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주의(녹색주의)

풍요가 기아를 낳는다

- 장 지글러의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를 읽고

 

  풍요는 기아의 어머니이며, 인구 증가는 기아의 아버지이다. 장 지글러는  기아가 육류 소비, 전쟁, 자연 환경, 다국적 기업, 도시화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내면서 근본적인 원인으로 신자유주의에 의한 세계 금융자본을 요약한다. 그러나 과연 신자유주의로부터 해방되고 설명한 다양한 요인들이 제거되기만 하면 우리는 기아로부터 영원히 해방될 수 있는 것인가?

  먼저 지구의 수용 능력을 보자. 장 지글러는 1984년 생산력 기준으로 지구는 120억명을 먹여 살릴 수 있다고 했다. 이것은 오직 생산력에만 기준을 둔 것으로 환경 문제를 염두에 두지 않은 오류를 범한 것이며, 또한 석유가 지금처럼 풍부하고 값싼 세상에서만 가능하다. 지구의 수용 능력은 최소치가 1970년 연구로 10억 명, 최대치는 1967년 연구로 122억 명으로 다양하지만 대부분 100~140억 명이다. 그런데 만일 석유가 더 이상 한 방울도 생산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우리는 지금 석유 생산량이 정점에 도달하고 있다는 것을 안다. 지금처럼 석유 의존적인 식량 생산력은 곧 붕괴될 것이다. 석유를 한 방울도  사용하지 않는다면 지구의 생산력은 25천만~10억 명의 식량만 조달 가능하게 되므로 인구는 1800년대 수준인 현재의 약 1/6만 생존 가능하게 된다.

  최근 세계 곡물 생산량은 소폭 증감을 해가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제한된 생산량에서 뿐만 아니라 지금보다 더 생산력이 향상된다고 하더라도 세계 인구가 모두 굶주리지 않으려면 어느 한쪽도 풍요를 누려서는 안 된다. 다른 산업과 식량 생산과의 관계는 차치하고 식량의 문제만 보더라도 한쪽이 풍요로우면 그만큼 다른 한쪽에서 기아에 허덕이게 되는 것이다.

  현재의 곡물 생산량과 세계 인구로도 한쪽이 풍요를 누리고 한쪽은 기아에 허덕이는데 곡물 생산량이 감소하고 세계 인구가 안정화 된다는 2050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면 증가하는 인구보다 많은 인구가 기아에 놓이게 되는 것은 너무나 자명하다. 탄소 발자국을 예를 들면 1인당 2.2ha이며, 지구가 제공 가능한 탄소 발자국은 1.8ha라고 한다. 한 마디로 지구가 수용하기에 인구가 너무 많다. 무엇보다도 먼저 인구가 감소되어야 한다.

  세계 인구의 2%인 농업 인구가 세계를 먹여 살리는 석유 의존의 농업 방식을 버리고, 20세기 이전 60%의 농업 인구는 아니더라도 그에 버금가는 인구가 농부로 전업해야 되지 않을까? 이는 곧 2차 산업과 3차 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사람들이 농사를 지어야 한다는 말이며, 2차와 3차 산업의 인구 감소가 감소되는 관계로 인해 현재 누리고 있는 2차와 3차 산업의 풍요를 포기해야 한다는 뜻이다. 또한 화학 농업과 기계 농업보다 단위 면적당 수확량이 많은 유기농을 하는 소농이 많이 생겨야 한다는 말이다.

  또한 미국처럼 1파운드의 식품이 약 2,000km 실어날아야 식탁에 오를 수 있다거나, 독일처럼 딸기 요구르트를 먹기 위해서 각 재료들이 총 8,000km를 이동해야 한다면 아무리 넉넉한 생산을 한다 하더라도 이동과 보관에 따른 부패 등의 손실 그리고 막대한 물류 비용 등으로 온전히 분배될 수 없다. 결국 우리는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 내에서 자급자족의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자연 환경의 변화로 유기농 자급자족을 할 수 없다면 기계농과 화학농으로 버티며 환경을 파괴할 것이 아니라 유기농으로 자급자족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주하고, 그 지역의 생산력에 맞게 이주나 산아 제한 등으로 인구를 조절해야 한다.

현재의 생산력에서의 문제는 우리의 풍요다.

 

2007년 5월 23일 책읽기모임 때의 발제문입니다.

반빈곤읽기모임 향후 일정을 안내드립니다

지난번 책 선정 때 영화를 추천해주신 분이 계셨는대요

한 번 쉬어가는 타임으로 영화 상영을 하기로 했습니다

영화 내용은 아래 내용 참고하시면 될 것 같고요, 다음 책은 「빈곤의 역사, 복지의 역사」(허구생, 2011, 한울)입니다

그리고 이제 정해진 책이 없어서 다음 모임에서는 새로운 책을 선정하는 작업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지난번 리스트에서 후순위로 밀린 것을 하게 될 것 같지만, 다른 빈곤과 관련된 좋은 책 있으면 추천해주셔도 좋습니다

그럼 다음 모임에서 뵙겠습니다

날짜

내용

발제

5월 7일(화)

다윈의 악몽

영화상영 후 자유토론

5월 21일(화)

「빈곤의 역사, 복지의 역사」1,2장

초록주의

「빈곤의 역사, 복지의 역사」3,4장

신희철

6월 4일(화)

「빈곤의 역사, 복지의 역사」5,6장

안형진

「빈곤의 역사, 복지의 역사」7장

조승화

 

 

다윈의 악몽

프랑스계 오스트리아 감독 위베르 소페(Hubert Sauper)가 연출한 <다윈의 악몽>은 프랑스, 오스트리아, 벨기에 3국이 공동제작한 다큐멘터리 필름이다.

<다윈의 악몽>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정책이 아프리카 대륙을 어떻게 황폐화시켰는지, 아프리카 대륙의 일상화된 전쟁 원인이 무엇인지를 빅토리아 호수의 생태질서 파괴라는 메타포를 사용해 신랄하게 보여주는 영화다. -씨네21 발췌

 

 

서양 역사에서 빈곤과 사회정책이 갖는 의미를 거시적인 안목에서 살펴보는 『빈곤의 역사 복지의 역사』. 이 책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부터 산업혁명에 이르기까지의 서양 역사 속에서 빈민정책에 갖는 역사적인 의미를 밝혀내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의 복지정책이 위치한 좌표를 점검함과 동시에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 교보문고 책 소개

 

제1장 역사 속의 빈곤

제2장 기독교와 자선

제3장 중세 빈곤과 자선의 실제

제4장 가격혁명과 근대 초기의 빈곤

제5장 튜더 빈민법: 근대적 사회복지의 시작

제6장 스핀햄랜드, 그리고 자유주의의 반격

제7장 억압과 동정: 빈민정책의 역사적 의미

 




* 10주 일정으로 진행되고 있는 "노동자 교양경제학 강좌" 후반부를 보다 많은 분들과 공유하고자 다음과 같이 무료 강의로 진행합니다. 지난 5주간 진행된 입문 강의를 듣지 않은 분들도 이해에 어려움 없이 들으실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교양강좌: 공황과 현대자본주의 》

1. 취지: 이 강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경제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19세기부터 오늘날에 이르는 자본주의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현 단계의 특징들을 살펴봄으로써, 자본의 공세에 맞선 노동자계급의 투쟁이 어떤 원칙에 입각해야 하는가를 제시하고자 한다. 더불어 자본주의 극복을 위한 대안체제로서 사회주의의 기본원리와 함께 20세기 사회주의의 성립과 발전, 붕괴과정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한다.

2. 일시: 2009년 7월 23일 ~ 8월 20일까지 5주간, 매주 목요일 7시 30분

3. 장소: 철도노조 서울지방본부 강당(용산역 부근, 약도 참조)

4. 강사: 강성윤(경제학 박사, 노사과연 교육위원장)

5. 교재: 매 시간 강의안 제공(참가비 없음)

6. 강의일정 및 주제:
제1회 (7. 23) 공황의 원인과 의미
제2회 (7. 30) 현대자본주의의 전개과정
제3회 (8. 6) 독점자본주의 / 국가독점자본주의
제4회 (8. 13) 신자유주의
제5회 (8. 20) 사회주의 / 20세기 사회주의

7. 주관 및 문의:
- 서울지역 철도노동자 교양강좌 추진위(주병현, 017-214-0391),
- 노동사회과학연구소 (02-790-1917)
1 
BLOG main image
초록주의(녹색주의)
초록주의는 생명을 섬기고 삶을 나눔으로써 평화로운 공존의 사회를 지향합니다.
by 초록주의

공지사항

카테고리

초록 세상 (581)
행사 안내 (166)
포럼 및 강의 (71)
성명서 및 기사 (20)
초록 정치 (37)
초록 사회 (58)
초록 경제 (16)
초록 문화 (42)
서평 및 발제문 (16)
책 내용 발췌 요약 (30)
자료 (40)
짧은 글 긴 여운 (48)
시인의 마을 (18)
빛으로 그린 그림 (16)
생각의 끝 (0)
The And (0)

달력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tistory!get rss Tistory Tistory 가입하기!