻은 에너지르 가지고 동물 쫓기나 땅 파기와 같은 일을 얼마만큼 할 수 있는지 정확히 감지해야 한다. 이러한 지식들이 있다면 생계를 유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하루의 4분의 1에 불과하게 된다. 나머지 시간은 연장을 수리하고 춤추고 노래하는가 하면, 겨드랑이에 태양을 끼고 있던 한 게으른 사내를 아이들이 하늘로 던져 세상이 밝아졌다는 거짓말 같은 이야기들을 지어내며 보낼 수 있다. 이곳의 삶은 참으로 단순하고도 편안하다. 현대인들이 가장 골머리를 앓는 값비싼 은신처만 해도 여기서는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는다. 나뭇잎을 재료로 오두막을 완성하는 데는 몇 시간이 채 걸리지 않는다. 원뿔형 천막집이나 이글루나 유르트(몽골 유목민의 천막집)도 오래 걸리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296p

규모의 경제(하나의 치약, 하나의 타바스코 소스, 하나의 집)로 보나 노동의 분배(“나는 식료품점에 갈 테니 당신은 아이들을 데려와요.”)로 보나 그렇다. 게다가 결혼이 부여하는 책임감과 자긍심 덕분에 직장에서도 예전 같으면 농땡이를 부리거나 사직서를 내려고 생각할 시간에 더 열심히 일하게 된다. 그래서 남자들은 결혼 후에 10~40% 정도 더 많이 번다. 그들이 갑자기 더 똑똑해져서 그런 것은 아닐 것이다. 반면, 이혼을 하면 여자들은 소득이 27%까지 줄고 남자들은 오른다 해도 겨우 10%에 그친다. 그래서 이혼은 사회 전반적으로 손실이 아닐 수 없다. 편부모 가정은 아동 빈곤과 소득 불균형이 주된 원인이 되므로 정부에 직접적인 부담이 된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혼 한 건당 복지 지원 및 청소년 범죄 예방에 추가로 드는 평균 비용이 3만 달러에 이른다. 2002년 미국에서 140만 건의 이혼이 발생했을 때는 납세자들이 400억 달러 이상(그해 연방 적자액의 4분의 1에 달함)의 세금을 더 부담하게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재정적 손실에 그치지 않는다. 환경적 손실도 이에 못지않다. 2005년 미국의 이혼 가정들은 자원을 이혼 전보다 1인당 41~62% 더 많이 소비했다. 그 현상은 38백만 개 이상의 빈 방들, 730억 킬로와트시의 전력 소모 6,270억 갤런의 물 소비로 나타났다. 모두에게 가장 자연스러운 욕구인 사랑이 사라졌을 때 우리는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299p

만약 신체 건강한 남자가 하루에 수억 단위로 배출하는 자신의 정자를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면, 시간당 약 1,200만 명에 달하는 아이들의 아버지가 될 수 있다. 반면 여자는 초경에서 폐경에 이르기까지 총 400개 정도의 난자를 배란하며, 평생 최대 20회까지 자녀를 낳을 수 있다. 번식의 관점에서 남녀의 본질적인 차이는 성욕에서도 드러난다. 남자들은 순간의 쾌락을 탐닉하며 그 순간이 얼마든지 반복되기를 갈망하지만, 여자들은 이 순간이 지나면 일어나게 될 일들, 즉 임신과 출산과 양육으로 이어지는 어색하고 고통스러운 시간을 상상한다.

 

302p

여자가 남자를 고를 때는 더 까다로운 조건을 내건다. 그들은 키 큰 남자를 좋아하고, 무엇보다도 균형 잡힌 외모를 중시한다. 남자의 외모는 신체 건강을 말해주는 좋은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여자들은 저음의 목소리를 들으면 큰 키와 많은 털, 강인함을 비롯한 여러 바람직한 남성성을 연상하면서 그러한 목소리에 매력을 느낀다. 사실 목소리는 높은 수치의 테스토스테론(남성호르몬)보다는 균형을 측정하는 데 좋은 척도가 된다. 그래서 당신이 전화 목소리와 달리 외모가 그리 남자답지 않다 해도 아예 승산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 리고 여자들이 남자들을 처음 평가할 때는 제일 먼저 세 가지 기준을 고려한다. 바로 눈, 손가락, 엉덩이인데, 모두 나름의 적절한 이유가 있다. 먼저 눈의 경우, 여자들은 안륜근이 자연스럽게 수축되는 모습을 좋아한다. 그 모습은 눈꼬리에 주름이 생길 만큼 진심으로 짓는 미소인 이른바 뒤셴 미소(Duchenne Smile)“를 말하는데, 만약 당신이 이 표정을 지을 줄 모른다면 아무리 이를 드러내고 열심히 웃어도 여자들에게 당신이 좋은 남자라는 확신을 심어주기는 어렵다.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친절이야말로 앞으로 장기간에 걸쳐 아내와 자식들에게 양식을 제공해야 하는 사람이 갖추어야 할 필요조건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손은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알 수 있는 좋은 척도일 뿐 아니라 그 잠재적 부양자의 영양 공급 상태도 보여준다. 강하고 긴 손가락과 민첩한 손놀림은 좋은 신호다. 마지막으로 엉덩이는 우리를 다른 유인원들과 구별되게 만드는 또 하나의 특징이 된다. 하버드 대학의 대니얼 리버먼(Daniel Lieberman) 교수의 말에 따르면, 생활환경이 숲에서 대초원으로 변하면서 진화 인류의 모체가 된 조상들의 몸은 위로 약 60센티미터 올라갔다고 한다. 먹이를 구하기 위해 나무들 사이에서 매복했다가 급습하는 대신 먹이를 추적하기 위해 몇 마일이고 계속해서 달려야 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오래달리기를 하면서 엉덩이 근육은 자연스럽게 발달했다.

 

303p

여자들은 단순히 남자의 얼굴 사진만 봐도 그 남자의 전반적인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파악할 수 있다. ‘지배자의 얼굴인 강한 턱뼈와 돌출된 코, 길쭉하게 솟은 눈썹은 군대나 프로스포츠 팀처럼 남자가 대부분인 환경에서 성공을 예언한다. 그러나 여자들이 그렇게 쉽게 흔들리지는 않는다. 성격이 차갑고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이 아닌지, 아버지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사람이 아닌지도 주의 깊게 본다. 호르몬을 읽어내는 여자들의 신비로운 능력을 증명한 실험에 따르면,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낮은 남자들일수록 자신이 아이들을 좋아한다고 말하는 경향이 높았고 여자들은 장기적인 관계를 맺기 위한 상대로 그러한 남자들을 선택했다.

 

304~305p

유성생식이 한 사람의 유전자를 퍼뜨리는 방식이라면, 적절히 잘 숨긴 간통은 하나의 이기적인 전략으로 꽤 합리적일 수도 있다. 아마존의 카넬라(Canela), 아체(Ache), 바리(Bari), 야노마모(Yanomamo)족 사람들 사이에서 실제로 이 생각은 타당하게 여겨진다. 왜냐하면 이들은 난자가 마치 진주처럼 정액에 겹겹이 에워싸이면서 아이가 생겨난다는 이론을 믿기 때문이다. 여자가 괜찮은 조건의 여러 남자들과 자는 것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여겨지며, 아이를 낳으면 남자들은 모두 그 아이가 자신의 아이라고 생각한다.

 

지난 70년간 핀란드와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이란을 비롯한 전 세계 37개 문화권에서 실시된 실험에 따르면, 배우자르 선택할 때 여자들은 남자들보다 그 점을 두 배 더 중요하게 여긴다. 애인을 구하는 광고에서 여자들은 남자들보다 경제력에 대한 언급을 11배 더 많이 한다. 미국의 대졸 여성들은 소득이 상위 30%에 들지 못하는 남성과 살면 행복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반면 남성이 억만장자라면 다른 많은 결점들이 용서된다. <오만과 편견>이나 <브리짓 존스의 일기>에서도 남자 주인공의 결점은 재산으로 만회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306p

훌륭한 사냥꾼이 되려면 뇌 전문의가 되는 것보다 더 오랜 훈련이 필요하다. 아마존, 파푸아, 칼라하리의 소년들은 5세 때부터 작은 활과 화살로 훈련을 시작하지만, 30세가 되어도 사냥 기술의 정점에 도달하지는 못한다. 물론 30대에 이르면 체력은 떨어지겠지만 전문 기술과 지식, 지략과 같은 노하우가 이를 충분히 보완해준다. 그 시기에는 고기에 대한 가장의 초대 공급 능려과 가족의 최대 수요가 일치한다. 그래서 여자들은 대개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남자를 선택한다. 많은 수렵채집 사회에서는 보농 4~5세 연상을,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의 티위(Tiwi)족처럼 노인들이 지배하는 사회에서는 26세 연상까지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307~308p

행동 조건에서 볼 때, 남자들은 자신이 자녀의 아버지임을 확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여성의 순결에 큰 중요성을 부여한다. 그들은 결혼에 있어서 순결의 징표를 신뢰성의 척도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심지어 여성 스스로 삶을 통제할 수 있을 만큼 비교적 자유분방한 사회에서도 남자들은 잠재적 배우자의 신뢰성에 비합리적으로 민감하다. 관대한 네델란드 사람들이나 민주적인 스웨덴 사람들 사이에서도 질투와 애착이 낳는 분노의 감정은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그들은 배우자의 성에 대해서는 이처럼 독점적 권리를 주장하면서도 자신들에게는 그 잣대를 들이대지 않는다. 실제로 남자들은 상대가 바뀔 때 성적 욕망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쿨리지 효과 Coolidge effect’라고 한다). 여자들은 마치 남자들의 그런 성향을 체념하고 받아들이는 듯, 성적인 배신보다는 오히려 감정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만약 그가 진심으로 사랑하는 사람이 정부가 아닌 자신이라면, 결혼 생활은 지속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그 의 마음까지도 침대를 떠났다면 복수를 꿈꾼다.

외모에서는 남자와 여자가 똑같이 중요하게 여기는 한 가지 특징이 있다. 그것은 바로 깨끗하고 굵고 윤기 있는 모발이다. 사람들이 각종 헤어 제품들에 소비하는 금액이 연간 50억 달러에 이른다는 사실을 볼 때, 모발은 단순히 일시적인 인상이 아닌 근본적인 매력을 좌우하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그토록 많은 금욕주의적 청교도 문화들에서 머리에 무언가 쓰도록 의무화한 이유가 무엇이겠는가? 분명 좋은 모발은 건강뿐 아니라 기생충으로부터의 자유도 말해준다. 거세된 남자의 가는 머리카락과 성병 환자의 벗겨진 머리를 보면 남자의 바람직한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다.

 

314p

음식에는 우리 모두가 자제심을 잃고 탐닉에 빠지게 만드는 즐거움이 있다. 맛있는 음식 앞에서는 대뇌변연계가 전두피질을 압도한다. 욕망의 울부짖음은 이성의 목소리를 몰아낸다. 미식가와 대식가 사이에는 이론적으로 분명히 차이가 있겠지만, 호박 파스타가 담긴 접시 앞에서 자제심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점은 같다. 영국의 시인 콜리지(Coleridge)가 말했듯이, 아무도 사과 경단을 진심으로 거절할 수는 없다.

 

317p

일본 오키나와 사람들의 문화에는 하라 하치 부의 개념이 있는데, 여기에는 5분의 4 정도 부를 정도로만 먹자는 뜻이 담겨 있다. 그래서 오키나와는 100만 명당 100살 이상인 사람의 수가 미국보다 4배 더 많다. 배고플 때 분비되는 호르몬인 그렐린(ghrelin)은 지각력을 예리하게 하고 학습 능력을 촉진하며 움직임을 민첩하게 한다(그래서 냉장고 안을 뒤지는 것보다 더 분투적인 무언가를 하게 된다). 그래서 배고플 때 운동하는 것이 좋다는 트레이너의 말은 맞다. 다만 문제는 트레드밀(회전식 벨트 위를 걷거나 달리는 기구) 위에서 목적 없이 무작정 달릴 때는 사냥감을 쫒으면서 맛보는 스릴을 똑같이 느끼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만약 약해빠진 영양 한 마리가 달아나는 영상을 보면서 운동을 한다면 아마도 더 가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319~320p

그런 강력한 욕구는 단순히 지적인 동물의 본능에 관한 문제로만 남지 않는다. 사랑이 섹스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포함하듯이, 음식에 대한 우리의 감정은 단순히 채우고 비우는 것 이상의 무언가다. 다이어트를 하는 어떤 이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지금 무척 그립다. 음식은 지난 몇 년간 나의 가장 친한 친구였기 때문이다. 안정제가 되어주었고, 고독감을 완화해주었다. 그렇게 막다 보면 어느새 잠의 무의식에 빠졌다. 음식은 나에게 위안을 주었다.” 너무 많이 먹으면 자기 조절에 실패한 것이라고들 말하지만, 사실 과식은 다른 무언가를 성공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인지도 모른다. 바로 감정 말이다. 배고픈 사람은 우울한 소식을 들었을 때 더 많이 먹는다. 스트레스와 걱정이 있으면 자기도 모르게 발길이 주방으로 향한다. 원시적인 공동체에서 그러한 반응은 꽤 유용하게 작용했다.

 

326~327p

사회화는 유아기의 본능이다. 새끼 사자가 와락 덤벼들고 무는 법을 배우듯이, 우리는 주장하고 제안하고 협상하며 감정이입을 하고 농담하는 법을 배운다. 유아들은 가장 권력이 센 남자 어른이 언제 너그러워지고, 언제 무서워지는지를 곧 알게 된다. 어떤 일의 목적이나 언제 시끄럽게 떠들어도 되는지에 대해서도 느낌으로 구별할 줄 알게 된다. 부모에게서 전해지는 따뜻한 무언가(나중에 자기 자녀들에게 전해줄 수 있는 어떤 것)도 느끼게 된다. 나아가 사람들 사이에서 자주 쓰이는 말인 존경의 의미를 이해하게 된다. 그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희망을 자기 자신의 희망 목록에 포함하기도 한다. 그런 세세하고 집중적인 훈련 없다면, 그 공동체는 계속 이어질 수 없다. 인간이 올바르게 자라기 위해 필요한 자양분은 우유와 채소만으로 충분치 않다. 공유하는 문화를 받아들이고 적용해야 한다.

문화와 환경은 나라와 인종에 따라 다르지만, 우리 뇌는 다양한 문화를 쉽게 받아들이는 유연성이 있다. 인간은 편견 없이 태어난다. 우리 뇌는 신경 네트워크를 가능한 한 폭 넓게 확장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탄생한다. 그러나 사춘기에 이르면 불필요한 뉴런들을 버리고 가장 자주 사용하는 피질 경로들만을 수초로 감싸 전도가 일어나지 못하도록 절연시키기 시작한다. 피질의 영향 아래 진행되는 이 과정은 정신적 활동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한하고 예측과 반응을 빠르게 하지만 그 범위를 제한한다. 한편, 추상적 판단을 주관하는 전두엽은 뇌의 주인이 20세가 될 때까지 활동이 잠잠하다. 따라서 비록 덩치 크고 수염이 거뭇거뭇하게 자란 아들이 이번 주말에 차를 빌려야 하는 몇 가지 그럴듯한 이유를 제시한다 해도 안 돼.”라고 잘라 말하는 것이 더 현명한 일일 것이다.

 

329p

젊음이 알기만 한다면, 늙음이 할 수만 있다면이라는 말이 나타내는 것처럼 아이들과 노인들은 서로 잘 어울린다. 인간은 다른 영장류 동물들과 달리 독특하게도 갱년기를,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기를 겪는다. 이론상 공동 육아를 위한 좋은 조건이다. 자녀 양육의 짐에서 벗어난 능력 있는 노년층 여성은 자신보다 더 젊지만 식견이 부족한 친족의 자녀들을 교육할 수 있다. 어쩌면 노인들은 거만할 수 있다. 풍부한 경험을 쌓아왔으므로 사소한 것들의 중요성에 대한 통찰력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사춘기 아이들이 제일 나중에 습득하는 자기 조절력을 제일 먼저 상실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이 아는 것들은 당신이 위키피디아에서도 얻지 못하는 것들이다. 그들이 하는 이야기들은 진실하지 않을지 모르지만, 거듭 회상하는 과정에서 정제되고 다듬어져서 보석처럼 빛나며 우리가 공유하는 문화를 잘 반영한다. 속담, 우화, 계보, 시와 노래가 저장된 할머니의 창고는 갖가지 경험 법칙이 축적된 곳이다. 그들은 크고 작은 어려움이 생기고 부보들의 근심이 늘어나도 여전히 가치가 변하지 않는 것들이 있음을 젊은 세대에게 말해준다.

 

331~332p

그런데 엄밀히 다수의 수렵채집 사회 구성원들이 궁극적으로 달성하려는 그 균형은 결코 그들이 처음부터 추구했던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북아메리카 대륙은 원래 매머드나 메가테리움(나무 위가 아닌 땅 위에서 지내는 거대한 나무늘보)처럼 몸집이 거대하지만 행동이 굼뜬 동물들의 주요 서식처였다. 그러나 그 동물들은 초기 인류의 출현으로 결국 멸종되었다. 마찬가지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도 유대목 동물들과 날개 없는 새들을 멸종시켰다. 그리고 두 문화권 모두 사냥에 용이하도록 정기적으로 황무지를 불태웠다. 결국 사회가 수렵채집 중심에서 농경 중심으로 변한 실질적 이유는 (12천 년 전 예리코 근처에서 무화과 재배를 시작하면서) 식용되는 야생동식물의 공급이 이렇듯 현저하게 줄었기 때문이었다. 사냥꾼들은 마지못해 농사꾼이 되었다. 그리고 지금도 인류가 어떤 문화를 더 선호하는지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우리는 바비큐 파티를 위해서는 친구들을 초대해도, 오트밀이 담긴 단지들을 나누려고 일부러 초대하지는 않는다.

그렇다 해도 우리 조상들은 현대인에 비해서는 자연과의 균형을 더 중시했다. 그들은 자연을 훼손하지 않으려 노력했지만, 우리 현대인은 자연을 착취의 대상으로 삼는 경향이 있다. 자연에 대한 접근 방식의 차이는 공유지의 비극으로 설명할 수 있다. 가렛 하단(Garnett Hardin)1968년 발표한 논문에 실리면서 유명해진 이 용어는 사적 이익과 공적 이익이 일치하지 않음을 말해준다. 아프리카의 많은 부족에서 암소는 남자들의 재산이 얼마나 되는지를 가늠하는 척도가 된다. 지위를 얻고 신부를 사들이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 바로 암소다. 그런데 소와 달리 그 소들을 방목할 수 있는 목초지는 모두가 사용하도록 개방된 공유지다. 따라서 개인들은 자신의 소들을 키우는 데 이 공유지를 가능한 한 많이 이용하려고 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사람들은 서로 가축 수를 늘리는 일에 혈안이 되어 공유지는 가축들로 붐비게 되고, 그 결과 공유지는 소들이 먹을 풀이 더 이상 남지 않은 황무지로 변하게 된다. 사적인 이익을 최대한 추구하려는 이기심이 앞선 나머지 모두가 소해를 보는 비극이 초래되고 마는 것이다.

우리는 그 소 주인들보다 나을 것이 전혀 없다. 많은 상황에서 우리는 그들처럼 행동하기 때문이다. 생선회 수요가 높아지면서 참치 수가 30년 만에 거의 80%까지 줄어든 사례에서 그러한 면모를 볼 수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는 참치가 앞으로 20~30년 안에 다른 상업용 물고기 종들처럼 멸종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럼에도 정부들은 참치 어획을 제한하는 데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바다는 전 세계에 개방된 공유지이기 때문이다.

 

347~348p

인사란 곧 친근한 감정이 이어질 것을 기대하는 신호다. 이 메시지는 기호논리학의 관점에서 부호화하기에는 쉽지 않지만, 갯과 동물이라면 힘들이지 않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들이 싸움 놀이를 할 때, 두 마리의 개는 서로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끊임없이 행동을 조정한다. 그레이트 데인은 작은 애완용 개를 누르지 않는다. 스코티쉬 테리어는 세인트 버나드의 부드러운 살을 물고 늘어지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들의 공격 본능을 조절하고 있는 것이다. 마치 고전적 도덕주의자들이 우리에게 요구했던 방식처럼 말이다. 그런데 만약 상대가 선을 넘으면 그에 대한 반응은 단순한 고통이나 분노를 넘어선다. 으르렁거림에 고스란히 담긴 격분에는 너는 행동하는 방식을 몰라.”라는 실망감이 내포되어 있다.

 

348~350p

물론 공원이나 라크로스(하키와 비슷한 경기) 경기장을 마련하는 일은 겨우 시작에 불과하다. 나아가 완전한 사회적 약속에 이르기 위해서는 실질적이고 감정적인 상황들, 특히 개인의 욕구가 집단의 순조로운 기능을 위협할 수 있는 상황들에 대응하는 올바른 반응이 어떤 것인지를 알아야 한다. 에모리 대학의 동물행동학자 프란스 드 발(Frans de Waal)은 영장류 동물들의 도덕적 삶을 연구하는 데 모든 시간과 노력을 아낌없이 쏟았다. 그 결과에서는 우리가 동물원에서 즐겁게 구경하는 영장류 사촌들의 소소한 정치적 기술들과 복잡 미묘한 섬세함을 보여준다. 황금원숭이의 수컷들은 서로 싸우는 암컷들을 진정시킨다. 침팬지 암컷들은 서로 경쟁 관계에 있는 수컷들을 화해시킨다. 그리고 각자 서로 음식과 선물을 교환하며 우정을 쌓고 동맹을 강화한다. 개코원숭이들은 동료를 잃으면 슬퍼한다. 붉은털원숭이들은 우울해 하는 동료를 위로한다. 야생 침팬지들은 무리 중에서 앞이 안보이거나 뇌를 다친 동료들을 특별히 보살핀다. 보노보들은 긴장을 해소하고 화합을 다지기 위해 입마춤, 포옹, 잦은 짝짓기를 한다. 이것들은 비유하자면 유엔에서 적용하는 방식들과는 다를지도 모른다. 그러나 분열하기 쉬운 대립의 요소들을 제거하기 위한 빠르고 효과적인 방식들임은 분명하다.

영장류 동물들의 사회적 행동은 세 가지 측면에서 볼 수 있다. 이 분석들은 이라는 개념에 대한 복잡한 매듭을 푸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 첫 번째 측면은 이 모든 도덕적 행동들이 감정적이라는 점이다. 유인원들은 기만적이고 계산적일 수 있다(특히 포도를 얻는 문제에 있어서), 그러나 그들은 냉정하게 합리적이지는 않다. 혹은 더 엄밀히 말하면, 냉정함도 그 자체가 감정적인 표현이다. 네델란드의 아른험 동물원에서는 사춘기에 접어든 두 마리의 암컷 침팬지가 건물 안으로 들어가길 거부하는 바람에 저녁식사가 늦어졌을 때, 다음 날 다른 모든 침팬지들이 그들의 이기심에 대해 질타했다. 그것은 처벌에 대한 계산된 행동이면서 분노의 표출이기도 했다. 한편 에모리 동물원의 연구자들이 그들에게 잎이 무성한 나뭇가지 다발을 주었을 때는(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그 무리의 행동에 변화가 왔다. 그 도루고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았기 때문에 서로 더 많이 공유하고 더 활발히 상화작용하기 시작했다. 게다가 서로 끌어안는 등 교감을 나누는 시간도 늘어났다. 무리의 유대감과 계층 구조를 재확인하면서 말이다. 이는 우리 인간의 크리스마스나 축제처럼 좋은 날을 자축하는 의미다.

사회적 행동의 두 번째 측면은, 영장류 동물들의 도덕성이 역동적이라는 것이다. 도덕적 행동은 몇몇 아름다운 도스토예프스키 원숭이들의 영혼에서 자발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원숭이들은 늘 자신들이 속한 무리의 순조로운 기능을 방해하는 특정한 위협들에 대처한다. 그 위협은 무리 안에서 올 수도 있다. 이때 유전적 관점에서 본다면 수컷의 성생활은 공격적인 이기심을 위한 것이다. 번식 기회를 독점하여 경쟁자들의 자손을 없애고 암컷들의 하렘을 지배하는 것이 덩치 크고 기질이 성마른 수컷의 욕망이다. 그러나 암컷은 다르다. 수컷들 중 하나를 배우자로 선택하고 평온한 환경에서 자식들을 정성껏 기르는 것이 암컷이 바라는 바다. 이처럼 상이한 욕구에서 오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영장류의 종에 따라 다양하지만 행동의 요소들은 같다. 암컷들은 수컷의 독점욕에 대응하기 위해 동맹한다. 즉 수컷들의 경쟁을 중재하고, 짝짓기를 대신해 수컷의 자부심을 만족시켜 줄 대안들을 고안하며, 심지어 발정을 일으켜 수컷 자신의 새끼이 아버지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없게 만든다. 이러한 행동들이 복잡하게 균형을 이루게 되면 공동체도 순조롭게 기능한다. 삶은 단순하지 않다. 왜냐하면 유전적인 선과 사회적인 선이 혼란스럽게 서로 얽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집단에 헌신하려는 개인은 많지만, 도덕적 행동에 뒤이어 따라오는 평화는 결코 일정하거나 한결같지 않다. 연속극만 보더라도 배역이 그대로지만 줄거리는 끊임없이 변한다.

세 번째 측면은 영장류의 도덕이 한 추상적요소에 의지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영장류 동물들은 자극에만 반응하는 단순한 생명체가 아닌 도덕적인 생명체가 된다. 집단생활 속에서 끊임없이 감정적 균형을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어느 한 일화를 독특하거나 또는 완전히 전형적인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게다가 그 사건들은 개개인의 성격과자질이 복잡하게 얽히면서 일어난다. ‘저 녀석이 내 사과를 가져간다는 생각은 그것은 공정하지 않다혹은 녀석은 배신자다로 분석될 수 있다. 이때 법칙이나 규칙은 그 문제에 가까이 접근하지 못한다. 만약 녀석이 나의 당연한 분노에 대한 사죄의 표시를 공개적으로 한다면 공정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보상을 나에게 좋은 것을 준다면 그는 배신자라는 오명을 씻을 수 있다. 그러나 불공정함이라는 생각과 배신자라는 오명은 경우에 따라 미래에 다시 적용될 가능성이 남아있다.

352~353p

러시아의 영장류 동물학자 나디에 라디기나 코흐츠(Nadia Ladygina-Kohts)는 어린 침팬지와 함께 살았는데, 어느 날 그 침팬지가 지붕 위로 올라가 내려오길 한사코 거부했다. 가장 좋아하는 음식으로 유혹해도 소용이 없었다. 그때 그녀가 내린 해결책은 땅바닥에 주저앉아 마치 고통을 느끼는 것처럼 울부짖는 것이었다. 침팬지는 그 즉시 지붕 아래로 뛰어내려와 그녀를 팔로 감싸고 걱정스럽게 얼굴을 들여다보았다. 이러한 섬세함은 영장류 동물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느 주인 가족들이 크게 싸우거나 슬퍼할 때 적잖이 근심스러워한다. 아마 개를 키우는 사람에게서 한 번쯤 그런 이야기를 들어보았을 것이다. 물론 실험에서 확인된 사실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혀상이 애완견을 기르는 주인에게만 단순히 그렇게 보이는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사람과 거리를 두는 성향이 있는 고양이들을 떠올려보라. 고양이들은 집 주인에게 큰 위기가 닥쳤을 때도 대개 텅 빈 식기 근처에서 의미심장하게 울부짖을 뿐이다.

 

우리의 도덕적 감각은 얼마나 원숭이 같을까? 우우 소리를 내고 이를 드러내어 웃으며 배설물을 던지는 그 정글 주민들과 우리를 구별해주는 것은 확실히 이성의 신성한 불꽃이다. 그렇지 않으면 이성적 사고와 냉철한 판단을 주관하고 본능적인 욕구들로부터 우리를 해방하며,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결론을 내리게 만드는 전전두피질을 우리가 어째서 갖고 있겠는가? 하지만 계몽주의적 관점에서는 불행히도 모든 증거가 다른 방향을 가리킨다. 우리는 기본적인 욕구들을 느낄 때뿐만 아니라 그 욕구들을 통합하고 조절하는 방식에서도 원숭이와 다를 바 없다. 우리가 우리의 신성한 기념비들에 황금색 글자로 새긴 가르침에 이르기까지도.

 

그리고 그 손해는 사회적 맥락과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가책을 더 쉽게 느낀다. 암컷 영장류로서 그들의 존재는 무리의 화합을 위태롭게 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 이들에 비해 남성들은 겉으로만 가책을 느끼는 것처럼 행동할 수도 있다. 그들은 관찰 받을 때와 관찰 받지 않을 때를 더 확실히 구별하여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 아무도 보지 않을 때, 그들은 함께 먹는 우유에 입을 대고 마실 수도 있다.

 

355~356p

미국국립보건원의 호르헤 몰(Jorge Moll)은 도덕적 행동 결정과 뇌 작용의 관계에 대해 실험했다. 그는 피험자들이 128달러의 돈을 자선단체에 기부할지, 아니면 자기 자신을 위해 쓸지를 결정하는 동안 기능성 자기공명영상으로 그들의 뇌를 스캔했다. 그 결과, 돈을 받을 때 기분을 좋게 만드는 뇌 영역(긍정적인 보상을 통한 학습과 관련이 있는 복내측 선조체)은 돈을 자선단체에 기부하기로 결정했을 때 훨씬 더 강하게 활성화되었다. 우리가 받는 것보다 주는 것을 실제로 더 좋아한다는 걸 밝힌 것이다. 선행은 단지 기분만 좋게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이 좋은 사람인 것처럼 느끼게 한다. 또한 몰은 사회적지지, 우정의 보답들과 관련이 있는 슬하 영역의 활동을 관찰했다. 그는 낙태와 안락사를 조장하는 단체들처럼 사회적으로 불화를 일으키는 자선 단체들도 실험에 포함해 피험자들의 반응을 보았다. 피험자들 중 그러한 목적을 저지하기 위해 기꺼이 돈을 내는 사람들의 머릿속에서는 반감, 분노, 도덕적 혐오 등을 일으키는 중요한 영역인 외측 안와전두피질이 활활 타올랐다. 플라톤은 혈기를 가슴 아래로 끌어내리고 차가운 이성이 우리의 머리를 지배하길 희망했다. 그러나 혈기는 여전히 가슴보다 위에 머무른다.

몰의 모든 피험자들은 익명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행동했다. 따라서 이 실험의 결과들은 그야말로 남몰래 하는 선행의 즐거움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타적 행위를 공개적으로 끌어다 놓았을 때, 그 행위는 훨씬 더 강한 감정적 힘을 얻었다.

360~361p

선행의 감정적 동기는 크게 세 가지다. 단순히 자비를 느끼는 것, 스스로를 좋은 사람이라고 믿게 되는 것, 잠재적 배우자에게 좋은 이미지로 비치는 것, 당신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선행을 하든, 그 이면에는 이 세가지 요소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는 역시 옳고 그림에 대한 당신의 추상적 감가도 좌우할 것이다.

만약 도덕적 판단에서 감정을 분리해본다면 이것을 입증할 수 있을까? 물론이다. 단적으로 그와 관련된 뇌 영역이 손상을 입은 상황을 통해 알 수 있다. 마크 하우저(Marc Hauser), 아토니오 다마지오((Antonio Damasio)를 포함한 저명한 심리학자와 신경과학자들이 함께 실험을 했다. 실험에 참가한 6명의 피험자들은, 의사결정을 할 때 감정을 고려하는 복내측 전전두피질이 손상된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사회적 감정들을 그다지 나타내지 않았다. ‘동정심이나 수치심은 그들에게 단지 의미없는 단어일 뿐이었다. 그러나 추상적 추론 능력에는 아무 이상이 없었다. 연구원들은 그들과 대조군에게 두 번에 걸쳐 질문지를 나누어 주었다. 질문들이 개인의 감정을 묻는 내용이 아니었을 때는 두 그룹의 답변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개인의 감정을 묻는 데다 복잡한 생각을 요하는 질문이 주어졌을 때는 그 차이가 확연했다. “병사들이 당신의 마을을 공격하고 있다. 당신과 몇몇 사람들은 지하실에 숨어 있다. 그때 당신의 아기가 울기 시작한다. 당신은 당신과 다른 사람들의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당신 아기를 질식시켜 죽이겠는가?” VMPC 환자들은 즉각적으로 가장 실리적인방법을 선택했다. 가장 많은 목숨을 구할 수 있는 길을 택한 것이다. 아기를 질식시킨다는 생각에 감정적인 고통을 느끼지 않았다. 그밖에도 다섯 명을 구하기 위해 나머지 한 명을 철로 안으로 밀어 넣거나, 만원이 된 구조선에 마지막으로 올라탄 부상당한 승무원을 바다에 빠트리기도 했다. 결과만 놓고 본다면, 그들은 동정심과 죄책감이라는 사회적 감정들에 흔들리지 않았기 때문에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었다.

 

362~363p

토머스 페인(Thomas Paine)은 말했다. “정부는 최상의 상태에서도 필요악일 뿐이고, 최악의 상태에서는 참을 수 없는 악이다.” 하지만 정부는 선에 대한 우리의 강박관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정부는 우리의 도덕성이 펼쳐지는 중심 무대가 된다. 은둔과 명상 속에서 한평생을 보낼 것이 아니라면 누구든 적어도 정치적 견해는 갖고 있다. 그리고 그 정치적 견해란 무심코 생각해서 나온 단순한 것이 아니고, 열띤 적극성과 완강함이 동반된 결과다. 그리하여 우리의 관심과 토론이 끊이지 않는가 하면, 지난 5천 년 동안 도입된 여러 정치체제를 통해 수많은 실험이 이루어졌음에도 우리의 시스템은 여전히 유인원 무리들의 시스템만큼 유연하게 작동하지 않는다.

우리와 가장 가까운 영장류 사촌인 침팬지와 보노보, 고릴라는 함에 기반을 둔 계층적인 사회를 유지한다. 그들에게 초월적인 공산 사회는 없다. 낮은 계층은 언제라도 저항의 유혹을 받는다. 그들은 지나치게 권력을 휘두르는 지배자에게 맞서거나, 그 자리를 빼앗거나, 아니면 그 지배자를 추방하기 위해 단결한다. 저항의 자극은 대개 사회적 교환의 불공정성에 의거한다(앞 장에서도 보았듯이 사회적 영장류에게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그리고 그 사회적 약자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저항을 하게 만든 힘은 바로 우리에게도 친근한 감정인 분노. 분노는 유혈에 대한 욕망이나 계획적인 공격과는 다르다. 그것은 부당함을 자각하다가 어느 순간 폭발하는 감정이다. 그 문제를 가장 큰 이슈로 만들고 빠르게 해결책을 찾기에는 좋은 방법이 된다.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듯이, 억압된 분노는 명치에서 활활 타오르며 구멍을 낸다. 더 심각하게는 불필요한 희생을 낳기도 한다.

 

365~366p

그렇다면 이러한 성향은 타고난 것일까? 스탠퍼드 대학의 데보라 그루엔펠드(Deborah Gruenfeld) 교수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그루엔펠드는 세로토닌이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할 뿐 아니라 억압을 해소해준다는 사실을 알고는, 사람들에게 약간의 권력을 부여하면 어떤 사회적 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실험을 했다. 그는 세 명의 학생으로 이루어진 그룹들을 무작위로 선택한 다음 그들에게 한 가지 과제를 주었다. 바로 정책에 관한 글을 작성하는 것이었다. 그루엔펠드는 각 그룹이 협력해서 맡은 임무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쿠키가 한 가득 든 접시를 그들 앞에 놓았다. 그런 다음 그룹별로 한 명씩 무작위로 선택된 학생들이 다른 두 그룹의 결과물을 평가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이때 좋은 평가를 받는 그룹은 현금 보너스를 보상으로 받게 되어 있다. 그런데 그루엔펠드가 관심을 가진 것은 평가가 아닌 쿠키였다. 평가자라는 역할을 부여받은 학생들은 더 많은 몫의 쿠키를 가져갔을 뿐 아니라 씹을 때 입을 더 크게 벌렸고 테이블에 부스러기를 더 많이 흘렸다. ‘이런 얼간이들!’ 권력이 주어지면 예외가 없어진다는 사실은 다른 행동 실험들에서도 똑같이 입증되었다. 심지어 주어진 권력이 일시적인데다 인위적이라도 해도 권력자는 늘어진 자세로 앉아 있거나, 타인을 방해하거나, 반박을 하거나, 코를 후벼 파는 경향이 높았다. 반면 권력이 약한 사람은 점잖게 앉아서 경청하고 동의하며 기침을 할 때 입을 가렸다. 강자는 규칙을 무시한다. 심지어 자신이 남들에게 지키도록 강요했던 규칙들까지도, 균형 예산 운운하는 국회의원들이 거액의 뇌물을 받고, 범죄에 대한 엄중 처벌 원칙을 내세우는 주지사들이 매춘부와 놀아나고, 여성 친화적이라는 상원의원들이 공항직원실에서 익명의 누군가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는다. 세금은 이런 얼간이들을 위해 거둬가는 것이라는 점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그런 극단적인 이기심은 처음부터 타고난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만약 그랬다면 애초에 권력자의 자리에 이르기 위해 필요한 협력을 얻어내지 못했을 것이다. 그것은 학습된 사회적 기준이다.

권력은 보상과 위험이 한데 섞인 짜릿한 칵테일을 제공한다. 그리고 우리들은 권력자가 그 두 요소의 균형을 잘 맞추기만 한다면 그들이 누리는 특전을 용납할 것이다. 그와 동시에 그들이 우리에게 특전을 누리는 데 대한 빚을 지고 있다는 걸 우리는 인식한다. 프랑스의 앙리 4세는 위생에 관심이 없었다. 그의 발과 겨드랑이는 세계적으로 유명했다. 더구나 불륜을 자주 저질렀고 게으르고 제멋대로였다. 그러나 사실 그는 사람들이 자신에게서 무엇을 원하는지를 알았다. 그는 손에 검을 쥐고 엉덩이를 안장에 붙인 채나라를 보호했으며, ‘적어도 일요일에는 모든 노동자가 닭을 먹어야 한다고 선언할 줄도 알았다. 우리는 누군가에게 그들이 부유해지는 대가로 사회적 의무를 요구한다. 루즈벨트나 케네디 가문이 거액의 재산을 모은 것에 대해 못마땅해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런데 혜택은 공적인 임무를 맡은 대가로, 그러니까 손에 검을 쥐고 엉덩이를 안장에 붙인대가로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반면 저절로 모인 재산과 약자들을 배려하지 않는 안하무인에는 분개한다. 그것은 부당하기 때문에 우리를 분노하게 만든다.

그러나 우리의 큰 문제는, 우리 영장류 사촌들과 달리 우리가 그것에 대해 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점이다. 유인원의 세계에서 분노는 빠르게 작동한다. 곧 무례한 자들이 처벌되면서 아우성이 사라지고, 삶은 다시 계속된다. 힘의 새로운 균형과 함께, 그러나 우리의 진화된 사회에서 갈등을 해결하는 문제는 훨씬 어렵고 복잡하다. 단순히 상대를 세게 한 번 꼬집는 것으로 끝나는 차원이 아니다. 그 권력자 주위에는 보호막이 겹겹이 싸여 있다. 그들에 대한 어려운 접근성, 권위, , 거액의 소송비는 그들을 약자로부터 분리시켜 보호한다. 그런가 하면 부당하게 높은 자리에 올라 권력자의 하수인 노릇을 하는 자들은 그 부당함을 유지하는 데 모든 관심을 쏟는다. 하찮은 권력이나 해를 끼치는 권력이라 해도, 그 권력을 휘두르고 싶어서 안달하는 우리 사회의 무수한 폭군들은 질서라는 명목으로 어떻게든 다른 사람들을 위협할 기회를 잡으려고 한다. 과거 오스트리아 빈에서 군중은 비록 허약한 페르디난트 I세를 몰아내려고 힘을 모았지만, 그 과정이 프랑스의 성공적인 혁명 의욕을 북돋우는 고무적인 예가 되었던 것은 그리 놀랍지 않다.

 

369p

하버드 경영 대학원의 에이미 에드먼슨(Amy Edmondson)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모욕적으로 대하고 혹평을 일삼는 문화가 두드러진 조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약물치료 과정에서 저지르는 실수를 보고하지 않을 가능성이 최대 10배나 더 높다. 이렇듯 안하무인은 치명적일 수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안하무인으로 행동하는 당사자에게는 아니다.

이와 달리 앙리 4세는 자기 사람들에게 진지한 호기심을 느꼈고, 그들의 근심을 모른 척하지 않았다. 이런 성향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를 책임감 있고 공정한 사람으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게다가 그가 권력의 맛에 취해 주변 상황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사태에 이르는 걸 막아주었다. 그러나 우리 사회가 저명인사들에게 씌우는 보호막은, 우리가 느끼는 분노로부터 그들을 보호할 뿐 아니라 자기 자신이 얼간이라는 사실조차 알지 못하게 한다. 누가 감히 그들에게 말할 수 있을까? 성공의 보상들에 둘러싸인 그들은 위기에 대한 두려움을 잊고 반대 의견들에 대한 관심을 둔다.

 

371~373p

우리의 말은 죽어 있다. 우리의 피로 생명력을 주어야 한다.” 그 목소리는 부드럽지만 깊은 목구멍소리가 난다. 마치 집에서 만든 악기로 능숙하게 연주할 때 소리가 그런 소리일 듯싶다. “당신들이 민주적으로 선출한 정부는 계속해서 전 세계에 있는 나의 민족에게 극악무도한 만행을 저지른다. 당신들은 그들을 지지했으므로 직접적인 책임이 있다. 내가 나의 무슬림 형제자매들을 보호하고 그들을 위해 복수할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것처럼. 우리가 안전하다고 느낄 때까지 당신들은 우리의 표적이 될 것이다.” 비디오테이프에서 말하는 사람은 모하마드 시디크 킨(Mohammad Sidique Khan)이다. 잉글랜드 요크셔의 공업 도시 리즈에서 태어나 자라며 교육받은 칸은 그 지역 초등학교에서 이민자 자녀들을 위한 지도 교사로 근무했다. 그를 아는 사람들은 모두 그를 ‘100% 헌신적인데다 매우 친절하고 자상한 사람으로 기억한다. 그 공동체에서 그가 맡았던 역할은 어린이 캠프 지도자, 스포츠 모임 운영자, 논쟁의 권위 있는 중재자, 힘들고 어려운 청소년들의 조언자이자 친구였다. 그는 또한 200577일 영국 런던에서 자살 폭탄 테러를 일으켰던 조직의 리더이기도 했다. 그 사건으로 런던 시내에서 지하철과 버스에 타고 있던 무고한 시민 52명이 사망했고, 700명이 부상당했다.

어떤 부당함이 그를 고통스럽게 했나? 본질적으로, 그런 것은 없었다. 칸은 많은 비 무슬림 사람들과 가까운 관계를 맺었고, 그들에게 자신을 시드라고 부르라고도 했다. 그리고 지역 내에 체육관 건립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정부 기관들과 자선단체로부터 보조금을 받기도 했다. 그의 장모는 그 지역 교육계의 저명한 인사로 버킹엄 궁전에 초대받아 여왕을 직접 만난 적도 있다. 이런 칸에게 동기를 부여한 것은 바로 고통의 이미지였다. ‘오로지 강자와 이익을 위한 정책에 혈안이 된 정부들이 나의 민족에게 가한 폭격, 독가스 공격, 감금, 고문이 그것이었다. 그는 감정이입하기를 좋아할 뿐 아니라 상황을 주도적으로 이끌고 남들의 찬사와 존경을 받는 걸 좋아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또한 어린 아이의 아버지였다. 그런데 아마도 그는 자신이 기대한 만큼 세상에 깊은 인상을 남기지는 못한 듯하다.

무례함과 부당함에 대한 일반적인 분노, 개인의 무력감에 대한 가책, 한 가족에 대해 느끼는 강렬하지만 막연한 감각, 고통에 대한 감정이입이러한 감정들이 누군가를 테러리스트로 만든다. 게다가 이것들은 자살 폭탄 테러범들을 세뇌하기 위해서도 본질적으로 필요한 요소들이다.

 

376~377p

만약 한 동굴 거주자에게 일곱 가지 대죄에 대해 설명한다면 아무리 설명을 해도 그는 쉽게 받아들이지 못할 것이다. 그에게 도덕성이 없기 때문이 아니라, 그의 행동 양식이 그 대죄들이 생겨난 중세 유럽의 행동 양식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정욕은 대다수 수렵채집자들게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성적인 생각들은 그 부족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원동력이었다. 그것은 오로지 혼잡한 세상에서만 정도에서 벗어난 욕망이 되어 가정을 짓밟고 마음을 갈기갈기 찢어놓는다. 그렇다면 탐식은? 우리는 얼마든지 먹고 싶은 대로 먹을 수 있는데 탐식이라니, 지금 농담하는가? 오로지 농부들만이 다음에 뿌릴 씨앗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봄을 굶주린 채 보낸다. 또한 탐욕은 소유물이 거의 없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 나태? 나태 역시 수확의 결실을 맺기까지 오랫동안 고된 노동을 해야 하는 농부들에게만 중요한 문제다. 그러나 교만은 조금 이야기가 달라진다. 만약 어떤 이들이 스스로 남들보다 잘났다고 여겨 뽐낸다면, 그 사회조직은 오래 유지될 수 없다. 당신이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가서 그곳 사람들과 교만을 주제로 대화를 한다 해도 서로 공감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그런가 하면 구약성서를 오늘날 적용할 때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교황청도 죄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인정했다. 그래서 2008년에는 세계화 시대에 맞는새로운 대죄 목록을 만들었다. 그 목록에는 유전자 조작 실험, 환경 파괴, 마약 거래 및 복용, 소수의 지나친 부 축적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을 중세 농부에게 설명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때때로 추상적 개념은 행동하는 몸이 바뀔 때마다 그에 맞는 도덕적 의복으로 갈아입는 데 유용한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유대법에는 마음을 훔침이라는 개념이 있다. 십계명 중 여덟 번째 계명인 도둑질하지 말라에 대한 의문과 논쟁에서 싹튼 개념이다(가톨릭교와 루터교에서는 일곱 번째 계명). 수천 년에 걸쳐 이 계명은 이익을 위해 거짓된 모습을 꾸미는 것혹은 선의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금지로 해석되었다. 구약성서에서 성유를 비싸게 속여 파는 것 같은 죄들은 이제 소비자들을 현혹하는 광고, 시험 중의 부정행위, 부도덕한 회계감사 관행, 창고 물건들에 잘못된 가격 라벨 부착 등과 같은 현대판 죄들로 바뀌었다. 이 모두는 십계명에서 다룬 도적질만큼이나 멀리해야 하는 죄들이다.

 

법과 계율뿐 아니라 그보다 더 높은 숭배를 받는 것들도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우리는 원칙을 더 좋아하는지도 모른다. 그 도덕적 개념들은 우리가 행동하는 방식에 대한 철학의 더 순수한 관점과 관련이 있다.

 

378~379p

콜버그는 피험자들의 도덕적 발달 수준을 시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딜레마를 만들었다. 당신의 배우자가 희귀병으로 죽어가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한 약제사가 그 병을 고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했다. 그러나 당신이 구입하기에는 약값이 너무 비싸고, 약제사는 값을 낮추길 원치 않는다. 그렇다면 당신은 한밤중에 약방에 몰래 들어가 그 약을 훔칠 것인가? 콜버그는 대답이 아니요든 신경 쓰지 않았다. 오로지 그 대답의 이유에 대해서만 관심이 있었다. 1단계 수준에서는 이렇게 말할 것이다. “아니오. 그러다 붙잡힐지도 모르잖아요.” 혹은 , 정말 그 약이 필요하니까요.” 그러나 6단계 수준에 도달하면 피험자들은 이것이 추상적 차원의 질문임을 이해하게 되고, 사람의 목숨을 재산권과 비교해 평가한 후 판단을 내린다. , 각자는 스스로 선택한 도덕적 원칙에 따르는데, 그 원칙은 구체적이기보다 추상적이다.

콜버그는 적어도 몇몇 하버드 학생들이 이 마지막 단계에 도달하기를 기대했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그들은 대부분 남성이었다. 그리고 또 다른 하버드 심리학자 캐럴 길리건(Carol Gilligan)이 다양한 여성들을 인터뷰했을 때는 그들 대부분이 콜버그의 관점에 단호히 반대한다는 걸 발견했다. , 그들은 어떤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추상적 원칙에 근거하기보다는 궃적 맥락에 근거했다. “그 약제사와 잘 아는 사이인가요?”는 하나의 전형적인 반응이었다. 길리건의 말에 따르면, 이 실험은 추상적 원칙이 공정성을 판단하는 유일한 근거가 아님을 보여주었다. 그녀가 배려의 도덕성이라고 불렀던 주로 여성들에게서 나타나는 도덕덕 특징들인 감정적 관계와 감정이입 역시 우리가 올바른 행동을 하게 만든다.

성별에 따라 도덕적 관점이 다르다면 나별로도 다를까? 전통은 도덕성이 나라별로 다르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결코 다른 언어로 번역될 수 없는 다양한 개념들 또한 전통이 옳다는 걸 말해준다.

 

380~382p

2005년 미국 국립 노화 연구소에서는 49개의 서로 다른 문화에 속한 사람들을 상대로 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에 따르면, 국가에 대한 고정관념은 확고해서 우리가 다른 사람들뿐 아니라 우리 자신에 대해 판단할 때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개개인의 성격 검사 결과와 비교해보면 전혀 일치하지 않는다. ‘캐나다인들은 미국인들보다 덜 적극적이고 더 이타적이며 더 겸손하지 않다.’ 하지만 오로지 그렇게 여기지는 것뿐이다. 세상에서 가장 내성적이라고 여겨지는 프랑스계 스위스인들은 스스로 외향적이라고 여기는 스페인인들보다 더 외향적이다. 태평스러운 칠레인들은 어깨에 힘이 실린 독일인들만큼 진지하다. 그리고 성미가 매우 까다롭다고 여기지는 체코인들은 자신의 친절도를 스스로 가장 높이 평가한 상위 5개국 사람들보다 평균적으로 더 친절하다. 모험성, 외향성, 적극성의 경우에는 어떤 나라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을 거라고 생각하는가? 말수가 적고 내색을 잘 하지 않는다고 여기지는 영국인이다. 국가의 특징은 국가의 옷과 같다. 오로지 관광객들을 위해서만 입는 옷 말이다.

고정관념의 허구성은 당신이 다른 개인들과 함께 혹은 그들에 해해 대화할 때 분명해진다. 그 까닭은 우리 모두에게 저마다 하나의 도덕관념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그것을 습득하는 것은 격언이나 율법, 문화나 교육을 통해서도 아니고 심지어 본능을 통해서도 아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자유의지에 따라 그것을 습득한다. 우리는 강요보다는 선택을 통해 더 올바르게 행동할 수 있다. 우리는 자기 통제를 가치 있게 여긴다. 권위적이고 사회적인 압력을 받아 행동하는 것보다는 자아의 의지대로 행동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복종과 순응은 허약함의 징표다. 규율과 구속은 힘을 과시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건에 대해 생각할 때마다 집단의 선(우리의 가치, 우리의 전통)과 우리의 개인적 확신 사이에서 혼동을 느낀다. 이 혼동은 다음과 같은 점을 기억할 때 더 커진다. “한 사람을 위해 가장 좋은 자유는 모두를 위해서도 가장 좋아야 한다. 심지어 우리가 경멸하는 전통을 지닌 사람들을 위해서도.”

미국독립선언은 우리의 양도할 수 없는 자유권을 증거가 필요치 않은 자명한 진리로 선포했다. 그러나 독립선언서의 초안을 쓴 토머스 제퍼슨(Thomas Jefferson)은 이것이 허튼소리라는 걸 인정한 첫 번째 사람이었을 것이다. 그러한 선포는 권리들이 실제로 의미하는 바에 대한 의견 불일치에서 비롯된 정치적 타협이라는 것이다. 역사가 데이비드 하켓 피셔(David Hackett Fischer)는 미국의 새로운 민주공화국이 4분기를 지나오는 동안 자유라는 용어는 분기마다 그 의미가 크게 달라졌음을 지적했다. 처음에 자유는 청교도들이 뉴잉글랜드에서 신의 의지를 따를 자유였다. 이어서 그것은 펜실베니아의 퀘이커교도들을 독립전쟁에 끌어들일 자유로 바뀌었다. 그 다음은 예의바른 올드 도미니언(버지니아 주의 속칭)에서 당신이 서 있는 위치에 따라 사는 자유이거나, 거친 애팔래치아 산맥에서 원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살 자유였다. 한 단어에 서로 다른 네 가지 이상의 의미가 들어 있었던 것이다. ‘올바른 삶에 대해서는 이성적인 계몽주의자들조차도 정의 내리기를 어려워했다. 오늘날 우리는 정치적 삶에서 거창하게 강조되는 원칙들과 우리 개인들이 집단생활에서 연대감을 높이기 위한 원칙들을 조화시키려고 노력할 때 그 모호성으로 말미암아 똑같은 혼동을 느낀다. 제도적 차원의 도덕은 심지어 가장 합리적이라고 해도 실생활과 어긋나는 경우가 많다. 사실 우리는 늘 정부에 대해서보다 우리가 응원하는 스포츠 팀에 대해 더 복잡하고 균형 잡힌 이해력을 보인다.

 

385p

그런 점에서 우리는 앞에서 살펴본 타나랜드(가상 국가)를 다스리는 데 성공한 극소수의 사람들과 실패한 다수의 사람들 사이에 무슨 차이가 있는지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 성공한 사람들은 모든 것에 숨어 있는 잠재적인 힘을 인정하며 확률적으로사고했다. 그들은 자신이 지배자의 위치에 있다고 해서 자만하지 않고, 불완전하고 복잡한 시스템의 반응을 지속적으로 시험하며 차근차근 단계를 밟았다. 새로운 것들에 호기심을 느끼고 면밀히 관찰하고 분석하는 인간의 원시적 욕구를 유지했다. 물론 그들은 여느 인간들처럼 비선형 혼돈과 복잡성이 숨어 있는 그 상황을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한정적 결론을 계속 적용하며 더 넓은 분포의 확률 곡선을 그리고 있었다.

허구를 창조하는 인간의 욕구, 즉 문화는 상황들을 형성할 수 있는 도구들을 우리에게 준다. 그리하여 우리는 새로운 설명들을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런 창조는 우리에게 즐거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 허구들은 우리의 운명을 형성한다. 만약 우리가 지금까지 역사를 이어오는 동안 우리의 이야기를 재구성하는 능력이 없었다면, 우리 인류는 이미 오래 전에 멸종했을 것이다. 확실성의 희생자가 되어.

 

386p

미국 남서 지방의 푸에블로 인디언인 주니(Zuñi)이 성인식을 치를 때, 소년들은 어릴 적부터 두려워했던 가면 쓴 징벌의 신인 카치나(kachinas, 푸에블로 인디언의 수호신)’들에게 채찍질을 당한다. 마지막 채찍질이 끝나면, 마주하고 선 카치나의 가면이 벗겨지면서 그들의 아버지와 삼촌이 모습을 드러낸다. 비밀을 맹세하고 나면 이번에는 소년들이 그 가면을 하나씩 쓰고 채찍으로 자신의 연장자인 아버지와 삼촌을 때린다. 이는 그들이 성인이 되었음을 선언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방법이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적용하기를 시도하는 많은 추상적 원칙들, 예컨대 자유의지, 신의, 정의, 믿음 등은 그런 카치나와 같다. 완전히 신적이지도 인간적이지도 않으며, 거기에는 신성한 힘도 개인적인 변덕도 없다. 다만 그것들이 우리 자신보다 늘 더 위대할 거라는 믿음에 따라 그것을 우리가 지켜야 하는 의무로 받아들인다. 우리처럼 실수를 저지르기 쉬운 다른 모든 종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들은 그런 점에서 우리의 영원한 동반자들이다. 실수하는 것은 인간적이다. 우리는 무언가를 추구하기 때문에 실수하며, 가장 멀리 도달하려고 애쓰기 때문에 오히려 쉽게 도달하지 못한다. 우리의 이야기는 신학이나 생물학을 통해서가 아닌 역사를 통해 전해진다. 역사는 우리가 거짓말을 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분야지만, 우리의 결론들이 진실하다는 걸 입증할 수 없는 분야이기도 하다. 우리는 무작위성으로 가득한 세상에서 살며, 그 세상에 의미를 주입하려고 애쓴다. 이때 우리 마음은 직접적이고 익숙한 것들을 가장 선호한다. 우리는 권력과 지배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지금 여기에 대해, 이 추운 밤에 대해 생각한다. 가면 뒤에서 사랑하는 얼굴들이 나타나는 걸 관찰하며.

 

1 
BLOG main image
초록주의(녹색주의)
초록주의는 생명을 섬기고 삶을 나눔으로써 평화로운 공존의 사회를 지향합니다.
by 초록주의

공지사항

카테고리

초록 세상 (581)
행사 안내 (166)
포럼 및 강의 (71)
성명서 및 기사 (20)
초록 정치 (37)
초록 사회 (58)
초록 경제 (16)
초록 문화 (42)
서평 및 발제문 (16)
책 내용 발췌 요약 (30)
자료 (40)
짧은 글 긴 여운 (48)
시인의 마을 (18)
빛으로 그린 그림 (16)
생각의 끝 (0)
The And (0)

달력

«   2024/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tistory!get rss Tistory Tistory 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